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체제전환기 동유럽 공산주의의 과거사 정리 문제

이용수 79

영문명
Coming to Terms with the Communist Past in the Transition to Democracy : The Case of Post-Communist Hungary
발행기관
한국세계문화사학회
저자명
김대순(Dae-Soon Kim)
간행물 정보
『세계역사와 문화연구』제35집, 163~193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6.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체제전환기 헝가리 공산주의 과거사 정리의 입법안 과정과 의미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민주 체제전환 직후 헝가리는 구 공산주의 과거사 정리를 촉구하는 사회적 목소리는 저조하였다. 과거사 정리 문제는 애초부터 정치엘리트가 주도하였던 정당정치의 대립적 국면을 나타내었고, 이러한 특성은 당시 집권당인 헝가리민주포럼과 제 1 야당인 자유민주연합 간을 중심으로 대립과 갈등으로 표면화되었다. 서로의 이해관계를 관철시키려는 과정에서 양자 간의 타협과 합의안 도달에는 실패하였고, 결국 과거사 정리 문제는 대통령의 중재로 헌법재판소에서 판결되었다. 당시 헌법재판소는 도덕적 책임의 구실로 구체제의 단죄를 촉구했던 집권당의 반 공산법은 위헌이라고 판결하였고, 이에 헝가리는 비교적 완화된 형태의 과거사 정리 방안이 시행되었다. 특정 중대 범죄자를 사법처리하려는 목적으로 채택된 제테니·터카취 법안은 이미 만료된 공소시효를 임의적으로 연장하려는 시도가 문제되었으며, 1956년 헝가리혁명 특별법은 국제법이 제시한 전쟁범죄에 해당하지 않았다. 단 헌법재판소는 1956년 혁명 당시 발생한 범죄는 국제법이 제시한 반 인류범죄에 해당하므로 관련범죄자는 공소시효에 상관없이 기소될 수 있다고 판결하였다. 공직자의 투명성을 촉진하고 과거사 정화를 목적으로 입법화된 적격심사법은 공직자의 자율적 판단과 양심의 가치가 최대한 반영된 입법안이었다. 본 법안에 따르면 과거가 의심되는 공직자도 공직에 진출할 수 있는 동등한 자격이 부여되었는데, 추후 공직자의 청렴성이 문제가 될 경우에만 관련자 이름이 대중에게 공개되는 유순한 입법안이었다. 자기 판단의 미덕을 강조한 본 법안은 기대와는 달리 공직자의 비양심성이 문제가 되었고, 그 결과 법안이 추구한 본래의 가치는 훼손되었다. 또한 관련법의 적용대상이 정권별로 그 범위가 임의적으로 변경됨은 법안이 추구하였던 본래의 목적 달성에 저해요소로 작용하였다. 결론적으로 체제전환기 헝가리가 채택한 과거사 정리 법제화 시도는 실패로 귀결되었고, 그 결과 불투명한 과거로 인한 사회 내 불안과 의혹 그리고 갈등은 국민통합과 상생의 실현에 저해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analysis of legislative process and policy-making pertaining to transitional justice in post-Communist Hungary has suggested that reconciliation with the past was a highly politicized issue reflecting the deeply divided political character of early parliamentary politics. Grounded by moral obligation of the state, the conservative Antall government attempted to call the Communists to account by adopting a series of anti-Communist legislation. In contrast, the opposition who questioned the possible social consequences of the legislation and political motifs behind it were against the government initiative. Both parties failed to draw a compromise solution, and during the legislative debates of anti-Communist bills, the president Göncz stepped into the event by calling upon the Constitutional Court s intervention. Upon Göncz s request, the Constitutional Court issued a ruling that the anti-Communist legislation was against the Constitution. The Law of Zétényi-Takács, which reset the statue of limitations for the punishment of certain serious criminals was found to be unconstitutional, as its retroactivity within the legal framework contravened the principle of legal security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The Court underscored the democratic principle that everyone is equal before law and under no circumstance can the law be distorted by the state. In response, the Antall government adopted another special Act on the Procedure related to certain crimes committed during the development of the 1956 Revolution. According to the original draft bill, crimes that committed during the 1956 Revolution were considered to be war crimes, and, that definition by international law in effect at the time, would not fall within the statute of limitations. Göncz, who questioned the legality of the Special Act, however, once again turned to the Constitutional Court, requesting a judicial review. In its decision, the Court ruled that crimes that committed during the 1956 Revolution did not fall within the category of war crimes by the definition of international agreements. The Court, nonetheless, found that, according to the Geneva Convention of 1949 and the New York Convention of 1968, crimes committed during the 1956 Revolution belonged in the category of crimes against humanity. This ruling opened a possibility of legal proceedings against the perpetrators who had committed crimes but not prosecuted for political reasons in the past, could now be brought to justice. In reality, however, this expectation was never met due to the lack of reliable hard evidence, and the vast portion of which had already been discarded by the authorities during the democratic transition. Witnesses who could have given testimony or counter-testimony in a court were also few, and that deficiency hampered the enforcement of law. In its last attempt, the Antall government adopted the law of screening in the expectation that this legislation could help the sitting political elites confront with the past honestly. The significance of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and privacy that underlined in the original legislation was, however, overshadowed by the dishonesty of elites and their political manipulations. Consequently, the question of dealing with the past in post-Communist Hungary remained unaddressed, and continue to reappear as a pawn in the struggle for political power.

목차

머리말
1. 공산주의 과거사 정리를 위한 법제화 과정
1.1. 제테니·터카취 법안
1.2. 1956년 헝가리혁명 특별법
1.3. 적격심사법
2. 헝가리 과거사 정리 사례의 비교사적 함의
결어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대순(Dae-Soon Kim). (2015).체제전환기 동유럽 공산주의의 과거사 정리 문제. 세계역사와 문화연구, 35 , 163-193

MLA

김대순(Dae-Soon Kim). "체제전환기 동유럽 공산주의의 과거사 정리 문제." 세계역사와 문화연구, 35.(2015): 163-19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