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경남 촌락가옥의 연구를 위한 계량적 접근법

이용수 63

영문명
A Quantitative Approach for Studying the Rural Housing in Gyeongnam
발행기관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저자명
이호욱(Howook Lee) 이 전(Jeon Lee)
간행물 정보
『문화역사지리』제31권 제1호, 84~97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4.30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경남 촌락의 현대가옥을 대상으로 지붕형태, 지붕재료, 외벽재료의 관점에서 가옥 유형을 분류하였고 각 유형과 분포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였다. 기존의 연구방법인 정성적 분석 방식과 함께 정량적 통계 기법인 요인분석과 주성분분석을 촌락가옥 연구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 자료는 방대한 양의 자료이기 때문에 SPSS 24 통계 프로그램 사용하여 정량적인 방식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었다. 가옥 유형과 센서스 통계 자료를 분석 변수로 선정하고 동일 요인이나 주성분으로 묶이는 변수들을 확인하여 추출된 요인 또는 주성분의 구조를 규명하 였고, 함께 적재된 통계 자료로써 해당 가옥 유형의 특성을 계량적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가옥 유형을 대상으로 요인분석을 한 결과, 요인 1(신축 가옥 요인)은 동부도시 지역과 북서부 지역을 중심으로, 요인 2(촌락·도시 요인)는 서부 지역을 중심으로, 요인 3(내륙·해안 요인)은 북서부 지역과 동부도시 지역을 중심으로, 요인 4(평지붕 가옥 요인) 는 남서부 지역을 중심으로 우세하게 분포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types and distribution of modern rural housing in the Gyeongnam Province of Korea, with a special focus on the roof shapes/materials and outer wall materials. Quantitative analyses such as the factor analysis and 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ere applied along with the traditional/qualitative analysis to the study of rural housing. Due to a large quantity of information covered in this study, quantitative method using the SPSS 24 statistics program were employed for the analysis. House types and census statistical data were selected as analytical variables, while the variables classified by the same factor or principal component were identified and the structure of the extracted factor or principal component was identified. The findings gave explan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house type with statistical data loaded together. The result of the factor analysis for the types of rural housing in Gyeongnam is as follows: Factor 1 (new housing) is dominant in the eastern urban area and the northwest area; factor 2 (village, city), in western area; factor 3 (inland, coast), in the northwest area and the eastern urban area; factor 4 (flat roof housing), in the southwest area.

목차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연구 방법
3. 요인분석과 주성분분석의 결과
4. 가옥 유형에 대한 요인의 분포와 특성
5. 요약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호욱(Howook Lee),이 전(Jeon Lee). (2019).경남 촌락가옥의 연구를 위한 계량적 접근법. 문화역사지리, 31 (1), 84-97

MLA

이호욱(Howook Lee),이 전(Jeon Lee). "경남 촌락가옥의 연구를 위한 계량적 접근법." 문화역사지리, 31.1(2019): 84-9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