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大成洞 88, 91號墳의 무렵과 의의

이용수 205

영문명
Toward the Meaning of Tomb Nos. 88 and 91 at the Daeseong-dong Site
발행기관
부산고고학회
저자명
申 敬 澈(Shin, Kyungchul)
간행물 정보
『고고광장』13권, 89~11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12.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작년에 행해진 김해 대성동고분군 제7차 발굴조사 성과는 학계의 비상한 관심을 끌고 있다. 88, 91호분의 대형목곽묘에서 한반도에서는 前燕과 관련되는 유물이 다량 출토되었기 때문이다. 이들은 각각 필자와 발굴조사담당자의 금관가야토기 편년 Ⅲ단계와 Ⅳ단계에 해당된다. 이 前燕관련 유물이 지니는 의미는 크다. 그것은 무엇보다도 지금껏 다양한 의견이 존재한 금관가야토기, 나아가 도질토기의 절대연대를 확정하는 데 으뜸가는 자료가 된다는 점에 있다. 한편 이러한 전연관련 유물이 지니는 의의를 추구하기 위해서는, 이 무렵의 금관가야의 분위기에 대한 이해의 전제가 필수 적이다. 그래서 이 무렵의 금관가야에서 간취되는 고고학적인 제현상을 추출한 결과, 이 무렵은 금관가야에서 발생한 도질토기가 영남의 諸地域으로 확산하고, 土師器系土器가 등장하며, 일본열도 중추부의 물품인 凝灰巖製石製品·巴形銅器·筒形銅器들이 금관가야의 분묘에 부장되는 시기임이 판명되었다. 이는 금관가야토기 Ⅰ단계에 성립된 금관가야가 이 무렵부터 매우 안정화되었음과 동시에, 비약적으로 발전하였던 시기였음을 웅변하는 것이다. 이 무렵의 전연관련 유물은 이러한 현상을 반영하는 것임이 분명하다. 이는 이후에 전개되는 가야문화의 규명과 이해에 대단히 중요하 다. 다른 한편 금관가야지역에 북방문화가 본격적으로 반영되는 시기는, 대성동 88, 91호분의 발굴 조사 담당자에 의해, 종래에 제시된 금관가야 토기편년 Ⅰ단계가 아닌, 同 Ⅲ단계라는 새로운 의견이 피력되었으나, 재검토한 결과 同Ⅰ단계부터가 타당한 것임을 다시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e academic community has a soaring interest in the results of the seventh excavations of the Daeseong-dong Mounded Tomb Group in Gimhae. This is because many artifacts related to Former Yan (前燕) were excavated from the large-scale wooden coffin tomb Nos. 88 and 91. These are thought by individual authors and the head of the archaeological team to correspond to the relative dating Phases II and IV of the Geumgwan Gaya chronological scheme. The Former Yan artifacts carry great meaning. Even more than that there are many opinions about that and the absolute dates determining Geumgwan Gaya pottery advancing to hard-fired pottery. The point is that this is the top data. On the other hand, for the purpose of seeking the meaning of these kinds of artifacts related to Former Yan, the premise is material to an understanding of the environment of Geumgwan Gaya. So toward extracting and detecting important archaeological phenomena from Geumgwan Gaya, pottery of Geumgwan Gaya that became hard-fired ceramics spread in parts of the Yeongnam region. Haji pottery appeared, stone items made from volcanic tuff, and pinwheel-shaped and cylinder-shaped bronze implements of the central part of the Japanese archipelago. It has become known that these grave goods are of the Geumgwan Gaya period. These were established and rapidly stabilized toward Phase I of Geumgwan Gaya pottery. It is clearly that toward this time the artifacts related to Former Yan were a phenomenon that is clearly reflected. This is very important in the investig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later spread of Gaya culture. On the other hand, this is the period in which the northern culture is reflected in earnest in Geumgwan Gaya. According to those in charge of the archaeological excavations of Tomb Nos. 88 and 91 at Daeseong-dong, rather than the traditionally offered opinion that it is the pottery Phase I, they state frankly that their new opinion is that it is Phase III. Or perhaps the reevaluation of Phase I is valid as pointed out above.

목차

Ⅰ. 머리말
Ⅱ. 연대
Ⅲ. 금관가야토기
Ⅲ단계에 간취되는 諸現象
1. 陶質土器의 확산
2. 土師器系土器의 등장
3. 凝灰巖製石製品, 巴形·筒形銅器의 부장
Ⅳ. 몇 가지 문제와 의의
1. 유입루트와 성격
2. 전연문화의 영향과 의의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申 敬 澈(Shin, Kyungchul). (2013).大成洞 88, 91號墳의 무렵과 의의. 고고광장, 13 , 89-112

MLA

申 敬 澈(Shin, Kyungchul). "大成洞 88, 91號墳의 무렵과 의의." 고고광장, 13.(2013): 89-1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