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馮夢龍의 《 情史 》 에 드러난 評語의 존재 양상과 情敎思想

이용수 70

영문명
In Qingshi(情史), Written by Feng Menglong, Existentialism and the Qingjiao Ideology Emerged in the Critical Remarks
발행기관
한국중국소설학회
저자명
유정일
간행물 정보
『중국소설논총』제55집, 27~49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8.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정사》에 존재하는 평어의 양상과 평자들의 실체를 파악한 뒤, 평어에 드러난 정교사상의 실상과 이를 중심으로 한 문학사상적 추이에 대해 살핀 글이다. 여기서 다룬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정사》에 드러난 평점의 양상을 관찰하여 《정사》에서 평집 의도를 내포하고 있는 실질적 의미에서의 평어는 결국 贊 2條를 포함한 문후평과 권말평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문후평과 권말평을 평어 안에 평자의 名字이나 字號가 기재되어 있는가의 여부에 따라 ‘記名 評語’와 ‘無記名 評語’로 나눈 뒤, 記名 評語를 ‘원작자 평어’와 ‘평집자 평어’, ‘제3자 평어’로 다시 세분해 설명했다. 그 과정을 통해 이들 평어에는 평집자 자신은 물론 明人들의 철학및 가치관이 전면적으로 반영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奇女子傳》의 평어가 대량으로 《정사》 에 이입되어 《정사》 평론에 가장 큰 영향을 주었다는 점을 확인했다. 그리고 《정사》에 존재 하는 평어의 전체적인 양상을 제시한 뒤, 거기서 드러나는 다양한 의미에 대해 짚었다. 《정사》에 드러난 ‘情教’에는 情을 교의로 삼는 일종의 종교를 뜻하는 ‘崇情’의 의미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정교의 문학사상적 의도는 인간의 보편적 정서인 정의 효용성을 드러 내고 그 가치를 믿어서 문학 작품을 통해 정의 위대성을 보여줘 그것으로써 사람을 교화시 키려는 데 있었던 것이다. 풍몽룡의 문학사상적 추이의 핵심은 ‘情에 대한 인식변화’와 ‘敎化 性’이라고 할 수 있으며 重情思想에서 情敎思想〔崇情 + 敎化〕 그리고 교화사상으로 옮겨 간다고 보았다. 정교사상을 담고 있는 《정사》는 풍몽룡의 문학사상적 측면에서 볼 때 그 전환기적 의미를 지닌다고 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critical remarks in Qingshi, and ‘Qingjiao ideology’ expressed in those critical remarks. The significant value of Qingshi is in that it highly influenced the Chinese and Korean novels. The main literary value of Qingshi is in critiques and the critics’ original philosophy. This study studied the critical remarks in Qingshi based on these facts. This study was able to affirm that the philosophy of Ming―men and Feng Menglong himself was totally reflected in the critical remarks in Qingshi. Also, it was able to find out that the book which influenced the critical remarks in Qingshi the most is Giyeojajeon written by Jinwon Oh. It identified that the ‘Qing’ and ‘Qingjiao’ Feng Menglong meant to show were different from ‘Zhongqing’ Tanghyeonjo and Iji argued. Iji and Tanghyeonjo can be picked as one of the pioneering people who tried to civilize people through play, a genre of popular literature, and it is FenMenglong who took over this literary thought’s tradition and strived to reform people through popular literatures. Feng Menglong intended to reform people through gingjiao advocated in Qingshi, in other words.

목차

1. 들어가는 말
2. 《情史》에 드러난 평어의 양상과 評者의 문제
2.1 《情史》 평어의 존재 양상과 그 의미
2.2 《情史》 評者의 실체와 評語의 출처
3. 《情史》의 정교사상의 맥락과 그 문학사상적 推移
3.1 정교사상의 의미와 그 실체
3.2 정교사상의 교화적 성격과 그 추이
4. 마무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정일. (2018).馮夢龍의 《 情史 》 에 드러난 評語의 존재 양상과 情敎思想. 중국소설논총, 55 , 27-49

MLA

유정일. "馮夢龍의 《 情史 》 에 드러난 評語의 존재 양상과 情敎思想." 중국소설논총, 55.(2018): 27-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