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 후기 실학사상과 차문화 발전의 연관성 연구

이용수 427

영문명
A Study on the Practical Science Thought and Its Relationship with Tea Culture in the Latter Part of Chosun Dynasty
발행기관
국제차문화학회
저자명
박혜란(Park, Hye-ran)
간행물 정보
『차문화산업학』제41집, 59~92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9.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조선 후기 실학사상의 등장과 차문화 발전은 사회적·경제적·문화적 측면에서 다양한 연관성을 지니고 있었다. 이러한 연관성은 조선 후기의 사회적 평등과 다양성 확립, 그리고 중용과 화합 정신을 확대하는데 많은 영향을 끼쳤으며, 특히 종교 간 소통과 화합을 이룩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실학자들의 중용과 화합 정신, 그리고 실증주의 사상을 바탕으로 조선 후기의 차문화는 급속도로 발전하였으며, 사회를 변화시키고 소통을 확대하여 실용적·현실적 문화를 정착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특히 유교와 불교 간 소통과 화합을 이끌어 사회적 안정을 이룩하는데 기여하였다. 조선 후기 실학자들은 유교와 불교의 화합과 소통을 통해 전통문화의 정신과 가치를 재발견하였을 뿐만 아니라 우리 문화의 우수성을 인지하고 이를 널리 홍보하였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사회적 변화와 경제적 발전을 모색하였다. 이 과정에서 실학의 실용주의와 실사구시 정신은 차문화와 만나게 되었으며, 실학과 차문화의 만남은 차산업의 발전을 통한 부국강병과 경제적 안정이라는 중요한 담론을 형성하는 계기가 되었다. 담론 형성 과정에서 제기된 중요한 주제는 유학과 불교의 소통과 대화였으며, 불교에 대한 인식을 재정립한 실학자들이 승려들과 소통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행한 매개체는 차였다. 이로 인해 실학자들이 실용주의와 실사구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면서 대상으로 삼았던 주제는 자연스럽게 차문화와 차산업으로 귀결되었다. 실학자들은 차의 음용을 정신적 수행과 학문 연구에 활용했으며, 이를 사회적 소통과 다양성 확대의 수단으로 활용하였다. 이는 차문화가 조선 후기 실학사상의 학문적 위상을 더욱 실용적이고 실질적으로 고양 시키는 역할을 수행했다는 것과 실학사상이 조선 후기 차문화와 차산업을 발전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조선 후기 실학자들은 차문화와 차산업의 발전에서 실질적인 역할을 수행 하였으며, 차문화는 실학사상의 사회적·경제적·현실적 발전과 사회에 대한 실용주의 적용에 다양한 영향을 끼쳤다고 말할 수 있다. 이런 사실은 당시 실학자들이 차문화에 대해 중농주의와 ·중상주의적 입장을 가지고 있었다는 점, 실학자들의 영향으로 정부 주도 차산업 발전이 추진되었다는 점, 차문화에 대해 실용적 학문 연구를 수행했다는 점, 다양한 제다 방식을 통한 한국형 제다법과 우수한 한국식 차 상품을 개발했다는 점, 차 무역을 통해 경제적 수입을 창출했다는 점, 그리고 차산업을 통해 부국강병을 이루고자 했다는 점 등을 통해 파악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at researching the characteristics of practical science thought(Shilhak) and its relationship with tea culture in the latter period of Chosun dynasty. It is said that the thought of Practical Science was helpful in pursuing social and economical and cultural changes in the later period of Chosun Dynasty, and tea culture contributed for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Science. Practical Science had removed traditional social inconsistency in Chosun Dynasty, pursued economical development through social changes, developed practical culture through utility and convenience, and expanded tea trade for strengthening national finances and defense ability. Scholars of Practical Science had insisted that the dynasty controlled tea production and trade, and was using tea as an important means to increase national finances. Also the scholars of Practical Science magnified and expanded the superiority of Korean tea culture in the social life through using Chinese tea. In conclusion, we can say the scholars of Practical Science of the latter period of Chosun Dynasty played an important role to develop tea culture, and tea culture also contributed for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Science.

목차

Ⅰ. 서 론
Ⅱ. 실학사상의 종교 간 화합과 소통과 차문화
Ⅲ. 실학사상의 실용주의와 차산업의 발전
Ⅵ. 실학사상과 차문화 발전의 연관성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혜란(Park, Hye-ran). (2018).조선 후기 실학사상과 차문화 발전의 연관성 연구. 차문화산업학, 41 , 59-92

MLA

박혜란(Park, Hye-ran). "조선 후기 실학사상과 차문화 발전의 연관성 연구." 차문화산업학, 41.(2018): 59-9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