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加耶 轉換期의 墓制와 繼承關係

이용수 428

영문명
The tombs at the turning point of Gaya and their inheritance relation
발행기관
부산고고학회
저자명
김두철(Kim, Doochul)
간행물 정보
『고고광장』13권, 113~150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12.30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고구려군 남정을 계기로 대성동과 복천동 유적의 연계를 통한 낙동강하구역의 전기가야연맹은 해체되고 경주세력이 급성장한다. 그 한편으로 낙동강 서안의 내륙지역에는 새로운 신흥세력이 대두되어 후기 가야의 중심소국으로 성장한다. 그런데 이들 각지 세력의 성장에는 부장품의 질적, 양적 변화는 물론이고 묘제에서도 큰 변화가 보인다. 각지에서 일어난 묘제의 변화는 그 지역의 정체성과도 깊이 관련되어 독자성을 지닌다. 본고에서는 가야 소국 중 발굴조사 자료가 풍부하고 전환기의 양상을 잘 보여주는 함안 도항리·말산 리유적, 합천 옥전유적, 고령 지산동유적을 대상으로 묘제의 변천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유적들은 아라가야, 다라국, 대가야의 왕묘역으로 추정되는 곳이기도 하다. 특히 묘제는 묘형과 내부시설인 목관의 구조 복원을 통해서 접근하고자 하였다. 목관의 구조복원은 관상과 꺾쇠 및 관정을 이용한 전고 (2010)의 성과를 토대로 발전시킨 것이다. 그 결과 아라국은 비교적 이른 시기인 남정 직후에 김해와의 접촉을 통해 독자적 묘형을 확립하였다. 이에 반해 다라국과 가라국은 전기가야 해체 이후에 전환기를 맞는다. 지리적으로 인접해 있으면서도 서로 판이한 묘제를 채택하는데, 이는 변화를 주도한 세력의 출계와도 관련이 있다. 즉, 凹床(또는 列床)의 관상을 사용하고 관의 결구에 꺾쇠를 사용하는 옥전유적은 복천동유적에 닿아 있고, 平床에 꺾쇠와 관정을 병용하는 지산동유적은 대성동유적과의 관련성이 깊다. 그러면서 꺾쇠의 변용 등 지역 독자성을 가미해 발전시키고 있다. 이처럼 전통성이 강한 묘제를 통해서 후기가야 제 세력의 성장 배경과 그 과정을 파악하려한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영문 초록

After the southern conquest of the Goguryeo forces, the Former Gaya - the Daesungdong and the Bokcheondong group were connected - in the downstream area of the Nakdong river was disbanded, and the Gyeongju grew rapidly. Meanwhile, the new groups were appeared in the western inland area of the Nakdong river and grew as the centre of the Later Gaya. However, it shows a great change in the tomb as well as the grave goods. The change of the tomb in various parts shows its identity. In this paper, the progress of the tomb in the Dohangri·Malsanri site of Haman, the Okjeon site of Hapcheon and the Jisandong site of Goryeong that the excavated data is enough and it shows the aspect at the turning point is checked. These tombs are also thought as the graveyard of Kings of AraGaya, Dara and DaeGaya. Especially, the form of a tomb and the structure of a wooden coffin were focused. The restoration of the structure of a wooden coffin is based on my previous paper in 2010. As a result, AraGaya established its own tomb contacting with Kimhae immediately after southern conquest of the Goguryeo. However, Dara and DaeGaya were at a turning point after the Formal Gaya was disbanded. Theses two groups adopted different tomb each. It is connected with its descent that took the lead in this change. In other words, the Okcheon site is connected with the Bokcheondong site as using the 凹-shaped platform and coffin clamp. The Jisandong site is related with the Daesungdong site as using the flat platform and coffin clamp and coffin spike. It is also developed with the local identity such as the transformation of coffin clamp.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background of the various groups of the Later Gaya and their progress through the tomb that has strong tradition, and I could achieve the desired result.

목차

Ⅰ. 머리말
Ⅱ. 연구방법과 전제
Ⅲ. 가야 전환기의 묘제
Ⅳ. 계승과 변용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두철(Kim, Doochul). (2013).加耶 轉換期의 墓制와 繼承關係. 고고광장, 13 , 113-150

MLA

김두철(Kim, Doochul). "加耶 轉換期의 墓制와 繼承關係." 고고광장, 13.(2013): 113-1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