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후기, 의학(醫學)과 실학(實學)의 관계에 대한 재고(再考): 18세기 전반까지를 중심으로

이용수 341

영문명
A Re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cal Science and Silhak in Late Joseon Dynasty
발행기관
의료역사연구회
저자명
김성수(Kim, Seong-Su)
간행물 정보
『의료사회사연구 [ISSN : 2635-6333]』의료사회사연구 제2집, 5~31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0.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6세기 말까지 누적된 모순에 더하여 왜란과 호란으로 붕괴된 조선의 사회적, 경제적 기반들을 재건하기 위한 논의가 17세기 이후로 계속되었다. 국가의 재건과 운영 방식을 둘러싸고 벌어진 정치적 갈등이 격화된 가운 데, 조선전기에 마련된 ≷경국대전≸ 중심의 국가체제로 재정비하는 동시에 주자학 도통주의를 강화하는 것이 핵심 이었다. 그러나 달라진 사회 환경에 적절한 국가운영 방식을 모색하고 사상적 전회를 꾀하는 학자-이른바 실학자들도 등장하였는데, 이로써 조선후기 사상계는 주자학도통 주의와 실학이라는 구도로 형성되었다. 이러한 조선후기 사회⋅사상계의 동향과 유사하게 의학 계에서도 다양한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경국대 전≸ 체제의 의료행정이 계속 고수되었지만 민간에서의 의료행위는 더욱 활발해지고, 특히 다양한 형태의 의료 인이 다수 등장하여 활동하였다. 현재까지 알려진 것처럼 다종의 경험방(經驗方)이 등장할 수 있었던 일차적 배경은 바로 많은 수의 의료인이 등장하였다는 사실이다. 다만 선학들이 주장하였던 것처럼 실학과의 밀접한 관련성 때문에 의학의 자주성⋅실증성⋅전문성 등이 확대되 었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18세기 전반까지를 주로 살펴본 결과, 실학의 전개와는 상관없이 의학의 다양성이 확대되었다고 이해하는 편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물론 ‘실(實)’과 ‘험(驗)’ 같은 담론이 기층에 깔려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조선후기 의학 사의 전개과정에서 어떤 특징적인 요소로 작용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기본적으로 동아시아 의학의 전통에서 음양오행론과 같은 이론적 배경 이외에도 ‘실’제의 임상과정에서 검증된 경‘험’이 중요하다고 인식되어 왔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실’이나 ‘험’을 중시하는 태도가 의학에 미친 영향을 간과할 수는 없다. 다만 경험이라는 일회적 사건을 객관화된 조건 속에서 축적⋅분석해 나감으로써 의학의 발전이나 이론의 전환을 이끌어내기에는 영향력이 부족 하였다. 그러나 18세기 중반이후로 조선의 의학계에서 나타난 새로운 현상인 상세한 의안(醫案)의 등장은 새로운 가능성을 여는 계기로 작용하였고, 18세기 내내 다수 등장한 경험방이 그 시발점으로 역할을 하였다고 의의를 부여할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After the 17th century, discussions occurred about rebuilding the Joseon dynasty’s social and economic foundations that were destroyed by the Japanese invasion and the Manchu war. Additionally, social contradictions that had built up prior to the late 16th century continued to exist. Political conflicts intensified surrounding how to reconstruct and run the country; the core idea was to reorganize the national system as proposed in Gyeonggukdaejeon(經國大典), written in the early Joseon period, and to strengthen the daotong(道統) theory of neo-Confucianism at the same time. Meanwhile, scholars of Silhak(the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who explored how to run the country in a way suitable for society’s changing circumstance, appeared and sought ideological revolution. As a result, the philosophical realm in the late Joseon dynasty was formed by the daotong theory of neo-Confucianism and Silhak. Akin to social and philosophical trends during this time, various changes were underway in the medical society. The public medical system was maintained as proposed in Gyeonggukdaejeon, but medical activities in the private sector diversified, and a large number of medical professionals of various types emerged. Although many types of medical books appeared, primarily because of the increase of medical professionals, one cannot conclude definitively, that medical science became more independent, substantial, and professional because of its close ties with Silhak as some scholars argued in the past. According to historical records before the early 18th century, medical science grew more diverse regardless of development of Silhak. Even if we assume that discourses regarding ‘reality(實)’ and ‘experience(驗)’ underlay the development of medical science, it is hard to say that these were distinctive element in how medical science developed in the late Joseon period. It is because, in addition to theoretical background such as the theories of yin and yang and five elements of the universe, there was the long-standing perception in East Asian medicine that ‘experiences’ tested in ‘real’ clinical environment were important. Although the impact of this attitude, which emphasized ‘reality’ and ‘experience’ in medical science, cannot be overlooked, the efforts of accumulating and analyzing unique events of such experiences objectively were not influential enough to cause advancement in the medical science or its theories. Nevertheless, the emergence of detailed medical records in the mid-18th century, a new phenomenon in the medical world, unleashed new possibilities, and we can say that the many medical books that appeared throughout the 18th century triggered this phenomenon.

목차

1. 머리말
2. 의학의 배경
3. 의학과 실학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성수(Kim, Seong-Su). (2018).조선후기, 의학(醫學)과 실학(實學)의 관계에 대한 재고(再考): 18세기 전반까지를 중심으로. 의료사회사연구 [ISSN : 2635-6333], 2 , 5-31

MLA

김성수(Kim, Seong-Su). "조선후기, 의학(醫學)과 실학(實學)의 관계에 대한 재고(再考): 18세기 전반까지를 중심으로." 의료사회사연구 [ISSN : 2635-6333], 2.(2018): 5-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