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가중평균음운길이의 개발과 타당도 검증

이용수 187

영문명
Developing Weighted Phonological Mean Length of Utterance and Testing the Validity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김민정(Minjung Kim) 하승희(Seunghee Ha)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3. no.3, 692~702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9.30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말소리 산출 능력을 정확하고 민감하게 반영할 수 있는 객관적 지표를 개발하고 타당성을 살펴보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가중평균음운길이라는 새로운 측정치를 제안하였으며, 일반아동과 말소리장애 아동의 말 자료를 토대로 자음정확도 및 평균음운길이와 비교하면서 가중평균음운길이의 타당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음절구조와 모음정확도, 자음의 자질정확도 정보를 포함하는 측정치와 점수체계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만 2세 후반부터 6세 전반의 일반아동 220명과 말소리장애 아동 18명의 아동용 발음평가 자료에서 자음정확도, 평균음운길이, 가중평균음운길이를 구하였다. 일반아동은 6개월 단위로 월령집단을 나누어 조음음 운능력의 발달을 살펴보았다. 말소리장애 아동은 자음정확도를 토대로 심각도별 하위 유형을 나눈 후 자음정확도는 동일하지만 주요 오류패턴이 상이한 말소리장애 아동끼리 평균음운길이 및 가중평균음운길이를 살펴보았다. 결과: 가중평균음운길이는 다른 두 측정 치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면서 일반아동의 조음음운발달을 민감하게 보여주었다. 자음정확도가 20%-30%이거나 50%-60%인 말소리 장애 아동의 가중평균음운길이는 실증적으로 자음정확도 및 평균음운길이와는 구별되게 음절 및 자음의 생략, 조음의 오류, 조음위치 및 조음방법이 모두 변하는 대치오류에 대한 정보를 반영하였다. 논의 및 결론: 모음의 정확성도 고려하고 자음의 대치패턴에 따라 점수를 세분화한 가중평균음운길이는 조음음운발달을 민감하게 반영하고, 말소리장애 아동의 조음오류 유형과 특성을 정량화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It is important to develop a speech measure which accurately and sensitively reflects speech production skills, and to test the validity of such a measu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validity of a new speech measure, weighted phonological mean length of utterance (PMLU-W) by comparing percent consonants correct (PCC) and phonological mean length of utterance (PMLU) from speech analyses of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nd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SSD). Methods: The PCC, PMLU, and PMLU-W of 220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nd 18 children with SSD aged from 2;6 to 6;6 were derived from the Assessment of Phonology and Articulation for Children. PMLU-W was evaluated to examine whether it correlates with PCC and PMLU, and to see if it is sensitive to changes in speech development over time. Also, this study evaluated whether PMLU-W reflects phonological error patterns in children with SSD shows severe, moderate, or mild severity differently.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PMLU-W strongly correlates with PCC and PMLU, and sensitively captures normal speech development over time. PMLU-W better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and nature of speech problems in children with SSD compared to the existing measures. In particular, PMLU-W is useful in distinguishing children with SSD who show syllable or phoneme deletions, vowel errors or atypical consonant substitutions.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PMLU-W would be a valid and sensitive measure of normal and disordered speech in children and be useful to qua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speech error patterns.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민정(Minjung Kim),하승희(Seunghee Ha). (2018).가중평균음운길이의 개발과 타당도 검증.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3 (3), 692-702

MLA

김민정(Minjung Kim),하승희(Seunghee Ha). "가중평균음운길이의 개발과 타당도 검증."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3.3(2018): 692-70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