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제주방언 ‘올레’의 어휘사

이용수 86

영문명
Lexical History of Jeju Dialect ‘Olle’
발행기관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저자명
배영환(Bae Younghwan)
간행물 정보
『인문사회과학연구』인문사회과학연구 제19권 제3호, 1~2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8.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제주 방언형인 ‘올레’와 관련된 어휘의 형태와 의미 변화를 논의하는데 목적이 있다. 제주방언 ‘올레’에 대응하는 중세국어 형태는 ‘오래’이다. ‘오래’는 「천자문」을 비롯한 여러 문헌에 나타난다. 중세국어 ‘오래’의 본래 의미는 ‘문’이다. 특히 밖에 있는 문[外門]을 뜻하였다. 아울러 중세국어에서 당시에 이미 ‘오래’와 ‘문’의 의미적 유연성이 약화되어 ‘오래’는 또 다른 의미인 ‘거리’[巷]의 의미도 갖게 되었다. 근대국어 자료에서는 ‘오래’의 형태가 좀처럼 확인되지 않는다. 현대국어에서 ‘오래’가 확인되는 곳은 함경도와 평북 등 북한 지역이다. 아울러 제주방언에 ‘올레’로 남아 있다. 함북 방언에서 ‘오래’는 ‘동네’나 ‘마을’, ‘이웃’의 의미를 보인다. 제주방언의 ‘올레’는 ‘오래’에서 ‘ㄹ’이 첨가된 형태이다. 그리고 이 지역에서 ‘ㅐ’와 ‘ㅔ’를 구분하지 않고 ‘ㅔ’로 발음하는 현상이 반영된 것이다. ‘올레’는 ‘큰길에서 대문까지의 골목길’이라는 의미이다. 더불어 ‘올레’는 ‘올레 주변이나 그 일대’의 의미를 갖고 있다. 중세국어의 ‘오래’는 기본 의미가 ‘문’, 또는 ‘외문’이었는데, 이러한 의미에서 일차적으로 ‘거리’, 나아가 ‘이웃’이나 ‘마을’, ‘종중’ 등으로 점차 파생되었다. 중세국어에 ‘오래’가 ‘오래문’과 같은 동의 중복 형식이나 합성 형식으로밖에 나타나지 않은 것은 이미 ‘오래’와 ‘문’의 유연성을 잃어 버렸기 때문이다. 이렇게 ‘오래’와 ‘문’의 유연성이 사라진 이유는 한자어 ‘문’의 영향 이다. 일음절 한자어라는 특징은 고유어 ‘오래’가 세력을 잃게 되는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change in the form and meaning of vocabulary related to Jeju dialect Olle . The medieval Korean language form corresponding to Jeju dialect Olle is Orae . Orae appears in various literature including Cheonjamun. The original meaning of Orae , medieval Korean language, is Mun(Gate) , especially 外門(exterior gate). In addition, the meaningful motivation of Orae and Mun(Gate) had already weakened in the medieval Korean language, and Orae had another meaning of 巷[Street] . In modern Korean language data, the form of Orae is rarely found. In the modern Korean language, Orae is found in North Korea including Hamkyeong Province and Pyeongbuk, and it remains Olle in Jeju dialect. Orae , in the dialect of North Hamgyeong Province means neighborhood , village or neighbor . Olle in Jeju dialect is a form of Orae inserted with ‘ㄹ’. And the change of Olrae to Olle reflects the fact that ㅐ and ㅔ are not distinguished in this area. Olle means an alleyway from the main road to the main gate . In addition, Olle has the meaning of around Olle or its vicinity . The basic meaning of Orae in the medieval Korean language gradually derives from Mun(Gate) or 外門 (Exterior Gate) to firstly Street , then Neighbor , Village , and ‘Clan’. The reason why Orae in the medieval Korean language h as only appeared in a tautology or synthesis form such as Oraemun is that it has already lost the flexibility of Orae and ‘Mun’. And the reason for the missing flexibility of Orae and ‘Mun’ is due to the influence of Chinese character Mun . Mun featured by a one-syllable character played a crucial factor for Native Korean word Orae to lose power.

목차

Ⅰ. 서론
Ⅱ. 국어사 자료에서의 ‘올레’ 관련 형태와 의미
Ⅲ. 현대국어 방언에서의 ‘오래’와 ‘올레’의 분포와 의미
Ⅳ. ‘오래’의 의미 변화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배영환(Bae Younghwan). (2018).제주방언 ‘올레’의 어휘사. 인문사회과학연구, 19 (3), 1-27

MLA

배영환(Bae Younghwan). "제주방언 ‘올레’의 어휘사." 인문사회과학연구, 19.3(2018): 1-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