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러일전쟁 직후 일본 해군의 국가구상과 군사전략론 - 사토 테츠타로(佐藤鐵太郞)『帝國國防史論』(1908)을 중심으로

이용수 214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정치외교사학회
저자명
박영준
간행물 정보
『한국정치외교사논총』제26집 제1호, 285~312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4.08.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러일전쟁 이후 일본의 판도는, 청일전쟁 이후 식민지화하고 있던 타이완에 더해, 새롭게 한반도 및 남부사할린, 그리고 남만주 일대에까지 확대되었다. 영역의 확장에 기반하여 일본은 기존 화이질서 하의 청국을 대체하여 동아시아지역의 패권국으로 부상하게 되었다. 일본의 군사전략가들은 상승한 일본의 국제적 지위와 국력수준에 걸맞는 국가전략 및 군사전략을 강구하지 않으면 안되게 되었다. 1907년 육군의 주도에 의해 책정된 제국국방방침(帝國國防方針)이나 1908년 해군 대좌 사토 테츠타로(佐藤鐵太郞)에 의해 저술된 『제국국방사론(帝國國防史論』 등은 새로운 군사전략 모색의 과정에서 도출된 산물들로 볼 수 있다. 그런데 기존 연구들에서는 사토 테츠타로의 저작을 단지 클라우제비츠의 『전쟁론』에 비견하거나 평면적으로 소개하는 데에 그치고 있다. 본 연구는 사토 테츠타로의 『제국국방사론(帝國國防史論)』이 , 육군에 의해 주도된 제국국방방침과의 전략론적 대립 속에서 쓰여진 논쟁적인 저작이라는 관점에 입각해서 그의 전략사상을 도출하고, 제국국방방침과의 차별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점들이 확인되었다. 첫째, 사토는 제국국방방침에서 주창되었던 개국진취(開國進就)의 국시에 반대하면서, 이를 대체하는 국가전략의 방향으로서 방수자위(防守自衛)를 표방하였다. 둘째, 사토는 대륙에 대한 적극적 진출을 주창한 제국국방방침의 전략과 달리, 일본으로서는 오히려 중국과 조선의 근대화를 지원하면서 대륙의 세력균형을 도모해야 하고, 나아가 조선을 방기해야 한다는 결론을 제시하고 있다. 셋째, 사토는 일본이 바다로 둘러싸인 해국(海國)이라는 인식 하에서 육군 중심적 군비증강보다는 해군중심적 군비증강을 추구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넷째, 사토는 러시아와 미국을 가상적으로 상정한 제국국방방침과 달리, 해군력의 기준에서 독일을 가상적으로 상정하고, 그에 대비한 해군력 증강을 군비의 목표로서 제시하였다. 이상의 고찰에서 드러나듯 사토의 군사전략론은 러일전쟁 직후 일본의 정부가 공식적으로 확정한 제국국방방침의 군사전략론과 대립되는 성격을 갖고 있다. 다시 말해 러일전쟁 직후 일본 군부 내에서는 일본이 추구해야 할 군사전략의 방향을 둘러싸고, 제국국방방침에서 드러나듯 개국진취적 대륙확장론과 사토가 제시하는 바와 같은 방수자위적 해군증강론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같은 전략론의 대립 속에서 일본은 결국 개국진취적 대륙확장론을 국가전략으로서 채택해 갔다. 그같은 전략의 채택이 신생 제국으로서 일본에 적절한 국가전략이었던가는 후일의 역사가 증명하고 있다. 변방에서 중심으로의 이동이 그에 걸맞는 적절한 국가전략의 선택을 요구함을 러일전쟁 이후 일본의 사례가 여실히 보여준다고 할 것이다.

영문 초록

After the Russo-Japanese war(1904-05), Japan could enlarge its dominium into Korean peninsula, south Manchuria and southern Sahkarin besides Taiwan which was acguired in 1895. As a result, Japanese colonial empire was formed, substituting Chinese empire before. Borrowing structual realist s concept, Russo-Japanese war was a hegemonic war in the system of East Asian region in that sense it created a new Japanese empire system on the basis of the change of power distribution. Facing the new reality, Japanese strategists had a task of constructing new strategy to maintain a newly formed colonial empire. Imperial Defense Policy(帝國國防方針) which was decided in 1907 by the Japanese Government, and On the History of Imperial Defense(帝國國防史論) which was written in 1908 by naval officer Sato Tetsutaro could be interpreted as a response to a task forming new empire s external military strategy. Some researches maintained that Japanese army and the navy after the Russo-Japanese war had no great strategical difference and cooperated to take effect the Imperial Defense Policy. But I will try to suggest that there was a severe debate between the army and the navy on the new strategic direction after the Russo-Japanese war. Based on Sate s writings, I reached such concluisons. First, Sato had proposed a self-defense strategy(防守自衛), contrary to the open country s forward strategy(開國進就) of the Imperial Defense Policy. Second, Sato put forward a strategy of non-intervention toward the Asian continent. According to him, it would be more effective for Japan, as a balancer, to control the continent s balance of power by supporting the modernization of China and Korea. It was a manifest challenge to the Policy which advocated the active intervention and provocative posture toward the Asian continent. Third, the Policy maintained that Japan should pursue the military build-up by doubling the number of Army divisions and Navy battleships. But Sato only stressed the importance of the naval construction to defend the Japan, a sea-surrounded country(海國). Finally, he proposed that Japan should furnish the naval construction to defend a would-be onslaught from German navy. Calculating the present naval build-up plan of seven main countries(America, England, France, Italy, Russia, Germany and Japan), he concluded that Germany could be a future s main naval enemy for Japan. Preparing the possibility of German fleet s offense toward Japan, naval build-up was enevitable for him. From the above summary, we can know that there was a severe strategical debate between the Army and the Navy after the Russo-Japanese war. The Japanese Army proposed a provocative military strategy expressed in Imperial Defense Policy(帝國國防方針). But the Empire Navy suggested an alternative strategy by Sato Tetsutaro s On the History of Imperial Defense(帝國國防史論). Every country is needed to have a pertinent concept of national interest and a related military strategy when he or she rises to the upper level of the international system. Japanese Army and Navy had striven to have such a pertinent strategy after the dramatic victory of Russo-Japanese war. But as a premature empire, Japan eventually faild to equip a national strategy which could be acceptable to the neighbor countries.

목차

Ⅰ. 머리말
Ⅱ. 배경: 러일전쟁과 사토 테츠타로(佐藤鐵太郞)
Ⅲ. 방수자위(防守自衛)의 국방대책(大策)
Ⅳ. 대륙 비간섭주의
Ⅴ. 해군 중심의 해방론
Ⅵ. 독일 가상적론(假想敵論)
Ⅶ. 맺는 말
〈참고문헌〉
〈초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영준. (2004).러일전쟁 직후 일본 해군의 국가구상과 군사전략론 - 사토 테츠타로(佐藤鐵太郞)『帝國國防史論』(1908)을 중심으로. 한국정치외교사논총, 26 (1), 285-312

MLA

박영준. "러일전쟁 직후 일본 해군의 국가구상과 군사전략론 - 사토 테츠타로(佐藤鐵太郞)『帝國國防史論』(1908)을 중심으로." 한국정치외교사논총, 26.1(2004): 285-3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