학술논문
미로슬라브 볼프(Miroslav Volf)의 기억 담론에 의거한 한국 전쟁 기억의 화해적 재구성 연구
이용수 365
- 영문명
- A Study of Reconciliatory Reconstruction of the Memories of the Korean War based on Miroslav Volf’s Discourse on Remembering Rightly
- 발행기관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저자명
- 전순영(Sun-Young Chon) 김회권(Hae-Kwon Kim)
- 간행물 정보
- 『신학사상』신학사상 185집(2019년 여름호), 405~438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6.30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한국 전쟁 기간에 북한 공산주의자들에게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 피해를 입은 체험적 반공주의자들과 그들의 세계관에 영향을 받은 이후 전후 세대들이 어떻게 한국 전쟁의 기억을 재구성하여 남북 화해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인지를 연구한다.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 전쟁의 주도자인 북한 공산주의자들에게 피해를 입고 악몽 같은 기억을 가진 남한 기독교인들을 남북 화해 운동에 투신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먼저 출애굽 역사와 그리스도의 수난 이야기에서 화해적이고 치유적인 기억의 사례를 발견하는 미로슬라브 볼프의 기억 담론을 살핀다. 본 논문은 볼프의 기억 담론이 화해 지향적이고 치유적인 과거의 기억 재구성의 성경적 사례인 역대기서에 의해 지지받을 수 있음도 주목한다.
다음으로 체험적 반공주의자들의 악몽 기억들이 어떻게 화해 지향적이고 치유적인 기억들로 변화될 수 있는지를 논한다. 이 논문의 중심 논지는 악행의 피해자인 볼프의 화해 치유적 기억에 대한 담론이 남한의 체험적 반공주의자들의 한국 전쟁 기억을 재구성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논문은 체험적 반공주의자들이 한국 전쟁을 화해 지향적이고 치유적인 기억으로 재구성하도록 돕기 위해 볼프가 제시한 올바른 기억 담론을 제시한다: 진실하게 기억하기, 치유를 위해 기억하기 그리고 미래 지향적이고 화해 지향적으로 기억하기. 마지막으로 이 논문은 볼프가 제시한 화해 지향적이고 치유적인 기억 재구성으로 원수에 대한 적개심을 해소하고 극복한 기독교인 3인의 간증을 예시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how the experiences of anti-communists who suffered mental and physical damage at the hands of North Korean communists during the Korean War and the the post-war experiences of South Korean impacted by anti-communism could reconfigure the memory of the Korean War and contribute to making an inter-Korean reconcilia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how to engage South Korean Christians who have long had harbored nightmarish memories of the North Korean communists who started the Korean War in June 1950, might contribute to an inter-Korean reconciliation movement. To this end, the present essay first examines the discourse of memory presented by Miroslav Volf, who has found biblical examples of reconciling and healing memories in both the story of the Exodus history and the passion narratives of Christ in the Gospels. This essay adds that Volf’s idea of reconciling and healing memories could be upheld by the biblical example of reconciliatory and therapeutic reconstruction of the past history in the Book of the Chronicles whose aim was to bring the northern tribes of Israel into reconciliation with its southern brothers and sisters.
Then the present essay discusses in what process the traumatic memories of anti-communist Christians could be transformed into reconciliatory and healing ones that could help inter-Korean efforts to establish peace and fraternal love between the two Korean peoples. The central argument in this paper is that the discourse on reconciliatory and healing memories proposed by Volf, himself the victim of evil, can help many experiential anti-communists of South Korea reconstruct their memories of the Korean War in the direction of reconciliation and healing. This paper proposes three substantial steps in line with Volf’s discourse on remembering rightly: remembering truthfully, remembering therapeutically, and future-oriented remembering in reconciling ways.
Finally, this paper presents the personal testimonies of three Christians who have overcome hostility to their enemies by following the three steps of reconciliatory remembering presented by Volf.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볼프의 기억 담론 분석
Ⅲ. 볼프의 기억 담론에 의거한 한국 전쟁 기억의 재구성
Ⅳ. 기억과 화해의 개인적 실천 사례
Ⅴ. 나가는 말: 올바르게 기억하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CCM 복음 성가 중국어 번역의 문제점과 제안
- 신학사상 185집(2019년 여름호) 목차
- 다문화 사회에서 다문화 교육을 위한 기독교 교육의 방향
- 공적 교회의 개념과 책임적 과제 ― 볼프강 후버의 교회론 연구
- 『장원양우상론』의 신학적 분석과 평가 ― 중국인들의 실존적 문제들에 대한 신학적 대답들
- 안아주는 환경으로서의 예배공간 이해 ― 종교심리학적 관점에서
- 고백자 막시무스의 실천(Praktikê )과 신(神) – 인(人) 관계 이해
- 김찬국의 평화 사상
- 창조절 주간의 필요성과 그 예배의 실제 ― 한국기독교장로회를 중심으로
- 제닝스의 “무법적 정의”에 기초한 바울과 로마서 이해
- 미로슬라브 볼프(Miroslav Volf)의 기억 담론에 의거한 한국 전쟁 기억의 화해적 재구성 연구
- 기독교적 명상으로서의 관상기도 효과에 관한 연구
- 안토니오스(Antonios of Egypt, ca.251-ca.356)의 수도원적 청빈(Monastic Poverty) 이해
- 샘물 같은 평화 ― 요한복음 4:7-18
- 끌개장(attractor field) 임상 이야기 ― 입양 사례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대상관계이론에서 본 관계중독과 회복에 대한 사례연구: Fairbairn과 Winnicott 이론을 중심으로
- 학교 적응이 어려운 초등학교 6학년 남아의 인지 행동 놀이치료 사례연구 :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문제해결력(PSI), ‘양떼를 지켜라’ 문제 해결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 애착 트라우마 상담 사례연구: 안구운동 민감소실 재처리(EMDR)와 내면가족체계(IFS) 치료의 통합적 적용가능성을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영화 <아들>을 통해 본 상실의 고통과 애도의 어려움에 답하는 교회의 역할 모색
- 영지주의를 극복하기 위한 기독교교육의 방향 연구
- 대학생의 팀활동 스트레스 대처전략에 대한 사회인지적 갈등 조절 유형과 성취목표지향성의 상호작용 효과 검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