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본 동북지방 후기구석기시대 전반기 석기군 재고 -기부가공석기⋅박리개념의 변화를 중심으로-

이용수 174

영문명
Rethinking the Early Upper Paleolithic Industries in the Northeastern part of the Japanese Archipelago ; Base retouched tools and Transformation in Flaking Concept
발행기관
한국구석기학회
저자명
홍혜원(Hong Hyewon)
간행물 정보
『한국구석기학보』제38호, 43~68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일본열도의 후기구석기시대는 석인석기군으로 대표되며, 후기구석기시대의 시작과 석인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또한 석인과 함께 후기구석기시대를 대표하는 석기는 나이프형석기이며, 이 나이프형석기의 지역적인 출토양상과 석기군의 특징을 통하여 여러가지 편년안이 제시되고 있다. 동북지방의 후기구석기시대 역시 석인과 이를 소재로 하여 가공한 나이프형석기를 중심으로 거론하고 있으나, 동북지방에서 확인되는 나이 프형석기는 기부가공형태의 나이프형석기가 주를 이룬다. 후기구석기시대 전반기에는 석인기술이 완전히 정착되지 않은 시점에 종장박편 및 박편을 활용한 기술들도 확인된 다. 이 시기에는 석인 및 종장박편 소재의 도구 이외에 대형(양)석기가 주된 석기로 조성되어 있다. 이를 통한 전반기 편년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연구자마다 매우 다양한 다른 편년안들이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차이는 편년의 기반이 되는 석기를 해석하는 기준이 정리되지 않은 점에 있으며, 그 중심이 되는 나이프형석기와 대형양석기에 대한 재고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형식학적 분류에 따른 나이프형석기와 대형양석기를 새로운 시각을 더하여 장착석기와 핸드그립석기로 재분류해서 살펴보았다. 또한 석인박리기술 이외에 연속박리기법인 요네가모리 박리기술을 살펴봄으로써, 기존의 이론이었던 이극구조론을 보완하여 새로운 관점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Upper Paleolithic age of the Japanese archipelago is represented as blade based industries, and there are close relationships between blade production techniques and the beginning of the Upper Paleolithic age. Furthermore, the “Knife-shaped tool” is one of the typical formal tool types of the blade industry in the Japanese archipelago. Various chronological schemes were presented on the basis of regional aspects and diverse characteristics of assemblages. In the Tohoku region, the major stone tools of the Upper Paleolithic age were also blades and Knife-shaped tools made from blank blades. However, the Knife-shaped tools recognized in the Tohoku region are mainly those of the basal retouched shape. For the Initial Upper Paleolithic period when the blade technology was not yet fully established, a set of technique was also confirmed which utilized flakes and vertical elongated flakes. In this period, “Trapezoid tools” are included as a main tool composition of assemblages other than blade tools and long flake tools. Although various chronological hypotheses of the EUP were so far presented, they have not yet been unified. The difference is due to the fact that the criteria for interpreting the stone tools which is the foundation of chronology are not standardized. Therefore, it is critical to rethink about the Knife-shaped tools and Trapezoid tools. In this paper, a new research framework is added to the Knife-shaped tool and the Trapezoid tool concerning typological classification schemes, and they are reclassified into composite tools and hand grip tools. A new perspective is proposed here to supplement the theory of “two side polar structure” of EUP technology in Japan, by examining another type of non-blade consecutive blank production method, the “Yonegamori” flaking technique.

목차

I. 서론
II. 전반기 석기군 연구의 양상과 구조
III. 기부가공석기의 고찰
IV. 후기구석기시대의 획기(画期)와 전반기석기군의 재고
V.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혜원(Hong Hyewon). (2018).일본 동북지방 후기구석기시대 전반기 석기군 재고 -기부가공석기⋅박리개념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구석기학보, (38), 43-68

MLA

홍혜원(Hong Hyewon). "일본 동북지방 후기구석기시대 전반기 석기군 재고 -기부가공석기⋅박리개념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구석기학보, .38(2018): 43-6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