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CCM 복음 성가 중국어 번역의 문제점과 제안
이용수 51
- 영문명
- Problems of Translating Korean CCM into Chinese and Suggestions
- 발행기관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저자명
- 우심화(Shin-Hwa Yu)
- 간행물 정보
- 『신학사상』신학사상 185집(2019년 여름호), 315~346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6.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국어 CCM 복음 성가 중국어 번역의 문제점과 제안”에서는 한국어 CCM 복음 성가가 중국어로 번역되면서 나타낸 문제점들을 분석하고 문제점 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CCM 복음 성가는 하나님을 찬양하고 하나님의 은혜를 증거하는 찬송으로서 가장 아름답고 품위 있는 가사로 번역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중국어로 번역된 CCM 가사를 살펴보면 오역되고, 앞뒤가 일관되지 못하게 번역되고, 중국어라고 하기엔 문제가 있고, 원 가사와는 무관하게 임의로 번역되고, 품위 없이 저속하게 번역되며, 중국교회에서 표현하지 않는 어휘 혹은 문장을 사용하거나, 무슨 의미인지 애매모호하게 번역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중국어가 한국어보다 간결하여 원 가사의 글자 수를 맞추기가 쉽지 않고, 한국어 가사의 어순과 배열에 따라 중국어 가사를 배열하며, 한국어 가사에 대한 분명한 이해와 번역에 대한 심각한 고민이 부족하여 발생하였다고 말할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한중(교회용) 언어를 잘 아는 전문가 번역 모임과 상호협력, 음악가의 도움, 원작사자와의 소통 등이 필요할 것이다.
영문 초록
“Problems of Translating Korean CCM into Chinese and Suggestions” analyzes the problems of translating Korean CCM into Chinese and suggests ways to improve the problems. The CCM should be translated into the most beautiful and dignified lyrics as a hymn praising God and proving his grace.
However, if we look at the Chinese translations of Korean CCM, we can see they are misinterpreted, arbitrarily translated without adhering to the meaning of the original Korean lyrics. We also can find the translated Chinese lyrics use words or sentences that are not used in Chinese churches.
This is because the Chinese language is simpler than the Korean language and it is difficult to match the number of Chinese characters in the original Korean lyrics. This is also because the translators follow the order and arrangement of Korean lyrics, and because the translators do not have a clear understanding of Korean lyrics and there is no serious concern about the translation.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have a translators’ association, where experts, with the help from musicians and in communication with Korean composers, cooperate in translating Korean CCM music.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중국어로 번역된 한국어 CCM 복음 성가 9곡 분석
Ⅲ. 중국어 번역의 문제점과 제안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CCM 복음 성가 중국어 번역의 문제점과 제안
- 신학사상 185집(2019년 여름호) 목차
- 다문화 사회에서 다문화 교육을 위한 기독교 교육의 방향
- 공적 교회의 개념과 책임적 과제 ― 볼프강 후버의 교회론 연구
- 『장원양우상론』의 신학적 분석과 평가 ― 중국인들의 실존적 문제들에 대한 신학적 대답들
- 안아주는 환경으로서의 예배공간 이해 ― 종교심리학적 관점에서
- 고백자 막시무스의 실천(Praktikê )과 신(神) – 인(人) 관계 이해
- 김찬국의 평화 사상
- 창조절 주간의 필요성과 그 예배의 실제 ― 한국기독교장로회를 중심으로
- 제닝스의 “무법적 정의”에 기초한 바울과 로마서 이해
- 미로슬라브 볼프(Miroslav Volf)의 기억 담론에 의거한 한국 전쟁 기억의 화해적 재구성 연구
- 기독교적 명상으로서의 관상기도 효과에 관한 연구
- 안토니오스(Antonios of Egypt, ca.251-ca.356)의 수도원적 청빈(Monastic Poverty) 이해
- 샘물 같은 평화 ― 요한복음 4:7-18
- 끌개장(attractor field) 임상 이야기 ― 입양 사례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대상관계이론에서 본 관계중독과 회복에 대한 사례연구: Fairbairn과 Winnicott 이론을 중심으로
- 학교 적응이 어려운 초등학교 6학년 남아의 인지 행동 놀이치료 사례연구 :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문제해결력(PSI), ‘양떼를 지켜라’ 문제 해결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 애착 트라우마 상담 사례연구: 안구운동 민감소실 재처리(EMDR)와 내면가족체계(IFS) 치료의 통합적 적용가능성을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영화 <아들>을 통해 본 상실의 고통과 애도의 어려움에 답하는 교회의 역할 모색
- 영지주의를 극복하기 위한 기독교교육의 방향 연구
- 대학생의 팀활동 스트레스 대처전략에 대한 사회인지적 갈등 조절 유형과 성취목표지향성의 상호작용 효과 검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