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소년의 부모화가 정서표현양가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546

영문명
The Effect of Parentification of Adolescents o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Moderating Effect of Self-soothing Ability
발행기관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저자명
전혜정(Jeon Hyejeong) 박진희(Park Jinhee) 이수영(Lee Sooyoung) 최영미(Choi Youngmi) 김명희(Kim Myounghee) 천성문(Cheon Sungmoon)
간행물 정보
『인문사회과학연구』인문사회과학연구 제19권 제3호, 431~45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8.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의 부모화와 정서표현양가성의 관계에서 자기위로능력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P 지역의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부모화, 정서표현양가성, 자기위로능력 척도를 사용해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498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독립표본 t-검증과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조절효과 검증을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과 단순기울기의 유의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성별에 따라 정서표현양가성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자 청소년이 여자 청소년보다 정서표현양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화와 정서표현양가성은 정적 상관관계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나 부모화가 높을수록 정서표현 양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별에 따라 자기위로능력의 조절효과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자 청소년의 경우 부모화와 정서표현양가성의 관계에서 자기 위로능력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반면에 남자 청소년의 경우 자기위로 능력의 상호작용이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부모화가 정서표현양가 성에 미치는 영향 및 내적 자원인 자기위로능력의 조절효과를 성별에 따른 차이를 검증 하였으며, 이를 통해 부모화를 경험하는 학생들의 지도 및 상담에 있어 성별에 따라 다르게 접근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을 밝혀냈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soothing 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 parentification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For this purpose, the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in P region. The collected 498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1.0 program.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significance test of simple slope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i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according to gender. Male adolescents showed higher ambivalence than female adolescents. Second, parentification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were statistically correlated. The higher the parental attitude, the higher th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Third, according to gend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effect of self-soothing ability. In the case of female adolescents, the ability to control self-efficacy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nd emotional expressive ambiguity, where as male adolescents had no significant interaction of ability on their own.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arentification o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soothing ability on gender by internal resource. It is meaningful that it revealed the necess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implication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혜정(Jeon Hyejeong),박진희(Park Jinhee),이수영(Lee Sooyoung),최영미(Choi Youngmi),김명희(Kim Myounghee),천성문(Cheon Sungmoon). (2018).청소년의 부모화가 정서표현양가성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과학연구, 19 (3), 431-457

MLA

전혜정(Jeon Hyejeong),박진희(Park Jinhee),이수영(Lee Sooyoung),최영미(Choi Youngmi),김명희(Kim Myounghee),천성문(Cheon Sungmoon). "청소년의 부모화가 정서표현양가성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과학연구, 19.3(2018): 431-45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