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牧隱 李穡의 역사적 위상과 영남의 餘脈

이용수 62

영문명
An Essay on the historical position of confucian scholar Yi-Seak(his pen name Mokeun) in the late of 14th century and Influence of the deceased at Kyonsang provice
발행기관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저자명
정만조
간행물 정보
『민족문화논총』제50집, 137~170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4.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여말선초의 유학자이며 정치가였던 목은 이색의 역사적 위상을 조명해 보려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여말선초는 왕조가 교체되는 시기였다. 교체를 주도한 중심부에는 당연히 武將 李成桂 등 권력을 장악한 실력자가 자리하였다. 그러나 변화의 계기를 촉발하고 방향과 방법을 제시하며, 개혁을 담당할 주체를 조직하고 지지세력을 결속시킬 이론가로서 지식인 집단도 필요하였다. 고려후기에 도입된 성리학으로 무장하여 새로이 성장한 鄭夢周 金九容 朴尙衷 李崇仁 鄭道傳 趙浚으로 대표되는 사대부 세력이 그들이었다. 元나라에 유학하고 벼슬하면서 성리학의 정치적 효능을 직접 경험하였던 목은 이색은 바로 이런 신진사대부세력을 양성하며 교육한 유학자의 모범적 존재(儒宗)이었다. 이러한 목은에 대한 평가는 時代思潮와 정치적 利害관계에 따라 달라지고 있었는데, 대체로 말해 고려 말의 목은 생존 시 확립된 儒學宗師로서의 위상은 인정하면서도 조선건국과 관련해 忌諱하는 사정 때문에 失節했다거나, 寧佛했다는 誹謗이 붙어 다녔다. 그러나 조선후기에 들어오면서 節義에 대한 해석을 달리하게 되고, 조선 건국에 대해 객관적 파악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견해가 나오면서 목은에 대해 언급된 당시의 기록이 왜곡되거나 개작되었기에 목은의 실상을 복구해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게 된다. 목은은 기호지방사람으로 알려져 있으나 출생이 외가가 있는 영덕군의 寧海이며 그 맏아들 種德의 후손일파가 안동의 蘇湖에 300년 전부터 정착해 살았고, 여기서 퇴계학맥을 크게 떨친 李象靖·光靖 형제가 배출됨으로써 목은의 학덕을 영남에 드높이게 하였다. 목은의 존재는 亂世에 처한 지식인이 어떻게 사고하고 행동해야 할 것인가와 관련해 많은 교훈과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다고 하겠다.

영문 초록

After the era of military government, Koryo had been subjected to intervention in Mongol’s internal affairs, and faced a serious crisis of continuation of nation-state in the mid 14th century. The crisis occurred because they were beset with troubles bothat home and abroad: built-up political contradictions and social ills had exploded, and what makes the matter worse, Japanese pirate raiders invaded them. Therefore, the ruling class, including the King, had to resolve the crisis in one form or another, and Sadaebu, newly appointed illustrious practitioners, played a decisive role. They tried to find a way to resolve the crisis by adopting Yuan’s neo-Confucianism. Introduced by An Hayng Yi Che-hyon, neo-Confucianism became a theoretical foundation of reformist policies by Mokeun Yi Seak. Yi seak had seen the political effectiveness of neo-Confucianism in Yuan country, and then produced outstanding individuals who were well armed with neo-confucianism with the help of Chung Mong-ju, Kim Ku-yong, Park Sang-choong, Lee Soong-in, and Chung Do-jeon, through Sunggyungwan. The selected people became at the core of the reformist forces in the national restoration. While they were soon divided into two groups, a group of the rendering devoted Service to Koryo Dynasty(Chung Mong-ju) and a group for foundation to New Dynasty(Chung Dojeon), over the continuance of a Koryo, the fact that all of them were unified by Mokeun proved Yi seak’s status as the elder of Confucian society in late 14th century. He set a good example as the elder of Confucian society in his own time by calling to reform the government as well as adhering to his principle as a loyal retainer. Although he was known as a man from the Kyonggi and Choongcheng province, Li Seak’s learning and virtue were raised in Yeongnam area because he was born in Nyonghae in Kyongsang province where his mother’s parents’ home was located, descendants of his eldest son Yi Jongduk settled down in Soho at Andong in Kyongsang province for 300 years, and Li Sang-jeong and his brother Yi Kwang-jeong, who made a name in the school of Toegye, came from the province. Mokeun’s existence gives us a lesson about how intellectuals should think and act in times of turbulence.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牧隱의 활동과 儒宗으로서의 위상
Ⅲ. 시대변화에 따른 목은의 평가
Ⅳ. 영남에 뿌리 내린 목은의 餘脈
Ⅴ. 맺는 말
參考文獻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만조. (2012).牧隱 李穡의 역사적 위상과 영남의 餘脈. 민족문화논총, 50 , 137-170

MLA

정만조. "牧隱 李穡의 역사적 위상과 영남의 餘脈." 민족문화논총, 50.(2012): 137-1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