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신라 능원의 의의

이용수 345

영문명
Significance of Silla`s royal mausoleums
발행기관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저자명
김용성
간행물 정보
『민족문화논총』제53집, 1~43쪽, 전체 4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4.30
7,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신라의 능원은 배례공간이 성립되지 않은 마립간릉형, 복수 왕릉에 대한 배례공간이 성립된 법흥왕릉형, 단독능원으로 배례공간이 있는 선덕여왕릉형, 능전에 상석이 배치되는 무열왕릉형과 전민애왕릉형, 상석 외에 석사자, 관검석인, 호인상 등의 석상과 화표석이 배치된 완성형의 흥덕왕릉형, 상석만 남고 다른 능원시설이 생략되는 전경덕왕릉형, 상석도 소멸되는 구정동방형분형으로 변천한 것이 확인된다. 이중 마립간기의 마립간릉형을 시원기, 중고기의 법흥왕릉형과 선덕여왕릉형을 형성기, 중대의 무열왕릉형과 전민애왕릉형을 발전기, 하대 전기의 흥덕왕릉형을 전성기, 하대 중후기의 전경덕왕릉형과 구정동방형분형을 쇠퇴기로 구분하여 살필 수 있다. 이러한 왕릉과 능원은 지속적으로 외래요소가 개입되면서 재창출되어 변화한 것이 확인된다. 먼저 능원 형성기인 중고기 전기인 법흥왕릉형에는 남조와 북위의 요소인 가족장제, 풍수, 사찰의 등장을 찾을 수 있다. 중고기 후기인 선덕여왕릉형에서는 수와 당의 초기 능원제도의 영향을 읽을 수 있다. 발전기인 중대의 무열왕릉형에서는 당 태종의 소릉과 고종과 무측천의 건릉에서 완성된 제도의 영향을 읽을 수 있고, 좀 더 후기 효소왕릉(전신문왕릉)에서는 불탑을 모방하기 시작한 현상이 보인다. 하대의 전기이며 전성기의 능원인 흥덕왕릉형은 신라의 완성된 능원 형식이다. 이 능원은 당 현종의 태릉 이후 당의 제도를 모방하였으나 앞 시기 왕릉을 불탑으로 꾸미려는 의도를 완벽하게 실현하여 인도의 불탑을 모방한 신라 왕릉의 특수한 형식을 완성시켰다. 능전의 시설은 당의 석물배치를 모방하였으나 신라만의 독특한 형식을 창출하여 이루어졌다. 하대의 중후기인 쇠퇴기의 전경덕왕릉형과 구정동방형분형에서는 다시 역으로 능원시설이 생략되고, 이전 능전의 석물이 호석에 부조되는 등으로 변화하였다.

영문 초록

Silla`s royal mausoleums is confirmed as change of Maripgan tomb type which is not established the space of worship, Buphung royal tomb type which is established the space of worship towards the plural royal tomb, Seonduk royal tomb type which is the space of worship as independently royal tomb, Muyeol and Genminae royal tomb type which alter is stationed in front of tomb, Heungduk royal tomb which is stationed stone lion, the sculptures of scholarly officials, the sculptures of military officials in addition to alter, pre-Keongdeok royal tomb type which is omitted another facilities of royal tomb also remain alter, Gugeondong square tomb which is eveb dissipated alter. Among these, Maripgan tomb type of the time of Maripgan is the original, Buphung royal tomb type and Seonduk royal tomb type of the middle-original is formation period, Muyeol and Genminae royal tomb type of the middle is development period, Heungduk royal tomb of the latter-former part is glory days, pre-Keongdeok royal tomb type and Gugeo doing square tomb is deterioration since then till the latter-middle. This royal tomb and royal mausoleums is consistently transformed into re-invention as transculturation. first, the formative period of royal mausoleums, the middle-original, Buphung royal tomb type can find the family funeral institution as elements of Nanchao and Beichao China. the middle-later, Seonduk royal tomb type can find influence of the early Sui and Tang China system royal tombs. The middle is development period, Muyeol royal tomb type can find influence of a finished system as Taizong`s Jhaoling and Gaozong, Wucetian`s Jianling of Tang China. Hyoso royal tomb(pre Shinmun royal tomb) can find phenomenon which started in imitation of Buddhist pagoda. The glory days as the latter-former part, Heungduk royal tomb type is a consummate form of Silla royal mausoleums. This royal mausoleums was emulate system of Tang China since then Tailing of Tang China Xianzong, but completed a special characters of Silla royal tomb which imitated Buddhist pagoda of India. Then figures placed before royal mausoleums imitated arrangement of stone figures of Tang China, was composed of an unusual narrative form of Silla royal tomb. The period of decline, pre-Keongdeok royal tomb type and Gugeondong square tomb inversely was omitted facilities of royal mausoleums and transition from stone figures placed before royal mausoleums to carved on circle stone.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신라 왕릉과 능원의 변천
Ⅲ. 마립간기 능원의 의의
Ⅳ. 중고기 능원의 의의
Ⅴ. 중대 능원의 의의
Ⅵ. 하대 능원의 의의
Ⅶ. 맺음말
參考文獻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용성. (2013).신라 능원의 의의. 민족문화논총, 53 , 1-43

MLA

김용성. "신라 능원의 의의." 민족문화논총, 53.(2013): 1-4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