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단경왕후 溫陵을 통해 본 조선후기 封陵의 역사적 의미

이용수 97

영문명
Historical Significance of Reconstructing the Royal Tomb, Onneung(溫陵), in Late Joseon
발행기관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저자명
황정연
간행물 정보
『민족문화논총』제53집, 167~196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4.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단경왕후의 복위와 溫陵 봉릉 과정을 통해 조선후기 폐비 또는 폐세자의 복위를 계기로 이루어진 조선후기 봉릉의 추이와 역사적 의미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온릉 봉릉은 영조가 단경왕후 복위를 계기로 왕실의 위엄을 표방하고자 적극 거행한 것으로, 정치적 논쟁을 없애고 “溫陵復位儀”를 새롭게 제정하는 등 국왕 주도의 봉릉 役事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러한 영조의 의도 속에 조영된 온릉은 숙종 연간 봉릉된 莊陵과 思陵의 상설제도를 계승하고 특히 숙종이 왕릉 조영의 모범으로 삼은 厚陵의 검박한 석물제도를 준수하며 건설되었다. 이로써 貞陵→莊陵→思陵으로 이어진 능제와 후릉의 소박한 양식을 토대로 18세기 추봉릉의 제도가 성립되기에 이르렀다. 단경왕후 복위와 온릉 봉릉은 조선후기 國祀의 정비와 왕릉 제도의 한 흐름을 형성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processing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recovering the throne focused on one of the Joseon royal tombs, Onneung (溫陵), the tomb of Queen Dowager Dangyeong (端敬王后, 1487∼1557). Queen Dowager Dangyeong entered the palace as a first wife of King Jungjong (中宗), however, as her father Shin Su-geun forcefully opposed Jungjong`s coup for the throne, she was forced to dethroned and never came back to the palace. After her death, her grave was built in humble shape that definitely showed she was not in the line of royal pedigree. Though Queen Dowager Dangyeong`s deposition had caused a long-term political disputes between successive kings and officials, King Yeongjo tried to restored Queen Dangyeong`s throne, finally he commanded to restore her original position as a Queen and to reconstruct her grave as a shape of royal tomb in 1739. Hoping to concrete his royalty from King Sukjong, Yeongjo forced to recover the Queen`s dethrone despite of officials` opposition. Following the Queen`s restoration, her sprit tablet was kept in the royal shrine and her tomb entitled “Onneung” was reconstructed. The rebuilding Onneung is a key to understand King Yeongjo`s political intention to show publically his royal authority to officials.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조선후기 봉릉·봉원·봉묘의 추이
Ⅲ. 온릉 봉릉의 역사적 배경
Ⅳ. 온릉 봉릉의 진행 과정
Ⅴ. 온릉 봉릉과 영조 연간 國祀의 정비
Ⅵ. 맺음말
參考文獻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정연. (2013).단경왕후 溫陵을 통해 본 조선후기 封陵의 역사적 의미. 민족문화논총, 53 , 167-196

MLA

황정연. "단경왕후 溫陵을 통해 본 조선후기 封陵의 역사적 의미." 민족문화논총, 53.(2013): 167-19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