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언어재활전공 교과과정의 국내 현황 조사

이용수 138

영문명
National Survey on Curriculum of Speech-Language Pathology Programs in Korea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박현린(Hyun Rin Park) 황보명(BoMyung Hwang) 김향희(HyangHee Kim) 장선아(Son A Chang) 최성희(Seong Hee Choi) 김재옥(Jaeock Kim) 김효정(Hyo Jung Kim) 박희준(HeeJune Park)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3. no.3, 788~806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9.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국내 대학에 언어재활전공이 처음 개설된 1988년을 기점으로 2018년 현재 총 50개의 대학(대학교, 전문대학, 대학원)에서 총 87개의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양적 팽창이 이루어진 현 시점에서 각 프로그램들의 운영 현황을 살펴보고 미래를 준비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국 대학에 개설되어 있는 언어재활전공 교과과정 현황을 분석하여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우수한 언어재활사 양성을 위한 미래의 방향 모색을 위한 초석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방법: 대학교, 전문대학, 대학원에 언어재활전공이 개설된 학교에 대학의 기본정보, 2015년에서 2017년 사이의 전공 교과목 개설 현황, 교과과정에 대한 수요 등의 내용이 포함된 설문지를 2차에 걸쳐 배포하였다. 설문에 응하지 않은 학교들을 제외한 후, 1차 설문지 내용은 총 43개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분석하였고 2차 설문지 내용은 총 33개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세 가지 학제별 교과과정을 살펴본 결과, 대학교와 전문대학 중 언어재활사 자격 이외의 자격증 과정을 개설하고 있는 대학의 경우 개설 교과목 수가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의 상황에 따라 분반 운영 및 전공선택과 전공필수 구분 등에 있어서 편차가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대학교와 대학원 과정의 교과 과정 수요 분석에서는 학령기, 노인(노화), 보완대체의사소통, IT 등의 키워드가 공통적으로 포함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자료는 국내 언어재활전공의 교과과정 현황을 살펴봄과 동시에 추후 질 높은 언어재활사 양성을 위한 교과과정을 제시함에 있어 기초 자료로서 활용되기를 기대해본다.

영문 초록

Objectives: Since 1988, when the Department of Speech-Language Pathology was first established at a university, a large number of speech-language pathologists (SLPs) have been trained. As of March 2018, there are 87 programs in 50 schools offering associate’s degree, bachelor’s degree, and/or master’s/doctoral degree. In order to support the continued growth of the SLP programs, we believe it is necessary to assess the present operation status of all SLP programs. In this study, therefore, we surveyed the current curriculum of each program, and tried to lay out future direction that the SLP programs need to pursue. Methods: We sent out the questionnaires twice to all the programs. The questionnaires included the following: information about the program (e.g., number of faculty members), the status of the existing curriculum during the period of 2015-2017 academic years, and the curriculum improvement proposals from the program faculty members. After excluding the schools that did not respond or filled the questionnaire incorrectly, the contents of the first and secon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on 43 programs and 33 programs, respectively. Results: The questionnaire responses revealed that there were relatively larger number of curriculum subjects in associate’s degree programs than bachelor’s degree programs because the associate’s degree programs tended offer other certification courses in conjunction with the SLP program. It was also found that some SLP programs limited number of students in a class to offer better student support and offered different sets of electives and mandatory courses. In the analysis of the curriculum improvement proposals, it was found that the most common keywords included ‘school age’, ‘elderly/aging’,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nd ‘IT (information technology)’. Conclusion: In this study, we provide the picture of the current SLP programs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as the basis for the SLP programs’ continued improvement in the future.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현린(Hyun Rin Park),황보명(BoMyung Hwang),김향희(HyangHee Kim),장선아(Son A Chang),최성희(Seong Hee Choi),김재옥(Jaeock Kim),김효정(Hyo Jung Kim),박희준(HeeJune Park). (2018).언어재활전공 교과과정의 국내 현황 조사.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3 (3), 788-806

MLA

박현린(Hyun Rin Park),황보명(BoMyung Hwang),김향희(HyangHee Kim),장선아(Son A Chang),최성희(Seong Hee Choi),김재옥(Jaeock Kim),김효정(Hyo Jung Kim),박희준(HeeJune Park). "언어재활전공 교과과정의 국내 현황 조사."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3.3(2018): 788-80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