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통일신라 범종 명문의 서풍 변화

이용수 339

영문명
The Change of Calligraphic Style of the Buddhist Bell Inscriptions in the Unified Silla Period
발행기관
한국서예학회
저자명
정현숙(Jung, Hyun-sook)
간행물 정보
『서예학연구』서예학연구 제33호, 5~31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9.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통일신라에서 명문이 있는 것 중 탁본으로 그 명문이 전해지는 범종은 6구다. 이 종명들은 모두 해서로 쓰였으며 한 점의 후면만 행서로 쓰였다. 그러나 그 서풍은 시대적 변화와 더불어 조금씩 다르게 변천한다. 본고는 8-10세기에 걸쳐 주조된 이 종명들의 글씨를 통해 서풍의 특징과 변천 과정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8세기에서 9세기 초인 제1기에는 주로 북위풍과 안진경풍으로 구분되는 중국풍해서가 사용되었다. 가장 이른 <상원사종명>(725)은 북위풍으로, <무진사종명>(745), <성덕대왕신종명>(771), <선림원종명>(804)은 안진경풍으로 쓰였다. 안진경풍은 통일신라 비문에서는 부분적으로만 사용되었는데, 범종에서는 전체적으로 사용되었다. 이것은 종의 곡선미와 어울리는 서풍을 선택한 서자의 미의식과도 연관성이 있어 보인다. 9세기대인 제2기에는 중국풍이 아닌 해서가 사용되어 신라풍으로의 변천 과정을 보여 준다. <연지사종명>(833)에는 1기의 종명 글씨와는 다른 자유로운 변화가 있어 신라 서자의 자가적 분위기가 있다. 10세기인 제3기에는 1, 2기와는 구별되는 완연한 자가풍으로 쓰였다. 반각이 특이한 <송산촌대사종명>(904)에서 행서의 필의까지 가미된 자유분방한 서풍은 2기의 <연지사종명>보다 더 창의적 자가풍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3기의 종명 글 씨는 신라식 서예문화의 정착에 일조한 것이다. 통일신라 종명 글씨의 3단계에 걸친 이런 서풍의 변화는 중대, 하대, 나말여초라는 역사적 시기 구분과 거의 일치한다. 그리고 그것을 따르는 비천상의 3단계 양식 변화, 단월의 3단계 위상 변화, 장인의 3단계 소속 변화, 명문의 3단계 위치 변 화와도 대략 일치한다. 통일신라 종명의 글씨는 목간과 불교 금석문의 글씨처럼 북위풍에서 당풍을 거쳐 마침내 자가풍을 창조함으로써 중대에서 하대를 거쳐 나말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신라의 독자적 서예문화를 형성하는 사회적 분위기에 상응한다.

영문 초록

There are six Buddhist bell inscriptions transmitted in ink rubbing in the Unified Silla period. They were written in regular script and the back side of one in running script. Their calligraphic style became changed gradually with the periodical change. This paper is to find out the change of calligraphic style of them made from the 8th to the 10th century. The Chinese styles of the Northern Wei and Yan Zhenqing (顔眞卿) of the middle Tang were used during the first period from the 8th to the early 9th century. The bell inscription of Sangwonsa in 725, the earliest one of all, was written in the style of the Northern Wei and those of Mujinsa in 745, Seongdeokdaewang in 771, and Seollimwon in 804 in the style of Yan Zhenqing. The bell inscription of Yeonjisa in 833 that belongs to the second period was written in the atmosphere of free change, which i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first period. Its regular script shows the change process from the Chinese to the Silla style. The bell inscription of Songsanchondaesa in 904 that belongs to the third period was written in the own style of the Silla calligrapher, which differentiates from those of the first and second periods. It is more creative style than that of Yeonjisa of the second period. Accordingly, it can be said that the bell inscription of the third period contributed to the settlement of calligraphy culture in Silla style. Thus, the three-stage change of the calligraphic style of the bell inscriptions of the Unified Silla is in concordance with the period division, which are middle, late and end periods of Silla. It almost accords with the three-stage change of pattern of the image of a flying fairy, that of donator’s status, that of master artisan’s belonging, and that of inscription’s location following the three-stage periodical change. Like those of the wooden tablets and Buddhist stone inscriptions, the writings of the bell inscriptions of the Unified Silla period changed its style from that of the Northern Wei through that of the Tang to that of the Silla. It also corresponds the social atmosphere forming the calligraphy culture of Silla’s own, passing from the middle through the late to the end period.

목차

Ⅰ. 머리말
Ⅱ. 사료로 본 범종 관련 기록
Ⅲ. 명문의 내용으로 본 시대상 변화
Ⅳ. 명문의 글씨로 본 서풍 변화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현숙(Jung, Hyun-sook). (2018).통일신라 범종 명문의 서풍 변화. 서예학연구, (33), 5-31

MLA

정현숙(Jung, Hyun-sook). "통일신라 범종 명문의 서풍 변화." 서예학연구, .33(2018): 5-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