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내한 선교사 클락(C. A. Clark, 1878-1961)의 목사 직분론
이용수 67
- 영문명
- C. A. Clark (1878-1961) ’s Views of the Pastoral Office and the Priesthood
- 발행기관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저자명
- 임 걸(Gol Rim)
- 간행물 정보
- 『신학사상』신학사상 184집(2019년 봄호), 143~179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3.01
7,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국 교회 목회자들의 정체성과 직무 정체성에 대한 이해는 어디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을까? 그것은 초기 내한 선교사들이 가르친 목회 신학에서 찾을 수 있다. 특히 본 논문은 1902년에 내한 한 초기 한국 교회 ‘실천신학의 아버지’라고 말할 수 있는 내한 선교사이자 실천신학자인 찰스 알렌 클락 (Charles Allen Clark, 한글 이름: 곽안련, 1878-1961) 의 목회 신학을 중심으로 그 기원을 찾아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클락의 목회신학을 목사직만이 갖는 영적 특수성과 차별화된 직무 자격, 목사직의 필수 조건으로서 위로부터의 부르심과 준비, 그리고 영혼의 지도자, 교육자, 사회 봉사자로서 목사의 정체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지금까지 내한 선교사들은 보수적이고 신학적으로 빈곤한 설교를 했다는 획일적인 비판에 반해, 학문적이면서 동시에 사회적 책임성이 강한 클락의 ‘진보적인’ 청교도형 목회자상을 밝히고, 다른 한편으로는 클락이 제시한 목사=신사 (선비) 라는 엘리트형 목회자상이 오히려 유교적 전통이 강한 초기 한국 교회와 사회에서 권위적이고 계급적인 목회자상으로 잘못 인식되고 적용된 부작용을 지적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초기 내한 선교사인 클락의 목사 직분론을 통해 오늘날 정체성 혼란으로 교회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한국 교회 목회자가 자신의 정체성을 다시 확립하도록 돕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영문 초록
Protestant missionary Charles Allen Clark (1878-1961) is a “pioneer and father of practical theology” for the Korean Reformed Church.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his views on the pastoral office and the priesthood. Clark insists the pastoral office has its own spiritual specificity and differentiates its requirements and identity from ordinary jobs. Especially he defines the three roles of the pastor, as spiritual leader, teacher and social leader. Then, he suggests that the proper position of the pastor in Korean society is a pastor who is professional, creative, and socially respectable. This study tries to show that his understanding of the pastoral office and the priesthood was based on a solid theological foundation and that he encouraged his parishioners do those roles, contrary to popular criticism that protestant missionaries in Korea had poor theology. However, his pastoral elitism contains a dangerous factor misunderstood as authoritarianism and formalism in Korean Confucian culture.
Finally, this study tries to find out what influenced his view of the pastoral office and what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his understanding of the pastoral office had on the Korean Reformed Church.
목차
Ⅰ. 머리말: 한국 교회 목사 정체성 이해의 기원
Ⅱ. 목사직과 일반 직업: 목사직의 차별성
Ⅲ. 목사직의 필수 조건: 위로부터의 부르심과 준비
Ⅳ. 목사 정체성: 목사란 누구인가?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루터와 칸트의 시대 인식과 개혁 정신
- 초대 교회 안에서 여성의 공적 지도력과 금욕주의
- 30년 전쟁과 베스트팔렌 평화 조약 연구
- 요한복음의 예수와 공기, 불, 물, 흙에 대한 상상력
- 한국기독교장로회의 1950-60년대 헌법 개정에 나타나는 특징
- 한국 개신교의 근본주의적 특성에 대한 종교 사회학적 고찰
- 이타주의에 대한 신학적 연구
- 국내외 독립 선언문 다시 읽기
- 로마 콘스탄티누스 황제 전·후 시대에 기독교의 유대교 박해
- 일제하 북간도 명동학교의 교과서에 나타난 민족주의와 근대 국가 개념
- 내한 선교사 클락(C. A. Clark, 1878-1961)의 목사 직분론
- 김재성의 『성서와 개성화: 개인과 집단의 치유 동력으로서 개성화 과정』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19.
- 예수, 옛 계약의 완성자인가 새 계약의 창시자인가?
- 편집후기
- 우물가 한신
- 비판적 다문화 담론과 한국적 다문화주의에 관한 연구
- ‘4차 산업혁명’ 시대, 신학 하는 새로운 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