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회 ․ 문화』 교과서의 사회 명목론/사회 실재론 관련 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 5)

이용수 376

영문명
A Critical Study on Social Nominalism and Social Realism in the Society and Culture Textbooks
발행기관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저자명
차조일(Cha, Joil) 박선웅(Park, Sunwoong)
간행물 정보
『교육연구』제73집, 83~104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학의 역사적 맥락에서 사회 명목론/사회 실재론 논의가 갖는 의의를 체계적으로 가르치기 위해 ≷사회 ․ 문화≸ 교과서의 관련 내용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개선점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문헌 연구를 통해 사회 명목론/사회 실재론 논의의 역사적 성격을 추적하고, 이를 바탕으로 6차 교육과정 및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사회 ․ 문화≸ 교과서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보여주었다. 사회 명목론/사회 실재론 논의의 사회학적 위상을 다루지 않고 있으며, 사상적 배경으로 사회계약설과 사회유기체설을 소개하고 있지만 사회 명목론/사회 실재론 논의와의 구체적 연관성을 설명하지 않고 있다. 또한 사회 명목론/사회 실재론 논의를 사회학적 의의가 상실된 존재론적 차원에서 접근하는 문제점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역사적 구성물로서 사회 명목론 및 사회 실재론 논의의 복원, 사회 명목론/사회 실재론의 사상적 배경으로서 사회계약설 및 사회유기체설 관련 내용의 재정비, 그리고 존재론적 차원이 아닌 이론적·방법론적 차원에서 사회 명목론/사회 실재론 논의의 재구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analyze the contents of social nominalism and social realism in the society and culture textbooks and make some suggestions in order to systematically teach their significance from the historical context of sociology. For that purpose, this study, using the method of literature research, traced the historical characters of the debates on social nominalism and social realism, and attemp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m in the society and culture textbooks under the 6th and the 2015 revised curriculums. As the result of analysis, some problems were found in the society and culture textbook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s follows. They did not addressed social nominalism and social realism in relation with scientific status of sociology, and provided us with little explanation of concrete relations of social nominalism and social realism to theories of social contract and social organism although the textbooks introduced the latter as a background of thoughts. We found another problem coming from the ontological approach to social nominalism and social realism, which had already lost sociological significance. In order to solve those problems, this study suggested restoring social nominalism and social realism as a historical construction, rearticulating the contents related with theories of social contract and social organism as a background of thoughts, and highlighting not ontological but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dimensions of social nominalism and social realism.

목차

Ⅰ. 서론
Ⅱ. 역사적 구성물로서 사회 명목론/사회 실재론 논의
Ⅲ. 사회 명목론/사회 실재론 관련 교과서 내용 분석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차조일(Cha, Joil),박선웅(Park, Sunwoong). (2018).『사회 ․ 문화』 교과서의 사회 명목론/사회 실재론 관련 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 5). 교육연구, 73 , 83-104

MLA

차조일(Cha, Joil),박선웅(Park, Sunwoong). "『사회 ․ 문화』 교과서의 사회 명목론/사회 실재론 관련 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 5)." 교육연구, 73.(2018): 83-1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