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Theological Anthropology for the World of Today : Gaudium et Spes 22

이용수 6

영문명
현대를 위한 신학적 인간학 - 「사목헌장」 22항 -
발행기관
신학과사상학회
저자명
Marco Sprizzi(마르코 스프리치 몬시뇰)
간행물 정보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Catholic Theology and Thought No.80, 217~245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6.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The article analyzes and deepens the mystery of man in the light of the mystery of Christ, according to the teaching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 with a special focus on the paragraph 22 of the Pastoral Constitution Gaudium et Spes. This text, which concludes the first chapter (entitled “the Dignity of the Human Person”) of the first part of this conciliar document, offers an holistic frame of true Christian anthropology, based - as it must be - on Christology, presenting a rich and meaningful vision on what Christian faith has to say about man - man of every time and every culture, every continent, nation, ethnicity or social condition: created in the image and likeness of God and called from the beginning to be configured to Him In this way, “under the light of Christ,” it harmonizes all together the main aspects of Cristian doctrine about man and its destiny. Indeed, the mystery of man finds true light only in the mystery of the incarnate Word. Christ is the image of God, and every man is called to put on this image and to conform himself to it. If Christ is God’s image, man is not only properly ‘image of God,’ but created according to the image, “ad imaginem Dei,” according to that perfect image of God which is Christ Jesus. This Christ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scriptural notion of image, common in the patristic teaching until the V century, renewed by the Council in Gaudium et Spes 22, has aroused renewed studies and deeper analysis in catholic theology on the interrelated concepts of creation in Christ, Christ as center of history and final goal of the whole creation (Cf. Col 1:15-20). At the same time, it is also true that the newness of Christ must always be reaffirmed. The novelty of the incarnation, in fact, cannot be simply inferred from creation. Jesus restored in the offspring of Adam its likeness to God, deformed by original sin. Only a posteriori, on the bases of the knowledge of salvation brought about by Christ, it will be possible to deduce that He was already, since before creation, in the eternal design of the Father, as we read in the Hymn of the Letter to the Ephesians (Cf. Eph 1:3-5). Creation and renewal in Christ cannot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lthough they must be distinguished, it would be impossible to separate the creation of man in Christ from his conformation to Christ in his grace. Christ reveals man to man precisely by the revelation of the mystery of the Father (in ipsa revelatione mysterii Patris). The revelation of the Father and the disclosure of the mystery of man go on together, they imply each other. This means that the revelation of the mystery of man, that Christ accomplishes, consists, precisely, in the unveiling of man’s vocation to divine filiation. If the title of “Son” is the one which more deeply reveals the identity of Jesus, also for man his condition of God’s son in Christ will represent the most profound dimension of his being in Christ by grace. The Spirit of Christ, in Whom we live our divine filiation, makes us brothers and sisters each other, makes of us one body and one spirit. The obedience unto death of Jesus to the Father is His own perfection, just like our salvation is our obedience to Jesus, fullness of man. Only in Christ man finds salvation, which coincides with the consummation of human history and with the accomplishment of God’s salvific design. The beginning and the end find in Christ their point of convergence. Thus, we are introduced in the life of God One and Triune.

