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老子』의 道器觀

이용수 158

영문명
The Viewpoint of Dao and Qi by Laozi
발행기관
한국동양철학회
저자명
정병석(Jung, Byung-Seok) 김영철(Kim, Young-Chul)
간행물 정보
『동양철학』東洋哲學 第49輯, 125~155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7.3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老子』에 나오는 쌍 개념, ‘道’와 ‘器’의 함의를 밝히고 그 상관관계를 검토하는 데 있다. 『老子』 이전부터 ‘道’와 ‘器’는 각기 나름의 용법으로 쓰이고 있었다. ‘道’가 중국 고대 철학의 최고 범주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던 것은 무엇보다 『老子』에 힘입은 바 크다. 『老子』에 의해 “최고의 절대 추상”으로 확립된 ‘道’는, 맥락에 따라 삼라만상의 운행 법칙, 궁극의 진리, 존재의 근거, 천지만물의 본원, 개인과 공동체의 삶을 의지하는 보편적 규율 등을 가리키는 대명사로 두루 활용되었다. ‘器’는 본디 그릇을 뜻했지만, 기물이나 장신구 같은 구체적 사물을 표현하는 데도 쓰였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인물 혹은 인품과 도량 등으로 의미가 확대되기도 했다. 그러나 대개는 구체적 형체를 지닌 기물을 ‘器’라 통칭한다. 無形의 추상적 ‘道’ 와 有形의 구체적 ‘器’, 이처럼 다른 색깔의 두 개념을 『老子』는 어떤 사변을 통해 연계시켰으며 이 둘의 상관관계는 또 어떤 양상을 띠는가 하는 것이 본 논문이 다루려는 기본적 문제의식이다. 老子는 器야말로 자신이 추구하는 道를 드러내는데 있어 대비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치라고 생각했고, ‘器’를 ‘道’와 대응하는 不動의 철학적 범주로 확실히 자리매김하는 데 성공했던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thesis is aimed at identifying the implications of Dao and Qi, the twin concepts appearing in Laozi and review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concepts. Dao and Qi had been used in their own usage before Laozi. The main reason how Dao has became the best category in China’s ancient philosophy was that it was indebt to, among other things, Laozi. Dao, which was firmly established as “the best absolute abstraction” by Laozi, has been widely used according to its context as a pronoun indicating the operation rule of the universe, the ultimate truth, the foundation of existence, the origin of all creatures, and the universal rules on which individuals and communities relied on for their life. While Qi originally meant a bowl, it was also used to express concrete objects like an article or an accessory and its meaning was extended to a character, personality, or generosity in some cases. However, articles with concrete shape are generally called as Qi. Dao, which is intangible and abstract, and Qi, which is tangible and concrete. It is the fundamental critical mind that this thesis intends to study how Laozi connected the two different concepts·through what type of speculation, and what type of aspect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concepts took on. Laozi thought that Qi itself was a device which he could maximize the contrast effects in displaying Dao of which he was in pursuit, and succeeded in firmly establishing Qi, which reacted to Dao, as an unshakable philosophical category.

목차

Ⅰ. 여는 말
Ⅱ. 道·器와 有無論
Ⅲ. 樸과 器
Ⅳ. 兵器와 利器, 사회 시스템의 총체
Ⅴ. 神器·成器·大器
Ⅵ. 닫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병석(Jung, Byung-Seok),김영철(Kim, Young-Chul). (2018).『老子』의 道器觀. 동양철학, 49 , 125-155

MLA

정병석(Jung, Byung-Seok),김영철(Kim, Young-Chul). "『老子』의 道器觀." 동양철학, 49.(2018): 125-15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