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전후 한국과 일본의 지리교과서에 반영된 독도 인식
이용수 517
- 영문명
- Recognition about Dokdo Described in Geography Textbooks of Korea and Japan before and after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 발행기관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 저자명
- 심정보(Jeongbo Shim)
- 간행물 정보
- 『문화역사지리』제31권 제1호, 149~181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4.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일본의 독도영유권에 대한 억지 주장은 민감한 정치적 이슈로서 항상 한국과 일본의 지리교과서에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는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전후 한국과 일본에서 간행된 초중등학교 지리교과서 및 지리부도에 표현된 독도 내용을 고찰하여 그 성격을 명확히 한 것이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독립과 함께 독도는 한국의 영토가 되었다. 이 시기에 독도는 한국의 초중등학교 지리교과서에서 한국의 영토로 기술되었지만, 일본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1951년 9월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에는 독도의 귀속에 관한 문구가 제외되어 1952년 1월 이승만 대통령은 평화선을 선언하여 한국의 어업과 독도를 지키고자 했다. 이 시기에 한국의 지리교과서에서 독도는 지켜야할 영토로서 매우 적극적으로 기술되었다. 반면 일본에서는 중등학교 지리부도에서 독도를 일본령으로 표기한 지도가 소수 등장했을 뿐이다. 이러한 차이점은 독도를 반드시 수호하겠다는 한국의 강력한 대응이 지리교과서 및 지리부도에 반영된 결과이다.
영문 초록
Japan’s insistence on the sovereignty of Dokdo has always influenced geography textbooks in Korea and Japan as a sensitive political issue. This study examines the contents of Dokdo depicted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geography textbooks and school atlases published in Korea and Japan before and after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With Korea’s independence after World War II, Dokdo became the territory of Korea. At that time, Dokdo was described as a Korean territory in Korea’s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geography textbooks, but not in Japan. As the phrase “Reversion of Dokdo” on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in September 1951 was excluded, President Syngman Rhee, in January 1952, declared the Peace Line to protect Korea’s fishing industry and Dokdo. In that period, Dokdo was described evidently as a territory to be protected in Korean geography textbooks. In Japan, on the other hand, only a small number of maps were included in the secondary school atlases, which mark Dokdo as a Japanese territory. That indicates Korea’s strong willingness to adhere to Dokdo, reflected in geography textbooks and school atlases.
목차
1. 머리말
2.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독도 인식
3.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이후의 독도 인식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조선 사대부 원림의 땅 읽기(相地) 소고
- 선불교와 풍수비보의 산수미학* - 道元의 『山水經』과 道詵의 山川裨補說을 중심으로 -
- 일제강점기 가축전염병의 지리적 분포
- 사회문화적 아픔이 유발한 이동 - 치유를 목적으로 서울 한양도성을 걷고 있는 도시민을 대상으로 -
- 일본의 관광정책과 지역 재구성 - 일본판 DMO(Destination Management/Marketing Organization) 정책을 중심으로 -
- 儒學의 自然美와 조선 서원의 展望景觀* - 以美儲善과 以美啓眞의 自然美 -
- 도시, 자연, 환경 - 유럽 환경사의 도시환경사적 진화 -
- 경남 촌락가옥의 연구를 위한 계량적 접근법
- 일본 문학에 재현된 조선계 도공의 고향에 대한 문화지리학적 접근 - 시바 료타로의 소설 『고향을 어이 잊으리까(故鄕忘じがたく候)』를 중심으로 -
-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전후 한국과 일본의 지리교과서에 반영된 독도 인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리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지리학분야 NEW
- 한국고지도연구 제16권 제2호 목차
- 『도로고』(1770)와 『대동지지』 「정리고」(1864)의 도로망 복원과 노선 비교(1) - 경유지를 중심으로
- 읍지에 반영된 현실과 인식 - 『新定牙州誌』 번역 과정에서의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