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淸 乾隆 연간 外藩 宴禮의 변화와 乾隆의‘盛世’

이용수 643

영문명
Significance of the Changes in the Imperial Guest Banquets of the Late Qianlong Reign: Qianlong s Project of Constructing an Image of the Grand Prosperity and Peace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구범진(Koo, Bumjin)
간행물 정보
『역사문화연구』제68집, 147~196쪽, 전체 5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1.30
8,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근년 들어 적잖은 논자들이 근세 동아시아의 장기 평화가 청의 조공 시스템 덕분에 가능했으며, 청의 조공 시스템이 21세기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모델이 될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주장에 대해서는, 건륭제에 의해 완성된 청의거대 제국 건설이 누르하치 이래 약 180년에 걸친 장기적인 군사 정복의 결과였다는 역사적 사실을 망각한 것이라는 비판이 이루어졌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같은 종류의 비판을 반복할 필요를 느끼지 않는다. 그 대신에 청이 언제, 그리고 어떤 방식으로 제국의 호전적 이미지를 ‘평화적 국제질서의 주재자’라는 이미지로 대체하기 시작했느냐는 문제를 고찰한다. 고찰의 직접 대상은 매년 연말연시 북경의 청 궁정에서 개최되던 각종 세시 행사, 그 중에서도 특히 황제가 직접 주재한 주요 연회이다. 묵은 해를 보내는 제석과 새해를 맞이하는 원단은 입관 전 만주인들의 최대 명절이었다. 만주인들의 신년 축하 행사에는 그들과 동맹관계에 있던 몽골의 왕공들도 참여하였다. 입관 이후 청조는 몽골의 왕공들에게 매년 연말연시 북경의 황 제에 대한 조근을 의무화하였는데, 이를 연반 조근이라고 한다. 제국의 팽창이 마무리된 18세기 후반, 건륭제는 연반 조근을 위해 북경에 온외번의 왕공들을 위해 세 차례의 연회를 개최하고 있었다. 이들 연회는 기본적으로 외번의 왕공들을 접대하기 위한 것이었지만, 주로 자광각에서 열리던 신년 정 월 초의 연회만은 신강 회부의 무슬림 벡 관원들과 사천 서부 금천의 토사들도참석할 수 있었다. 하지만 조선을 위시한 외국의 사신들에게는 세 차례의 연회 모두 문호가 닫혀 있었다. 그러나 건륭제는 1780년대에 이르러 연회 참석자의 범위를 대거 확대하였다. 그는 세 차례의 핵심 연회 및 궁정의 각종 세시 행사에 조선을 비롯한 외국의 사신들을 초대하기 시작하였다. 종래 자광각의 연회에만 참석하던 회부의 무슬림벡 관원들과 금천의 토사들도 나머지 두 연회에 초대되었다. 그 이후 이러한 방 식이 청 궁정의 새로운 관행으로 확립되었다. 이러한 변화의 도입은 건륭제의 ‘기획’에 따른 것이었다. ‘기획’의 의도는 자신이 이룩한 ‘盛世’를 과시하며 “懷柔遠人”・“一視同仁”의 이미지를 창출・강화하는데 있었다. 이 무렵부터 조선의 대청 인식에 뚜려한 변화가 나타난 것도 우연만 은 아닐 것이다. 그리고 건륭제가 애초에 기대한 것은 아닐 터이지만, 제국 건설과정의 폭력과 전쟁을 망각한 채 청의 황제를 ‘평화적 국제질서의 주재자’로만 기억하는 21세기 초의 논자들이야말로 건륭제의 ‘기획’이 결코 헛된 것이 아니었음 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 아닐까?

영문 초록

In recent years, not a few scholars in the field of international relations have argued that the tribute system of the Qing empire made possible the prolonged peace of early modern East Asia, and attempted to find a model for the future of international relations in the Qing precedent. However, other scholars, pointing to the historical fact that the Qing empire was built not by peaceful means but by a series of military conquests from the early 1580s to the late 1750s, have persuasively refuted that argument. Therefore, it is superfluous to add here one more rebuttal. Focusing upon the New Year celebrations in the Qing court among other politico-ritual activities in Beijing, this article explores when and how the Qing empire diluted and substituted the historical momory of its violent expasions for an image of the benevolent master of the grand peace and prosperity under its hegemony. In the Manchu cultural tradition, the New Year s Day was the most important day in the year. Well before its conquest of China, the Manchu court established state rituals celebrating the New Year along with Mongol princes and nobles, its political and military allies. Having moved its capital from Mukden to Beijing, the Qing court made it a tributary duty for all the Mongol princes to pay personal visits to Beijing on a rotational basis and attend the New Year celebrations. The Qianlong emperor, who completed the historical process of Qing imperial expansion, inherited from his predecessors the tradition of the New Year celebrations and made further developments. Under his rule, the New Year celebrations were characterized by three guest banquets presided by the emperor himself. The first imperial banquet was held on the Eve of the New Year s Day, the second on one of the first days of the New Year, and the third on the fifteenth day of the New Year. The invitees to the imperial banquets were basically restricted to the nomadic princes and nobles. There was, however, an exception: the second banquet, the venue of which was usually the Ziguangge 紫光閣, included among its invitees the Muslim beg 伯克 officials from East Turkistan and the Tibetan tusi 土司 chieftains from western Sichuan. In the early 1780s, Qianlong introduced a significant change to the New Year celebrations by widening access to the imperial banquets. He began to invite the envoys from foreign rulers such as the king of Chosŏn to all of the three major banquets as well as other diverse court entertainments. Along with foreign envoys, Muslim beg officials and Tibetan tusi chieftains were also invited tobefore. Qianlong continued these acts of special favors upon new invitees into a new court convention by repeating them annually. His successors also abided by Qianlong s new convention. It was none other than Qianlong himself that initiated this kind of institutional innovation. Qianlong s initiative was designed not only to boast and commemorate his own lifetime achievement of the imperial prosperity and grand peace, but also to construct and/or reinforce his image of the benevolent Son of Heaven who ‘cherishes men from afar’ and ‘bestows equal favors on all.’ It cannot be attributed to a simple coincidence that the decades of late eighteenth and early nineteenth centuries witnessed more and more Chosŏn literati changing their attitude toward the Qing dynasty and even recognizing its legitimacy. And in a historical sense, the aforemetioned false and misleading arguments of some scholars in the field of international relations may be considered an unintended consequences of Qianlong s politico-diplomatic project.

목차

Ⅰ. 서론
Ⅱ. 청 대 外藩의 朝覲과 外藩 宴禮
1. 청 대 外藩의 朝覲과 年班
2. 청조의 外藩 宴禮 : 옹정 연간까지의 실태
Ⅲ. 건륭 연간의 外藩 宴禮와 건륭 후기의 변화상
1. 건륭 전・중기의 外藩 宴禮
2. 건륭 후기 外藩 宴禮의 변화상 : 참가 범위의 확대
Ⅳ. 宴禮 참가 범위 확대의 경위와 의도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구범진(Koo, Bumjin). (2018).淸 乾隆 연간 外藩 宴禮의 변화와 乾隆의‘盛世’. 역사문화연구, 68 , 147-196

MLA

구범진(Koo, Bumjin). "淸 乾隆 연간 外藩 宴禮의 변화와 乾隆의‘盛世’." 역사문화연구, 68.(2018): 147-19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