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朝鮮時代 初學書 漢字音 初聲 硏究

이용수 67

영문명
A study on the initial sound in Chinese characters textbooks of the Chosun Dynasty
발행기관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저자명
이현선(Lee Hyunsun)
간행물 정보
『인문사회과학연구』인문사회과학연구 제19권 제3호, 237~26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8.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한자음을 기재한 조선의 다양한 문헌 자료 중, 「訓蒙字會」,「新增類合」,「千字文」등 초학서는 전승 한국한자음의 변천과정을 잘 보여주는 자료이다. 본고는 이들 초 학서에 기록된 한자음 중 중국에서 사용하는 한자음의 성모와 대응하는 초성 표기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였다.「訓蒙字會」,「新增類合」,「千字文」등의 초학서는 東國正韻과는 달리 조선 당시의 현실에 맞추어 全濁音을 없애고, 疑母, 影母를 ‘ㅇ’으로 통합하였다. 결과적으로「訓蒙字會」,「新增類合」,「千字文」에서는‘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新增類合의 ‘快’),‘ㅌ’, ‘ㅍ’, ‘ㅎ’, ‘ㅿ’(訓蒙字會) 등 14개 초성을 사용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세 종류 초학서의 각 판본간 비교를 통해, 中古漢語 舌 上音계 한자음 초성이 ‘ㄷ’, ‘ㅌ’에서 ‘ㅈ’, ‘ㅊ’으로 변화하는 현상, 中古漢語 來母와 泥, 娘母字 대부분은 ‘ㄹ’과 ‘ㄴ’으로 나뉘어 표기되었지만 일부 혼용되는 현상, 中古漢語 匣 母는 대부분 ‘ㅎ’, 見, 溪母는 대부분 ‘ㄱ’으로 대응되지만 일부 혼용되는 현상, ‘ㅅ-’계열 합용병서 ‘ㅺ’, ‘ㅽ’, ‘ㅆ’이 사용된 예와 이들이 ‘ㄱ’, ‘ㅂ’, ‘ㅅ’으로 변화하는 현상 등에 대해 논의하고, 합리적인 해석을 찾고자 시도하였다. 또한 중국어학의 관점에서 출발하여 세 종류 초학서의 漢字音 初聲체계와 中古漢語 聲母와의 대응 관계를 확인하였고, 舌音과 脣音, 匣母와 見組, 以母의 독음 등에 반영된 上古漢語의 특징 및 影, 喩, 疑모의 영성 모화와 舌上音을 齒音으로 바꾸어 읽는 현상 등 近代漢語의 특징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점들은 오랜 세월 중국과 교류하며 영향을 받은 한국한자음의 역사적 기원을 밝히는데 기여할 수 있는 예라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basic textbooks for learning Chinese Characters, Hun-mong-ja-hoe( ≪訓蒙字 會≫ ), Xin-jeong-eu-hap( ≪新增類合≫ ), Cheon-ja-mun( ≪千字文≫ ), was the most popular and used frequently by the people of Chosun dynasty. Since these textbooks includes the basic sets of Chinese Characters, we can get the historical changes of Sino-Korean through analysing the sound of the Chinese Characters on these textbooks. According to our research, the initial sounds of Hun-mong-ja-hoe( ≪訓蒙字會≫ ), Xin-jeong-eu-hap( ≪新增類合≫ ), Cheon-ja-mun ( ≪千字文≫ ) have 14 consonants,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新增類合≫‘快’),‘ㅌ’, ‘ㅍ’, ‘ㅎ’, ‘ㅿ’(≪訓蒙字會≫), as for various versions of these basic textbooks on 16, 17, 18 century. The initial sounds of Hun-mong-ja-hoe( ≪訓蒙字會≫ ), Xin-jeong-eu-hap( ≪新增類合 ≫ ), Cheon-ja-mun( ≪千字文≫ ), which was marked by Hun-min-jeong-eum of 17-18 century editions are different in some points with those of 16 century, such as palatal initials and semi-dental sound, ‘ㄹ’and ‘ㄴ’, ‘ㄱ’and ‘ㅎ’, additionally, we have found ‘ㅺ’, ‘ㅽ’, ‘ㅆ’used as the initial sound. In addition to that, the initial sounds of Chinese Characters of these basic textbooks are reflecting Ancient, Medieval, Modern Phonetics of Chinese and this will be a part of evidences help us to find the derivation of sino-Korean.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朝鮮時代 初學書의 漢字音 초성 체계
Ⅲ. 朝鮮時代 初學書 漢字音 초성에 관련된 몇 가지 문제
Ⅳ. 朝鮮時代 初學書 漢字音 초성에 반영된 上古漢語, 中古漢語, 近代漢語 聲母의 영향
Ⅴ. 나오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현선(Lee Hyunsun). (2018).朝鮮時代 初學書 漢字音 初聲 硏究. 인문사회과학연구, 19 (3), 237-264

MLA

이현선(Lee Hyunsun). "朝鮮時代 初學書 漢字音 初聲 硏究." 인문사회과학연구, 19.3(2018): 237-2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