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육실습 동안 예비 역사교사의 수업 성찰 과정 탐색

이용수 58

영문명
Exploring the class reflection of pre-service history teacher during teaching practice
발행기관
한국역사교육학회
저자명
이해영(Lee, Hae Young)
간행물 정보
『역사교육연구』제32호, 245~289쪽, 전체 4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1.30
8,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예비 역사교사에게 교육실습은 실제 현장에서 자신이 가진 교육 이론이나 지식을 펼치는 모험의 장이다. 실습이후 더욱 굳건하게 교사의 길을 걷기도 하고 자질이 부족하다고 고민하기도 한다. 따라서 교육실습은 예비 역사교사가 교사로 성장하는데 매우 중요한 관문이 된다. 예비 역사교사는 학생들과 관계에 정성을 쏟고 수업에서 학생들의 반응에 민감하게 신경을 썼다. 수업중 학생들의 반응에 따라 가르칠 내용을 축소하거나 삭제하기도 하고 수업방식을 달리하기도 하였다. 학생의 반응에 이처럼 가장 많이 관심을 보였고 수업모형에도 관심을 많이 보였다. 수업모형은 수업 중 가장 쉽게 보이는 부분이면서 초기 학교 연수에서 관리자들이 강조한 부분이기도 하였다. 예비 역사교사는 자신들이 관심을 보인 이런 부분에서 제대로 수업이 이루어지지 않은 날은 의기소침하기도 하고 자신감을 상실하기도 하였는데, 이럴 때 동료들에게 위로를 받았다. 동료는 잘 할 수 있다는 용기를 주는 존재이면서 자신의 수업에서 부족한 점을 타산지석 삼아 보여주는 존재이기도 하였다. 예비 역사교사들은 수업에 관심을 많이 보였지만 정작 ‘역사’ 수업에 대한 관심은 부족했다. ‘역사 내용=교과서 내용=수업 내용’이라고 생각하여 수업을 적극적으로 재구성하기보다 교과서 내용을 잘 전달한 후 학생들에게 흥미 위주의 활동을 진행하려고 하였다. 이런 과정에서 학습목표와 내용의 불일치, 중요한 내용과 부수적인 내용의 혼돈을 경험하였는데, 이는 스스로 깨닫기보다 지도교사의 피드백을 받은 후에 인식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지도교사는 수업의 형식적인 면보다 ‘역사’ 수업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해주어야 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교육실습이 잘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예비 역사교사 자신의 노력이 가장 중요하다. 교사가 적극적으로 수업을 재구성하기 위해서 자신의 내러티브를 만들어보는 연습을 꾸준히 해야 한다.

영문 초록

Teaching Practice is a very important gateway for pre-service teachers’ growth. This paper is aimed to look at the way that the pre-service history teachers taught a class during teaching practice. The analysis data from this study are diaries, practical journals, videos and in-depth interviews that pre-service history teachers made during teaching practice.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pre-service teachers were interested in the students reactions and class models. However, they were less interested in the content of history classes. Instead of actively reorganizing classes, they tried to convey the contents of textbooks to students and then conducted activities focusing on students’ interests. For a good class, a tutor should give essential feedback on history classes rather than the formal aspects of a class. and it is necessary to allow pre-service teachers to experience the process of organizing their class narratives. There is also a need for comfort and help from fellow. In short, it takes the help of a tutor, a fellows, and his own efforts to grow up to be a good teacher for the successful teaching practice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분석 대상 및 분석 방법
Ⅲ. 예비 역사교사는 어떻게 수업을 성찰하였는가?
Ⅳ. 수업수행 과정에서 드러난 예비 역사교사의 노력 그리고 지도교사, 동료와 관계
Ⅳ.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해영(Lee, Hae Young). (2018).교육실습 동안 예비 역사교사의 수업 성찰 과정 탐색. 역사교육연구, (32), 245-289

MLA

이해영(Lee, Hae Young). "교육실습 동안 예비 역사교사의 수업 성찰 과정 탐색." 역사교육연구, .32(2018): 245-28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