영문 초록

본고는 특히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가르침에 입각하여, 「사목헌장」 22항에 집중함으로써 그리스도의 신비라는 빛의 조명 아래 인간의 신비를 분석하고 심화시킨다. 공의회 문헌의 첫 번째 편의 첫 장(‘인간의 존엄성’이라는 제 목의)의 결론들과 함께 본고는 참된 그리스도교 인간학의 전반적 인 구조를 제시한다. 그런데 이는 - 당연히 그러해야 하듯 – 그리스도론에 기초해 있으며, 그리스도교 신앙이 인간에 관해 무엇을 말하고 있는지에 대한 풍부하고 의미 있는 비전을 제시한다. 이러한 인간은 하느님의 이미지와 유사성 안에서 형성되고, 태초부터 하느님께 정향되도록 부름을 받았으며, 모든 시대와 모든 문화, 모든 대륙, 국가, 민족성, 또는 사회적 조건들에 속해 있는 인간을 의미한다. 이러한 방법에서, “그리스도의 빛의 조명 아래”, 그리스도교 인간학은 인간과 인간의 운명에 관한 그리스도교 교의의 주된 특성들과 조화를 이룬다. 사실 인간의 신비는 오직 육화된 말씀의 신비 안에서 참된 빛을 발견한다. 그리스도는 하느님의 모상이다. 그리고 모든 인간은 그리스도의 이미지를 취하고 자신을 그것에 부합시키기 위해 부르심을 받는다. 만일 그리스도께서 하느님의 모상이라면, 인간은 단지 적절한 ‘하느님의 모상’일뿐만 아니라 하느님의 모상에 따라(ad imaginem Dei), 즉 완전한 하느님의 모상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따라 만들어졌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모상(image)의 성경적 개념에 대한 그리스도론적 해석은 5세기까지 교부들의 가르침에 보편적으로 나타났고, 공의회의 「사목헌장」 22항에 의해 다시금 다루어졌다. 이러한 그리스도론적 해석은 그리스도 안에서의 창조라는 상호 연관된 개념에 대한 새롭게 제시된 연구들과 보다 깊이 있는 분석을 가톨릭 신학에 불러일으켰다. 그리스도 안의 창조 개념은 역사의 중심으로서의 예수와 만물의 최종 목적으로서의 예수(콜로 1,15~20)를 의미한다. 또한 그리스도의 새로움은 항상 재확인되어야만 한다. 육화의 새로움은 사실, 단순히 창조에서부터 추론될 수 없다. 예수는 아담의 후손들 가운데 원죄에 의해 변형된 하느님의 모상성을 회복 시켰다. 그리스도가 가져다준 구원의 지식에 기초하는 귀납적인 방법 안에서만, 창조 이전에, 아버지의 영원한 계획안에서, 이미 그분이 계시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는 에페소인들에게 보낸 편지에서 이러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에페 1,3~5). 그리스도 안에서 창조와 회복은 서로 분리될 수 없다. 그들은 구별되어야 하지만, 그리스도 안에서의 인간의 창조와 은총 안에서 그리스도에 대한 인간의 순응은 분리할 수 없을 것이다. 그리스도께서는 아버지의 신비에 대한 계시에 의해 남김없이 정확하게 드러내신다(in ipsa revelatione mysterii Patris). 아버지에 대한 계시와 인간의 신비가 드러나는 것은 동시에 진행되며 서로를 수반한다. 이는 그리스도께서 이루시는 인간의 신비에 대한 계시는 정확하게 거룩한 친자성에 대한 인간의 성소가 드러남에 있음을 의미한다. “아들”이라는 칭호가 예수의 정체성을 보다 깊게 드러내는 것이라면, 그리스도 안에서 하느님의 아들이라는 인간의 조건은 은총에 의해 그리스도 안에서의 자신의 존재가 지닌 가장 심오한 차원을 드러낼 것이다. 그리스도의 영안에서 인간은 하느님의 자녀됨이라는 거룩한 삶을 살아갈 수 있다. 그러한 그리스도의 성령은 우리를 서로 형제자매로 만들고, 하나의 몸과 하나의 영으로 만든다. 죽음에 이르기까지 하느님께 대한 예수의 순명은 그의 완전함이다. 이는 온전한 인간이신 예수께 대한 우리의 순명과 마찬가지이기도 하다. 그리스도 안에서만 인간은 구원을 얻는데, 이는 인간 역사의 완성과 하느님의 구원 계획의 성취와 일치한다. 시작과 마침은 그리스도 안에서 수렴한다. 따라서 우리는 한 분이시며 삼위일체이신 하느님의 삶으로 초대되고 있다.

목차

1. Christ New Adam
2. Christ Revelator of the Father: The Divine Filiation
3. Original Sin and Its Consequences
4. The Eschatological Perspective
5. Conclusio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Marco Sprizzi(마르코 스프리치 몬시뇰). (2018).Theological Anthropology for the World of Today : Gaudium et Spes 22.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 (80), 217-245

MLA

Marco Sprizzi(마르코 스프리치 몬시뇰). "Theological Anthropology for the World of Today : Gaudium et Spes 22."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 .80(2018): 217-24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