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언어치료전공 임상교과 및 임상실습의 국내 현황 조사

이용수 259

영문명
A Nationwide Survey on Clinical Curricula and Practica in Speech-Language Pathology Educational Programs in Korea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김재옥(Jaeock Kim) 최성희(Seong Hee Choi) 김향희(HyangHee Kim) 장선아(Son A Chang) 김효정(Hyo Jung Kim) 황보명(BoMyung Hwang) 박현린(Hyun Rin Park) 박희준(Hee-June Park)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3. no.3, 807~828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9.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현재까지 국내 언어치료학과를 개설하고 있는 대학수는 총 50개교이고, 교육과정 프로그램은 총 87개까지 양적으로 증가하고 성장하였으나, 국내 전반에 걸친 임상교육, 훈련 및 환경에 대한 정확한 정보는 아직 제공되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전문적인 임상의 질적 기준을 마련하고자 국내 언어재활전공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전문대학, 4년제 대학교 및 대학원을 대상으로 임상 교과와 임상실습 운영에 관한 현황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방법: 임상교과과정, 임상실습, 임상교육환경으로 설문을 구성하였으며, 국내 언어치료교육과정 프로그램 87개 중 설문에 회신한 57개(10개 전문대학, 19개 4년제 대학교, 28개 대학원) 과정들의 자료룰 분석 하였다. 결과: 비록 대부분의 프로그램들이 국가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한 핵심 임상 교과과정은 운영하고 있으나, 임상교과 학점, 시수, 훈련 내용과 실습 영역 및 임상환경은 다르게 나타났다. 대부분의 대학원 프로그램들은 언어치료전공자나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는 학생들에게 임상수업활동이나 임상실습을 면제하였다. 또한, 대부분의 프로그램들이 가장 많이 실습하는 주된 영역은 학령전기/학령기 언어발달장애 영역이었다. 모든 실습과목 담당 교수진이나 임상감독자들은 언어치료를 전공한 교원으로 언어재활사자격증을 가진 전문가였으나, 세 개의 학제 간에 다양한 자격증 유형과 교수진의 형태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언어치료학과 프로그램들 간의 일관된 질적 임상 훈련이나 교육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임상교육 훈련 내용이나 임상 환경에 관한 좀 더 구체화된 최소 표준 임상규준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더 나아가 언어재활사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고 우리의 미래 의사소통장애 분야의 발전을 위해서는 다양한 임상교육과 훈련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number of educational programs in speech-language pathology/therapy in Korea continues to increase, and has reached a total of 87 programs in 50 universities. However, no nationwide survey on the clinical curricula and practica of the educational programs has been carried out. Methods: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items on clinicbased courseworks, clinical practicum, and clinical educational setting was distributed, and a total of 57 (10 community college, 19 undergraduate, 28 graduate) programs participated in the survey. Results: Although most of programs ran core clinical courses required for obtaining the national license, various credits of clinical courses, clinical hours, and practical area, and clinical environments were documented. Most graduate school programs permitted students with speech-language pathology backgrounds or speech-language pathologist (SLP) licenses to be exempt from clinical coursework and practicums. Language development in preschool or school-age children was the most predominant practice area in most of the programs. Supervision of clinical activities in all three types of educational settings was provided by licensed faculty or supervisors. Conclusion: In order to ensure the consistency of qualified clinical training or education across the speech-language pathology programs, standard clinical guidelines regarding education training contents or environment should be established. Moreover, diverse clinical education and training should be provided to enhance the SLP profession and to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the field of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in the upcoming years.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재옥(Jaeock Kim),최성희(Seong Hee Choi),김향희(HyangHee Kim),장선아(Son A Chang),김효정(Hyo Jung Kim),황보명(BoMyung Hwang),박현린(Hyun Rin Park),박희준(Hee-June Park). (2018).언어치료전공 임상교과 및 임상실습의 국내 현황 조사.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3 (3), 807-828

MLA

김재옥(Jaeock Kim),최성희(Seong Hee Choi),김향희(HyangHee Kim),장선아(Son A Chang),김효정(Hyo Jung Kim),황보명(BoMyung Hwang),박현린(Hyun Rin Park),박희준(Hee-June Park). "언어치료전공 임상교과 및 임상실습의 국내 현황 조사."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3.3(2018): 807-8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