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내외 독립 선언문 다시 읽기

이용수 144

영문명
Declaration of Independence and Peoples Sovereignty: On the March toward Korean Democracy
발행기관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저자명
하희정(Hee-Jung Ha)
간행물 정보
『신학사상』신학사상 184집(2019년 봄호), 245~287쪽, 전체 43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독교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3.01
7,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3·1운동 어간에 발표된 독립 선언문들을 다시 들여다본다. 민족 독립이라는 협소한 개념에 갇혀 만세 운동으로만 각인된 3·1운동을 과거 역사가 아닌 완성을 향해가는 현재 진행형으로 읽고자 함이다. 국내외 선언문들은 ‘독립’과 ‘시민 주권’ 즉 ‘민주 공화’의 실현은 3·1운동을 이끈 쌍두마차요, 동전의 앞뒷면처럼 분리될 수 없는 개념임을 한목소리로 증언한다. 먼저 민주 공화 개념과 시민 주권 의식이 생겨나게 된 역사적 배경으로 19세기 말부터 진행된 근대 정체에 대한 논의 과정을 간단히 소개한다. 다음으로 국내외에서 발표된 ‘5종 세트’ 독립 선언서의 내용 구성을 살피고, 이들이 다양한 형식으로 ‘민주 공화’를 일관되게 선언함을 밝힌다. 선언문 각각에 대한 심층 분석이나 저자에 대한 인물 분석 보다는 3·1운동이 국내외로 흩어진 디아스포라 공동체로 존재하면서도 한민족의 에너지가 응축되어 폭발한 운동이었다는 점에 입각하여 이들 사이에 이루어진 소통의 흔적과 연동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선언문은 특정 개인의 손을 거쳐 나왔다 할지라도 한 개인의 지적 창작물로 인식되어서 안 될 것이다. 오히려 시대의 요구를 담아낸 기록으로서 집단 지성과 집단 실천의 산물로서 접근해야 할 것이다. 같은 맥락에서 내용 구성은 물론 발표 전 조율과 역할 분담이 이루어진 역사적 정황도 함께 살핀다. 끝으로 독립 선언서에 담긴 ‘민주 공화’가 대한민국 임시 헌장으로 구체화된 역사적 맥락을 짚어본다. 이번 연구를 통해 기독교는 3·1운동을 이끈 특별한 주인공이었다기보다는 시민 사회의 한 주체로서 함께 참여하고 연대했음을 확인하게 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reads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of Korea as lending crucial momentum to the idea that Korean democracy promotes a national sovereignty that rests with the people.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even Korean scholars have read this in the context of an anti-Japanese atmosphere; they have paid considerable attention to nationwide demonstrations against the Japanese occupation and people’s resistance to bloody suppression by Japan. However, we should not overlook that the March 1st Movement declared a “New Korea”, presenting a blueprint for an independent and egalitarian society. This study explores the selected manifestos that were produced by grassroots communities in solidarity and communication at home and abroad. The desire for a “New Korea” goes back to the late nineteenth century when Korea jumped into the race of modern nation-building in East Asia. Unfortunately, the Korean government failed to convert its political system into a modern one. This led to the Japanese occupation. The national crisis compelled progressive intellectuals and young people to devote themselves to establishing the “New Korea” in which national sovereignty would belong to the people, not to the king. Put simply, the March 1st Movement was a declaration not only for the restoration of an “Independent Korea” free from the Japanese occupation but also for the start of a Korean democracy based on egalitarianism and peoples sovereignty.

목차

Ⅰ. 여는 글
Ⅱ. ‘민주 공화’ 개념의 탄생
Ⅲ. 국내외 독립 선언문 탄생과 민주 공화국 선언
Ⅳ. 고종의 죽음, 국민 주권 그리고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탄생
Ⅴ. 나오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하희정(Hee-Jung Ha). (2019).국내외 독립 선언문 다시 읽기. 신학사상, 184 , 245-287

MLA

하희정(Hee-Jung Ha). "국내외 독립 선언문 다시 읽기." 신학사상, 184.(2019): 245-28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