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인지이론이 미술교육목표분류학 설계에 주는 시사점 탐구

이용수 200

영문명
A Study on the Implications of Cognitive Theories on Developing the Taxonomy of Art Educational Objectives
발행기관
한국미술교육학회
저자명
김동욱(Kim, Dong Uk)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논총』美術敎育論叢 第33券 1號, 117~142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2.28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인지에 기초한 새로운 미술교육목표분류학을 개발한다는 목표아래 인지이론이 새로운 분류학 체계 개발에 어떤 시사점을 주는지 탐구한다. 이를 위해 1960년대 이후 인지연구의 흐름과 미술교육의 연관성을 살펴보고, 기존 교육 목표분류학의 체제를 인지이론을 바탕으로 검토하였다. 1960년대의 정보처리 이론은 지각의 인지적 성격을 밝혀 시지각 교육으로서 미술교육의 근거를 제공하였고, 1970~80년대의 상징체계론은 상징 처리와 해석의 관점에서 문해력 교육으로서 미술교육의 인지적 성격을 밝혀주었다. 1990년대 이후의 체화된 인지이론은 신체 감각과 행위, 외부환경까지도 인지에 포함시킴으로써 미술교육의 확장된 인지에 대한 이론적 바탕을 제공하였다. 한편 블룸의 교육목표분류학과 이를 수정한 앤더슨과 크래스홀의 분류학은 명제적 지식과 사고만 다루고 있어 직관과 정서 등 미술교육적요소들을 배제하는 한계가 있다. 그리고 윌슨의 미술교육평가분류학은 모더니즘 미술의 형식주의와 학과 중심 성격으로 인해 현대 미술교육의 다양성을 포괄하지 못한다. 따라서 인지주의의 관점에서 기존 분류학의 문제점을 개선한 새로운 미술 교육목표분류학 체계 개발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mplications of cognitive theories on developing a new taxonomic system of art educational objectives. For this purpose,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education and the flow of cognitive researches since the 1960s has been examined, and the existing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was examined based on cognitive theories. The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of the 1960s revealed the cognitive nature of perception, and provided the basis of art education as visual education. And the symbolic system theory of the 1970s and 1980s revealed the cognitive nature of art as literacy education in terms of symbol processing and interpretation. Since the 1990s, the embodied cognitive theory has provided a theoretical basis for expanded cognition in art education by including sense, behavior, and external environment into cognition. On the other hand, Bloom s taxonomy, as the standard of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nd Anderson and Krathwohl s taxonomy which modified Bloomʼs one, both deal with only propositional knowledge and thinking, so there is a limit to exclude the art educational elements such as intuition and emotion. Meanwhile, Wilson s taxonomy of art educational assessment does not cover the diversity of contemporary art education due to the formalism in modern art and the nature of academic department center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ew system of taxonomy of art educational objectives which improves the problems of existing taxonomy from the perspectives of cogni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인지 연구와 미술교육의 연관성
Ⅲ. 인지이론 관점의 교육목표분류학 체계 재검토
Ⅳ.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동욱(Kim, Dong Uk). (2019).인지이론이 미술교육목표분류학 설계에 주는 시사점 탐구. 미술교육논총, 33 (1), 117-142

MLA

김동욱(Kim, Dong Uk). "인지이론이 미술교육목표분류학 설계에 주는 시사점 탐구." 미술교육논총, 33.1(2019): 117-1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