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현대국어 ‘바래-’(望) 용언 부류들의 확산의 역사성과 공시적 언어규범

이용수 485

영문명
On the tension between synchronic standardization and lexical diffusion of the ‘바래-’(to wish) class of verb paradigms in Korean
발행기관
한국언어문학회
저자명
최전승(Choe Jeon-seung)
간행물 정보
『한국언어문학』韓國言語文學 第107輯, 19~82쪽, 전체 64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1
10,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topic suggested for this paper is the effect of linguistic developments and synchronic standardization. I take the assumption to be tested here is the hypothesis to the effect that language change is as well as was in the past balanced between language development and standardization. I illustrate this with one aspect of the recent lexical diffusion or spreading of the innovation paradigms of verb class ‘바라->바래-’(to wish) in addition to other similar cases of verb stems, such as ‘놀라->놀래-(to be surprised), 모자라->모자래-(to be deficient), 나무라->나무래-(to reproach)’ et cetera in now-days Korean. As a result, out of this study concerned, I could draw a concluding remark that a on-going natural morphological change with regard to suffix -i in synchronic Korean can be slowed or stymied by the process of standardization and enforcement of strict written various form of norms. All in all, I d like to suggest in this paper that the tension between natural developments in folk spoken language and strict standardization has led to a linguistic rift between every day life of communication and Modern Korean.

목차

1. 서론: 사회구성원들의부단한언어개신과 표준어 규범과의 갈등과 조정
2. ‘바래-’(望) 용언 부류들의 현재 진행중인 변화와 언어규범의 압력
3. 지역방언에서 어간 재구조화의 진행방향과 그 역사성
4. 용어어간에첨가된‘-이’에의한어간 재구조화의 이해와 현대국어에서 ‘바라-(望)→바래-’ 부류의 위상
5. 결론과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전승(Choe Jeon-seung). (2018).현대국어 ‘바래-’(望) 용언 부류들의 확산의 역사성과 공시적 언어규범. 한국언어문학, 107 , 19-82

MLA

최전승(Choe Jeon-seung). "현대국어 ‘바래-’(望) 용언 부류들의 확산의 역사성과 공시적 언어규범." 한국언어문학, 107.(2018): 19-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