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끌개장(attractor field) 임상 이야기 ― 입양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66
- 영문명
- Attractor Field Clinical Story — Through An Adoption Case
- 발행기관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저자명
- 고영순(Young-Soon Koh)
- 간행물 정보
- 『신학사상』신학사상 185집(2019년 여름호), 223~254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6.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입양’이라는 주제를 끌개장의 한 범주인 형태 발생장과 연결시켜 우리가 경험하는 삶이 실제로는 우리 의식 세계를 반영하는 것임을 치유 상담 방법론, 즉 임상 사례를 해결 중심 상담이나 치료가 아닌 치유(healing)라는 맥락에서 탐색해보고자 한다. 한 입양 사례를 질적으로 연구하여 연구자가 주장하고자 하는 임상적 의제는 누구도 자신의 의지에 반하여 적절하지 못한 곳에 강제로 이끌려오지 않는다는 점이다. 우리가 경험하는 사랑이나 미움, 죄책감, 무기력 등의 감정은 보이지 않은 어떤 것을 ‘끌어당기는’ 의식 세계의 작용이며, 그것을 관찰하는 내 의도와 무관하게 일어나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그저 우연에 의해 사랑하고 사랑받는 것이 아니라 우리 의식 세계에서 이미 사랑이 끌려오도록 암시하거나 (무의식적이지만) 의지적으로 지향한다.
연구의 절차로는 첫째, 사례의 이론적 배경이 되는 비선형 동역학의 끌개와 형태 발생장에 대한 이해를 구축한다. 둘째, 사례를 임상적으로 분석할 것이다. 한 부부의 임신 과정, 실패와 절망의 시간들, 입양까지의 역동적 심리 과정을 추적한다. 셋째, 입양을 기다리는 동안 마음을 준비시킨 ‘아가다’에 대한 소개와 영성 일지를 소개한다. 상담자는 이 모든 내담자의 여정을 과정-중심적으로 동반하며, 서로의 의식을 침투하는 경험을 통해 치유하고 치유 받는 사랑의 끌개장에 동승한다. 상담자의 동승 현상도 하나의 끌개장으로 인지되며, 경험자, 관찰자, 목격자 과정이 포함된다. 인과의 법칙으로 보았을 때는 입양이 ‘그 먼길’이지만 의식의 세계에서는 ‘지금 여기’ 비국소적으로 일어나는 실상임을 논문은 조명해보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nnects morphic field, which is the sub-area of attractor field, with ‘adoption.’ The study concentrates on healing rather than treatment or therapy. To be more specific, this paper explores that experiences one goes through as the reflection of one’s conscious world. The clinical topic of this qualitative adoption case is that no one is forced into a situation that is against one’s will. People experience many emotions such as love, hate, sense of guilt, lethargy, etc. These emotions are attracted unconsciously but are actually related to one’s intention. One is not “accidently” in a loving state. That person’s conscious world is already unconsciously implying love.
This paper focuses on how a decision an infertile couple makes reinforces the morphic field and affects their lives. A simple decision causes a stir in space and influences everyone. This study discloses how a single decision we make comes back to the decision makers in a nonlinear way. To be specific, this study explores in a process base how one’s different attractor patterns (for example, misfortune or love) can affects one’s life. In this case study, the author clinically explains how adoption is not a decision made by chance but is consisted of our conscious world’s attraction.
The research process is as the follows. Firstly, the study establishes an understanding of nonlinear dynamics’ attraction and morphic field, which i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case. Second, the case will be analyzed clinically. It tracks the pregnancy process of a couple, the time of failure and despair, and the journey to adoption. Third, it introduces ‘Agada,’ which prepared the mind through the adoption process, and the spiritual diary. The counselor accompanies the counselee’s journey process-centrically, and rides on the attraction of love and healing through the experience of penetrating each other’s consciousness. Counselor’s dynamic phenomena is also recognized as an attractor field, and is included as an observer also as a person who is involved in this process. The paper wants to shed light on the law of causality that adoption is a “long road” but that in the world of consciousness, it is a non-localized phenomenon.
목차
Ⅰ. 시작하는 말
Ⅱ. 비선형 동역학: 끌개와 형태 발생장
Ⅲ. 내담자/상담자 심리와 장 분석
Ⅳ. ‘아가다’ 읽기와 임계점 분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CCM 복음 성가 중국어 번역의 문제점과 제안
- 신학사상 185집(2019년 여름호) 목차
- 다문화 사회에서 다문화 교육을 위한 기독교 교육의 방향
- 공적 교회의 개념과 책임적 과제 ― 볼프강 후버의 교회론 연구
- 『장원양우상론』의 신학적 분석과 평가 ― 중국인들의 실존적 문제들에 대한 신학적 대답들
- 안아주는 환경으로서의 예배공간 이해 ― 종교심리학적 관점에서
- 고백자 막시무스의 실천(Praktikê )과 신(神) – 인(人) 관계 이해
- 김찬국의 평화 사상
- 창조절 주간의 필요성과 그 예배의 실제 ― 한국기독교장로회를 중심으로
- 제닝스의 “무법적 정의”에 기초한 바울과 로마서 이해
- 미로슬라브 볼프(Miroslav Volf)의 기억 담론에 의거한 한국 전쟁 기억의 화해적 재구성 연구
- 기독교적 명상으로서의 관상기도 효과에 관한 연구
- 안토니오스(Antonios of Egypt, ca.251-ca.356)의 수도원적 청빈(Monastic Poverty) 이해
- 샘물 같은 평화 ― 요한복음 4:7-18
- 끌개장(attractor field) 임상 이야기 ― 입양 사례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대상관계이론에서 본 관계중독과 회복에 대한 사례연구: Fairbairn과 Winnicott 이론을 중심으로
- 학교 적응이 어려운 초등학교 6학년 남아의 인지 행동 놀이치료 사례연구 :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문제해결력(PSI), ‘양떼를 지켜라’ 문제 해결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 애착 트라우마 상담 사례연구: 안구운동 민감소실 재처리(EMDR)와 내면가족체계(IFS) 치료의 통합적 적용가능성을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영화 <아들>을 통해 본 상실의 고통과 애도의 어려움에 답하는 교회의 역할 모색
- 영지주의를 극복하기 위한 기독교교육의 방향 연구
- 대학생의 팀활동 스트레스 대처전략에 대한 사회인지적 갈등 조절 유형과 성취목표지향성의 상호작용 효과 검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