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滿洲源流考』 部族편의 내용과 성격

이용수 108

영문명
A Review of the chapter Tribe of Researches on Manchu Origins
발행기관
한국고대학회
저자명
정호섭(Jung Ho-Sub)
간행물 정보
『선사와 고대』先史와 古代 58輯, 71~102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만주원류고」는 한족 중심의 사관에서 벗어나 만주족의 시각에서 편찬한 것으로 주로 영토 와 종족 문제에 대한 강한 집착을 드러낸 책이다. 내용은 기본적으로 만주족이 시대별로 숙신, 읍루, 말갈, 발해, 여진, 만주족으로 그 계통이 이어지고, 청나라의 건국은 만주지역에서 천여 년 동안의 이어져온 만주족 계통의 고유한 정치적, 문화적 발전과 진보의 결과로 설정하고 있다. 만주원류고 에서는 금의 시조를 신라, 혹은 고려 등의 인물로 상정하면서 고구려를 제외하고 부여, 삼한, 백제, 신라, 발해 등을 만주족의 계통과 범주에 포함시켰다. 물론 숙신 이하의 계통과 부여, 신라, 백제에 대한 인식이 동일한 수준의 것이었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여러 사료상에 나타나는 기록 가운데 만주 계통과의 유사성을 취사선택하여 고증하고자 하였고, 특히 언어학적인 방법으로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만주어, 몽고어 등을 고찰하여 비교하는 언어학적 방법의 객관성을 담보할 수 없는 것이기에 그러한 언어적 분석이 어느 정도 타당한 것인지 의문이다. 또한 당시의 기록들에 해당되는 1차 사료와 후대의 2차 사료에 대한 구분이 없는 점에서 이전 시기의 사료와 후대의 사료에 대한 객관적 사료 비판이 부재된 측면도 없지 않다. 「만주원류고」는 어쩌면 청대에 이루어진 만주족 중심의 역사서술에 기인한 의도된 사료 발췌를 통해 그들의 정통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서술된 만들어진 역사서였다고 할 수 있다. 「만주원류고」는 한반도에 존재하였던 삼한, 신라, 백제의 위치도 만주 지역으로 보고, 백제의 요서경략설을 인정하면서 수록하였고, 신라의 계림을 언어학적 유추를 통해 길림으로 비정 하면서 백제, 신라도 만주에 그 중심이 있었다고 서술하였다. 대체로 많은 사료들에 나타나는 여타의 다른 기록들을 배제한 채 서술한 것이었고, 주요 고증의 방법인 언어학적인 방법론도 그 타당성을 증명할 수 없는 것이다. 그들이 동이의식 등을 통해 만주족의 정통성을 강조하면 서 삼한, 신라, 백제 등 우리의 역사의 일부를 빌려와야 고구려가 중심인 시기에 있어서 그들의 역사와 공간 속에 나타나는 존재의 미약함을 극복할 수 있었고, 아울러 일정한 공백도 메울 수 있었다. 반대로 고구려에 대해서는 그들의 계통과는 다른 존재로 인식하였다. 고구려와 관련한 종족의 문제, 지배와 종속의 문제, 고구려와 고려의 국호의 동일함 등의 문제를 언어학 적인 방법론으로도 극복할 수 없었고, 만주라는 공간에서 고구려를 철저하게 배제하고자 하였다. 고구려의 중심을 만주가 아니라 한반도 북부로 설정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는 고조선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다. 따라서 청대 만주원류고 편찬자들이 인식한 만주족 계통의 역사가 존재하였듯이 그들이 인식한 그 반대쪽 저편에 자리 잡고 있다고 볼 수 있는 우리의 역사는 고조선 고구려 고려 조선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상정하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Researches on Manchu Origins was written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Manchu people beyond the Han China-centered view. It shows the strong attachment to the territorial and tribal issues. The contents of the book include the geneology from Sushen, Euploo , Mohe, Balhae, Jurchen, finally to the Manchu people in a timely order. The book proclaims that the establishment of Qing dynasty was the outcome of political and cultural evolutionary and developmental processes of the Manchu people over the 1000 years in the Manchuria. In particular, this book suggests the founder of Jin dynasty was a figure from Silla or Goryeo, attempting to bundle Buyeo, Three Hans, Baeje, Silla and Balhae together with the people of Manchu in order to emphasize the similarities between them, based on the literature and the results of a linguistic analysis. The lack of objectivity in a linguistic analysis of comparing between Manchu and Mongolian languages has led to the question of the reliability of such analyses. Another problem of this book is that there was no distinction between contemporaneous primary documents and secondary documents written in the later period and all the references were quoted without a critical review. It seems that the aim of Researches on Manchu Origins based on deliberately chosen references was to establish the legitimacy of Qing Dynasty. Researches on Manchu Origins located the places of Three Hans, Silla and Backje on the Manchu region and accepted the assumption that Baekje ruled over the west of River Liao. In addition, it also locates the position of Gyerim of Silla on the Jirin area based on the linguistic analogies as well as stating the locations of Baekje and Silla ’ s core region in the Manchuria. It is seriously flawed because not only other reliable evidence in many critical literatures were missed but also the results of such linguistic analyses cannot be verified. Identifying Dongyi communal ideology appears to have intended to emphasize the legitimacy of the Manchu people and fill the temporal and spatial gap in their history by adopting Three Hans, Silla and Baekje, which is a part of Korean history. On the other hand exclusion of Goguryeo with the independent world view in this book is thought to have been due to the fact that the existence of Gogyryeo could not be explained throughout a linguistic analysis on the issues of tribal ethnicity, rule-subjugation relations and the identical names between Goguryeo and Goryeo. Gojoseon may have been the same case.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부족편의 만주족 계통 부족에 대한 서술 검토
Ⅲ. 부족편의 한국고대 국가에 대한 서술 검토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호섭(Jung Ho-Sub). (2018).『滿洲源流考』 部族편의 내용과 성격. 선사와 고대, 58 , 71-102

MLA

정호섭(Jung Ho-Sub). "『滿洲源流考』 部族편의 내용과 성격." 선사와 고대, 58.(2018): 71-10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