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朝鮮朝 宮闕懸板에 대한 書體的 考察

이용수 327

영문명
A Study on the Royal Palace Signboards(Hyeonpan, 懸板) in Joseon Dynasty from a Calligraphic Perspective
발행기관
한국서예학회
저자명
김정남(Kim, Jung Nam)
간행물 정보
『서예학연구』서예학연구 제33호, 83~124쪽, 전체 42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9.30
7,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조선조 궁궐현판에 대하여 서체적 관점에서 고찰을 하였다. 지금까지 궁궐 현판과 관련한 연구는 서예적 관점에서는 거의 다루어지지 않고 주로 현판을 건물의 부속 구조물로만 생각하여 건축적 차원에서 고찰되어 왔다. 이런 상황에서 본 논문은 먼저 조선조 궁궐현판에 대한 전체적 현황을 파악하고, 현재 남아있는 궁궐현판에 쓰여 진 각 서체의 특징과 현판서체가 시대적 상황 속에서 어떻게 변화·분화 되었는가를 다양하게 분석하여, 궁궐 현판서체가 조선조 서예사의 흐름 속 에서 차지하는 위치 등을 고찰하였다. 현재 남아있는 궁궐의 고현판은 약 500여개에 불과하고, 현판의 서사자(書寫者)는 임금, 세자 등 왕족과 신하, 중국의 황제·사신 등 다양하다. 조선조 궁궐현판의 서예사적 흐름은 서체의 특성에 따라 ①조선조 전기의 궁궐 현판 형성기, ②조선조 중기의 궁궐현판 정립기, ③조선조 후기의 궁궐현판 분화기등 3기로 나누어서 살폈다. 첫째, 조선조 전기의 궁궐현판 형성기는 조맹부․설암체의 영향과 안평대군의 역할에 의한 궁궐현판 서체가 형성되기 시작한 때이다. 둘째, 조선조 중기는 설암체의 영향을 깊게 받은 한호의 ‘대자천자문(大字千字文)체’, 한호의 ‘천자문체’(1583년) 및 18세기 후반 정조대 ‘황산곡서풍 현판체’ 등 3개의 축에 의한 궁궐현판 서체의 정립기이다. 이때 조선조 궁궐 현판서체의 근간 이 정립되었다. 셋째, 19세기 이후 조선조 후기는 궁궐현판 서체가 다양하게 분화·발전된 시기이다. 특히 경복궁은 조선조 후기 궁궐현판 서체의 백화점이다. 조선조 최고 통치권자가 거주하는 궁궐의 현판서체에 대하여 분석한다는 것은 조선조 서예사 흐름을 파악해내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될 뿐만 아니라 향후 궁궐 복원공사 등에서 궁궐 현판의 복원에 대한 학술적 근거가 될 것이다. 그리고 2018.5.30.에 조선조 ‘궁궐현판’이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기록유산에 등재됨에 따라 이번 궁궐현판 서체에 대한 연구는 그 의미가 크다고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thesis focused on the royal palace signboards(Hyeonpan, 懸板) from a calligraphic perspective. Since the studies on Hyeonpans have been confined to an appurtenance structure architecturally, they have had a limit to comprehend Hyeonpans with a calligraphic view.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historical status of the Hyeonpans in calligraphy history of Joseon dynasty based on the analysis on the overall status of the Hyeonpans in the Joseon dynasty and the transition of calligraphy styles of Hyeonpans by the historical background. There are only about 500 old original Hyeonpans written by various calligrapher: royal family (king and crown prince) and courtiers of Joseon dynasty as well as Chinese emperors and envoys. Historical trend of the Hyeonpans in the royal palaces is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depending on the calligraphy style; Formation period in early Joseon dynasty, Establishment period in the mid- Joseon dynasty and Diversification period in the late Joseon dynasty. First, during a formation period in early Joseon dynasty, calligraphy styles of Hyeonpans began to form due to the influence of a calligraphic Style of JoMaongBoo(趙孟頫體)and Sulam(雪菴體)and due to the role of Anpyeong Dae-gun(安平大君). Second, during an establishment period in the mid- Joseon dynasty, calligraphy styles of the Hyeonpan were firmly solidified the groundwork. In this period, Three main streams were forme; (1)Daejacheonjamun-style(大字千字文體)and (2)Cheonjamun-style(千字文體)of Hanho(韓濩) deeply influenced by Sulam-style and (3)Hwangsungoek-style(黃山谷風)of Hwangsungoek in late 18 century. Last, Calligraphic styles of Hyeonpan were developed during a diversification period in the late Joseon dynasty after 19 century. Gyeongbokgung Palace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a calligraphic style of Hyeonpan in late Joseon dynasty. Studying the royal palace signboards(Hyeonpan)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is not only to be a key clue to discover a calligraphy history of Joseon dynasty but also to become a stepping stone for restoration of Hyeonpan in the future. Moreover, this thesis has a great significance according to designation of the royal palace signboards in Joseon dynasty as UNESCO World Heritage records on May 30, 2018.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조선조 궁궐현판에 대한 일반현황
1. 궁궐현판에 대한 선행연구와 연구방향
2. 궁궐의 현황
3. 궁궐의 현판현황과 서체분석
Ⅲ. 궁궐현판 서체의 사예사적 고찰
1. 조선전기 서예적 상황 및 궁궐현판 서체 형성기
2. 조선중기 궁궐현판 서체 정립기
3. 조선후기 다양한 궁궐현판 서체 분화기
Ⅳ. 나오면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정남(Kim, Jung Nam). (2018).朝鮮朝 宮闕懸板에 대한 書體的 考察. 서예학연구, (33), 83-124

MLA

김정남(Kim, Jung Nam). "朝鮮朝 宮闕懸板에 대한 書體的 考察." 서예학연구, .33(2018): 83-1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