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방정부 여성공무원의 역량인식 분석 - 역량수준 인식에 대한 남녀 간 비교를 중심으로 -

이용수 65

영문명
Analysis of Competence Level Perception of Female Public Officials in Local Government - Focusing on Comparison of Competence Level Perception between Men and Women -
발행기관
한국지방행정학회
저자명
최웅선(Woong-Seon Choi) 이진만(Jin-Man Lee) 최서연(Seo-Yeon Choi)
간행물 정보
『한국지방행정학보』제16권 제1호, 167~198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3.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역량수준에 대한 남녀 간 인식차이를 분석하여 여성공무원의 역량인식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방자치 인재개발원에서 2010년에 개발한 지방공무원 역량모델을 활용하여 A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을 대상으로 현재 역량수준과 미래 목표수준에 대해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6급 여성공무원은 현재 역량수준에 대해서는 전체적으로 남성공 무원보다 낮게 인식하지만, 미래 목표수준에 대해서는 남성공무원과 동일하게 인식하여 현재와 미래의 역량수준 격차가 남성보다 크게 나타났다. 7급 이하 여성공무원은 현재 역량수준과 미래 목표수준 모두 남성공무원보다 낮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미래 목표수준에서는 남녀 간 격차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6급 여성공무원의 높은 목표설정 원인을 파악하 기 위해 인터뷰조사를 실시한 결과, 여성공무원의 보직경로 불이익에 대한 만회욕구, 광역자치단체에서 6급 계급이 주는 역할부담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female public officials’ competence perception by analyzing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competence levels between men and women. To this e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current competence level and the future competence level for the public officials in “A” local government, utilizing the local government competence model developed by the Local Government Officials Development Institute in 2010. The main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6th grade female public officials perceived the current level of competence as lower than that of the male public officials as a whole. However, they perceived the future competence level as the same as that of male public officials, and their gap between current and future competency levels was larger than that of the male public officials. Female public officials below 7th grade perceived both the current competence level and the future competence level lower than male public officials. However, the gap between men and women decreased at the level of future competence. As a result of the interview survey to find out the causes of the high goal setting of the 6th grade female public officials, it was suggested that they is the burden given by the 6th grade level in Provincial Government Office and the desire of female public officials to make up for their disadvantages in placement.

목차

I.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Ⅲ. 조사설계
Ⅳ. 분석결과
Ⅴ. 요약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웅선(Woong-Seon Choi),이진만(Jin-Man Lee),최서연(Seo-Yeon Choi). (2019).지방정부 여성공무원의 역량인식 분석 - 역량수준 인식에 대한 남녀 간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지방행정학보, 16 (1), 167-198

MLA

최웅선(Woong-Seon Choi),이진만(Jin-Man Lee),최서연(Seo-Yeon Choi). "지방정부 여성공무원의 역량인식 분석 - 역량수준 인식에 대한 남녀 간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지방행정학보, 16.1(2019): 167-19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