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개항도시의 근대문화 유입과 형성 - 부산과 상하이의 영화를 중심으로

이용수 64

영문명
발행기관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저자명
곽수경
간행물 정보
『인문사회과학연구』인문사회과학연구 제20권 제2호, 93~113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5.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동북아해역을 구성하는 한중일 3국은 개항과 더불어 근대를 시작했고 근대문물을 받아들이기 시작했다. 이때 개항장은 새로운 문화가 유입되고 유통되는 주요한 통로 역할을 했다. 부산과 상하이는 각각 한국과 중국을 대표하는 개항도시로, 이런 역할을 톡톡히 수행했다. 대표적인 근대문화양식인 영화 역시 이들 도시를 통해 유통되고 영화문화를 형성하는데 있어 선도적 역할을 했다. 하지만 양국의 개항과 정치 상황의 차이로 인해 영화의 유입과 발전, 속성, 소비형태 등의 면에서 차이가 존재한다. 즉 조선은 일본의 독점적 지배구조 하에 있었던 반면 중국은 서구열강들이 각축을 벌이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조선은 일본의 영향력이 절대적이었지만 중국은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을 비롯한 다양한 국가가 영향력을 행사했다. 더군다나 일본과 바다를 사이에 두고 마주 바라볼 정도로 가까이 있고 15세기부터 왜관을 설치하여 일본과의 교류가 활발했던 부산은 개항 후에는 더욱이 일본의 영향력이 지배적이었다. 한편 상하이는 미국과 영국이 통합한 공공조 계와 프랑스조계가 형성되어 미국과 유럽의 영향력이 컸던 반면 일본의 영향은 미미했 다. 여기에서는 조선과 중국에 영화가 어떤 경로를 통해 유입되었고, 자국 내에서 유통 (배급)되었는지를 살피고자 했다. 영화의 유입과 발전 과정을 보면, 세계적으로 영화는 프랑스에서 탄생한 후 유럽, 미국, 아시아로 전파되었는데, 초기에는 상하이를 거쳐 조선으로 유입되다가 차츰 일본에 외국영화 배급사가 설립되고 조선에 그 지사가 생기면서 일본을 통해 영화가 유입되는 형태로 전환되었다. 반면 중국은 일찍부터 상하이가 영화의 중심도시가 되어 영화는 대부분 상하이로 유입되었다. 비록 부산이 일본의 영향을 가장 직접적으로 받는 도시로서, 조선에서 극장문화가 가장 먼저 꽃피었고 최초의 영화제 작사도 설립되는 등의 모습을 보여주기는 했지만, 영화는 경성에서 가장 먼저 선보였고, 필름의 유통에 있어서도 경성에서 먼저 상영된 다음 지방도시를 순회했으며 영화인들 또한 경성에서 활동하여 영화 제작이 이루어졌다. 오히려 전국적으로 조선영화 붐이 일어났을 때도 부산은 그런 현상이 나타나지 않아 식민성을 보여주었다. 반면 상하이는 적어도 1940년대까지 줄곧 중국영화의 중심도시로 성장하여 영화의 전국적 배급과 유통에 있어서 선도적 역할을 한 것은 물론이고 중국영화 제작이 활발히 이루어졌다. 따라서 개항장들의 역할과 성격은 일괄적으로 보기 어려우며 다양한 관계와 상황 속에서 개별적 특수성을 살펴야함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modern age for the three countries about the seas of Northeast Asia, Korea, China, and Japan, began with the opening of ports and started to accept modern civilization. Open ports acted as critical pathways for the inflow and distribution of new culture. Busan and Shanghai were representative open port cities of Korea and China and the cities successfully carried out their roles as open port cities. These cities also played a leading role in distributing and establishing the culture of film, which is a representative element of modern culture. However, differences in the port opening and political situations of the two countries resulted in differences in aspects such as the inflow, development, characteristics, and consumption of films. Since Joseon was under the exclusive governance of Japan while Western powers competed over China, the influence of Japan over Joseon was absolute whereas various countries including the US, UK, France, and Germany exerted influence over China. Also, the influence of Japan became all the more dominant after the port opening of Busan where exchange with Japan was active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the Waegwan in the city since the 15th century as Busan is located so close to Japan with only a sea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the influence of the US and Europe were significant in Shanghai due to the establishment of the Shanghai International Settlement, that brought together the US and UK, and the French Concession while Japanese influence was minor. Here, I investigated that pathways Joseon and Chinese films were brought in and distributed within the country. Looking at the process of inflow and development for films, cinema was born in France and was then spread to Europe, US, and Asia. Initially, films flowed into Joseon through Shanghai and then foreign film distributors were gradually established in Japan. Branches of such distributors were then established in Joseon and the inflow of films to Joseon turned to Japan. As for China, Shanghai became a central city for films early on and so most of the films were brought in through Shanghai. Although Busan first saw the blooming of theater culture in Joseon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very first film production companies as the city that was directly influenced by Japan, films were shown for the first time in Kyungsung. The distribution of films also started at Kyungsung where films were shown first followed by the provincial cities. Moreover, cineastes and filmmakers participated in the making of films in Kyungsung. When a nationwide Joseon film boom occurred, this phenomenon did not occur in Busan, revealing the coloniality. On the other hand, Shanghai grew as a central city of Chinese film up until at least the 1940s and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nationwide distribution of films as well as the active making of Chinese films. So it was found that the role and characteristics of the opening of ports are can hardly see in a lump, and need to look at individual specificities in various relationships and situations.

목차

Ⅰ. 개항장과 영화의 유입
Ⅱ. 부산과 상하이의 개항
Ⅲ. 부산과 상하이의 영화 유입경로와 형성
Ⅳ.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곽수경. (2019).개항도시의 근대문화 유입과 형성 - 부산과 상하이의 영화를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 20 (2), 93-113

MLA

곽수경. "개항도시의 근대문화 유입과 형성 - 부산과 상하이의 영화를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 20.2(2019): 93-11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