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전후 시기 동아시아 매체서사의 로컬리티 ― 한중일 삼국 영화에서의 중국 고전서사 <백사전(白蛇傳)> 수용을 중심으로

이용수 446

영문명
Locality of East Asian Media Narratives after World War II ― Focusing on the Acceptance of the Chinese Classical Narrative ‘Bai-she-zhuan(白蛇傳)’ in the Nation-state Films of Japan, Korea, and China
발행기관
한국중국소설학회
저자명
최영희(崔 荣 姬) 문현선(文 炫 善)
간행물 정보
『중국소설논총』제55집, 245~272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8.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2차 대전 이후 동아시아 각국은 새로운 세계 질서에 부합하는 민족국가의 건설에 주력하 였다. 특히 사회 질서의 재건과 국민 정체성의 확립은 해결해야 할 가장 중요한 당면과제였 다. 1950년대와 1960년대에 가장 현대적인 매체이자 ‘꿈의 서사’로서 영화는 이와 같은 공동체적 목표에 부응해 새로운 세계 질서에 따르는 이상적인 국가와 민족의 이미지를 그려냈 다. 인간과 인간이 아닌 이류(異類) 사이의 결합을 그리는 ‘이류연애담(異類戀愛談)’으로서 <백사전(白蛇傳)>은 이류가 인간 세계에 정착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과정을 그리며, 그 과정을 통해 해당 공동체가 추구하고 강제하는 ‘인간의 조건’을 역설적으로 보여준다. 이 글은 기호학적 방법론을 활용해 일본영화 <백부인의 요련>, 한국영화 <백사부인>, 중국영화 <백 사전>의 내러티브를 분석하고, 각 국가 및 지역의 영화들이 보여주는 조건의 차이를 확인하 며, 그 차이가 환기하는 공동체의 사회 질서 및 개인의 욕구와 소망을 읽어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당시 동아시아 각국의 중국영화 영화는 매체 특유의 은유와 환유의 방식을 통해 사회의 급진적인 변화와 불변하는 인간의 조건을 표현해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After World War II, each of the East Asian countries focused on the construction of a nation-state that conforms to the new world order. Especially, reconstruction of social order and establishment of national identity were the most important problems to be solved. In East Asia during the 1950s~1960s, as the most modern media and ‘narrative of dreams’, the film portrays the image of an ideal nation-state based on a new world order In response to this collective goal. As a kinds of ‘a love story of betweent different species(between human being and not human being)’, the Chinese classical narrative ‘Bai-she-zhuan’ depicts the struggle for relationship to settle in the human world and paradoxically demonstrates the ‘conditions of human being’ that the community pursues and enforces through the process. This paper at first analyzes the media narrative of the Japanese movie , the Korean movie and the Hong Kong movie by semiotic methodology, and to the next tried to read the differences of the conditions of ‘nation’ that the movie depicts in each country and region, and furthermore to understand the deviation between the social order and the Individual desire in the local communities evoking the difference.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Bai-she-zhuan’ films of East Asian countries at the time expressed the radical change of society and unchanging human condition through the medium of metaphor and metonymy.

목차

1. 서론
2. 동아시아 전통문화 속 원천서사로서의 <백사전(白蛇傳)>
2.1 인물 2.2 사건
3. 1950년대와 1960년대 동아시아 영화에서의 <백사전(白蛇傳)>
3.1 일본영화 <백부인의 요련(白夫人の妖戀)>
3.2 한국영화 <백사부인(白蛇夫人)>
3.3 중국영화 <백사전(白蛇傳)>
4. <백사전(白蛇傳)> 영화의 은유와 환유를 통해 본 동아시아 사회의 현대화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영희(崔 荣, 姬),문현선(文 炫 善). (2018).전후 시기 동아시아 매체서사의 로컬리티 ― 한중일 삼국 영화에서의 중국 고전서사 <백사전(白蛇傳)> 수용을 중심으로. 중국소설논총, 55 , 245-272

MLA

최영희(崔 荣, 姬),문현선(文 炫 善). "전후 시기 동아시아 매체서사의 로컬리티 ― 한중일 삼국 영화에서의 중국 고전서사 <백사전(白蛇傳)> 수용을 중심으로." 중국소설논총, 55.(2018): 245-2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