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임오군란 이후 조선의 국제법적 지위에 대한 일본의 인식

이용수 484

영문명
Japanese Awareness about Joseon’s International Legal Status after Im􋹲O Military Rebellion
발행기관
일본사학회
저자명
유바다(Yoo Bada)
간행물 정보
『일본역사연구』일본역사연구 제46집, 161~181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2.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문 초록

Qing(淸) arranged for the conclusion of the Joseon-America Treaty in 1882, and regulated the Joseon-China Regulation after suppressing the Im-O Military Rebellion and defined Joseon as a Semi-Sovereign or Dependent State based on the Elements of International Law. Semi-Sovereign or Dependent State is a superior State under whose protection they are placed, that is, a state dependent upon Suzerainty which has a limited foreign sovereignty such as the rights of legation. The important thing is that Japan also accepted Qing s theory of Semi-Sovereign or Dependent State(半主・屬國) as to Joseon. After Im-O Military Rebellion, Japan s officer Inoue Kowasi(井上毅) recognized Joseon’s position of Semi-Sovereign or Sem-Dependent State, through Boissonade s legal counseling. For example, it is the view that Joseon gains the status of permanent neutrality, and five states including Qing and Japan become protectors. If so, Joseon would gain the international legal status of protectorate and his sovereignty should be limited. Ito Hirobumi(伊藤博文), wh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making decisions over Joseon, also showed an attitude to acknowledge Joseon Dependent State theory through Theory of Joseon’s Sovereignty and Dependence(朝鮮主屬論文件). For example, he noted the case of Romania, which was the Vassal State and Semi-Sovereign or Dependent State of Ottoman Turks. He compared Joseon with Dependent States of Ottoman Turks such as Tunisia, Tripoli, Romania, Serbia and Egypt by examining Tokyo Daily Newspaper(東京日日新聞)’s Joseon independence theory(朝鮮獨立論). This contrasts with the previous research stream that Japan pursued Joseon’s independence.

목차

Ⅰ. 머리말
Ⅱ. 參事院 議官 井上毅의 半主・半屬 조선의 지위 인정
Ⅲ. 宮内卿 伊藤博文의 조선 屬國論 인정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바다(Yoo Bada). (2017).임오군란 이후 조선의 국제법적 지위에 대한 일본의 인식. 일본역사연구, 46 , 161-181

MLA

유바다(Yoo Bada). "임오군란 이후 조선의 국제법적 지위에 대한 일본의 인식." 일본역사연구, 46.(2017): 161-18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