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內陸樣式 古式陶質土器의 硏究

이용수 210

영문명
A Study on the Inland Style - Early Style Stoneware
발행기관
부산고고학회
저자명
이초롱(Lee, Chorong)
간행물 정보
『고고광장』13권, 29~69쪽, 전체 4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12.30
7,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공통양식론에서부터 출발한 고식도질토기에 관한 연구는 현재 김해·부산양식과 공통양식의 이대양식론으로 대별되기에 이르렀다. 그 중 기형 및 기종구성이 유사한 공통양식 고식도질토기가 4 세기대 영남의 각 지역에서 확인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에 관하여 함안을 중심에 두고 그 토기문화가 지역 확산되었다는 함안중심설과 여러 지역에서 동시 제작 사용되었다는 자체제작설의 두 가지의 커다란 관점을 중심으로 여러 의견들이 제기되어 왔다. 본고는 영남지역에서 출토되는 공통양식 고식도질토기를 내륙양식 고식도질토기로 명명한 후, 자체제작설을 인정하는 입장에서 이를 검토하고 그 배경을 살펴보았다. 각 지역에서 출토되는 주요 기종 중에서 호류를 제외한 비교적 출토비율이 높은 고배, 노형기대, 파수부배, 개, 옹류를 대상으로 형식분류를 하였다. 형식설정에는 시간성만을 고려하지 않고 공간성도 고려하였기에 시·공간성을 반영한 다양한 범주의 것이 개별형식으로 설정되었다. 시간성을 가지는 속성을 중심으로 형식을 구성하는 조합을 시간순으로 배열하여 단계를 설정하였다. 이를 통해 4세기대 영남지역의 내륙양식 고식도질토기문화는 함안권, 진주·사천·하동권, 경주권, 대구권, 합천권의 5개 권역으로 나눌 수 있었다. 또한 권역별로 각자의 토기문화를 가지고 변화·발전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내륙양식 고식도질토기가 한 지역에서부터 단선적으로 분화·발전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최소한 각 권역은 밀접한 상호 관계를 가지고 있었지만 함안지역의 발달된 토기생산기술과 지리적 이점으로 인해 함안권의 토기가 더욱 넓은 지역에까지 확산될 수 있었다. 따라서 그것이 함안의 정치세력을 상정하거나 함안이 시종일관 중심적 역할을 하면서 타 지역 토기에 대한 생산 및 수급에 영향력을 미쳤다고는 보기 어렵다.

영문 초록

The Inland style - Early style stoneware which has got similar form and type assemblage has been discovered around Young-nam area during the 4th century. Various opinions focused on two different points; Haman-centered theory that the pottery culture spread territorially centered on Haman, and self product theory that the pottery was produced and used in various parts at the same time, have been proposed about this phenomenon. I examined Inland style - Early style stoneware all parts of Young-nam area based on these studies so far. I did apply type classification to a brazier-Shaped pottery, a mounted dish, a mug-shaped pottery, a lid and a pot which are excavated in a high rate comparatively except a jar in main types. Through this they were divided into five regions; Haman region - centerd on Haman, Uiryeong, Masan and Jinju, Jinju·Sacheon·Hadong region - include some part of Sacheon, Hadong, Hamyang and Jinju, Gyeongju region -Gyeongju, Pohang and Ulsan, Dagu region - Dagu and Gyeongsan, Hapcheon region. Through this local examination, it is confirmed that each region -Haman, Jinju·Sacheon·Hadong, Gyeongju, Daegu, Hapcheon region - was changed and developed with its own pottery culture. It is hard to understand that the inland style - early style stoneware was divided and developed from one region unilinearly. However, it is also hard to understand that the early style stoneware culture was developed in these region at the same time. There is a time difference in the development of the early style stoneware culture.

목차

Ⅰ. 머리말
Ⅱ. 연구사 검토 및 연구목적
Ⅲ. 형식분류와 단계설정
1. 형식분류
2. 단계설정과 편년
Ⅳ. 지역색과 전개양상
1. 지역권의 설정
2. 권역별 전개양상
3. 내륙양식 고식도질토기의 분포와 의의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초롱(Lee, Chorong). (2013).內陸樣式 古式陶質土器의 硏究. 고고광장, 13 , 29-69

MLA

이초롱(Lee, Chorong). "內陸樣式 古式陶質土器의 硏究." 고고광장, 13.(2013): 29-6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