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분청사기상감정통4년명김명리지석 (粉靑沙器象嵌正統四年銘金明理誌石)에 대한 고찰

이용수 197

영문명
A Study on Kim Myeong-ri(金明理)’s Epitaph Tablet
발행기관
포은학회
저자명
김영미(Kim, Young-Mee)
간행물 정보
『포은학연구』제21집, 109~150쪽, 전체 42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6.30
7,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분청사기로 만들어진 김명리(金明理) 지석(誌石)은 조선 초기에 만들어진 독특한 형태로 외형상 연봉형 꼭지에 종 형태이고 명필의 필치로 빼곡히 글씨가 채워진 귀중한 유물이다. 지석은 우리나라에서는 고려시대∼조선시대 상류층에서 유행하였다. ≷주자가례(朱子家禮)≸에서 지석은 두 개의 돌조각으로 쓴다고 기록되어 있다. 김명리 지석의 내용은 표제문과 지문이 연결되어 피장자의 관직, 성명 그리고 가계, 이력, 성품, 가족관계, 글을 찬한 사람의 이름과 사유에 대해 자세하게 명시되어 있다. 이런 자세한 내용은 고려시대 석제 지석의 형식을 따른 것으로 보인다. 고려에서 조선으로 왕조가 바뀌면서 숭유억불의 정책을 펼치지만, 유교적 규범이 완전히 자리 잡기 전인 조선 15세기에는 여전히 불교적 요소를 가지고 있는 지석들이 제작된다. ‘분청사기 종형 묘지’도 여기에 해당된다. 이 종형 묘지의 꼭대기에는 연봉오리가 입체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연꽃은 고려시대 위패에 등장하던 장식요소로서 ‘연화세계(蓮花世界)’ 곧 ‘극 락세계(極樂世界)’를 의미하는 것이다. 조선시대 자기로 만든 위패형 지석에 연꽃은 중심 문양으로 등장한다. 그리고 종형 묘지는 입체의 형태에 고려 말〜15세기 유행하던 ‘조맹부체(趙孟頫體)’로 빼곡히 쓰여진 개인의 기록 으로, 조선 초의 사료를 보완해주는 매우 귀한 자료이기도 하며 현재까지 발견된 묘지 중 유일한 형태이다. 지석의 제작지는 피장자인 김명리가 기거했던 탄동과 장례를 치룬 장소가 모두 경기도 광주시로 가까운 거리에서 분청사기를 주문하여 제작한 것으로 생각되는데, 가장 유력한 가마는 바로 세종실록 지리지에 상품자기를 생산하는 자기소인 번천리[伐乙川]일 것으로 추정된다.

영문 초록

Kim Myeong-ri(金明理)’s Epitaph Tablet, created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朝鮮) is a unique and valuable artifact with a Bell on the lotus flower bud shape and a touch of master of calligraphy filled with together. Epitaph Tablets were popular in the upper classes of the Goryeo(高麗) and Joseon(朝鮮) Dynasties in Korea. The contents of Kim Myeong-ri(金明 理)’s Epitaph Tablets which linked to the title and the body are consisted that office position, name, family history, person history, personality, family relations and the name with reasons of the person whose wrote in response to a compliment. These details appear to follow the Stone Epitaph Tablets form of Goryeo Dynasty(高麗). Even thought Promoting Confucianism and oppressing Buddhism during of the kingdom changing from Goryeo(高麗) to Joseon(朝 鮮), Epitaph Tablets with Buddhist elements were still produced in the 15th century of Joseon(朝鮮) Dynasty when Confucian standards were not fully established. This includes the bell-shaped cemetery in Buncheongware(粉靑沙器). A hree-dimensional representation of the peak of a lotus flower is at the top of this cemetery. The lotus flower is an ornamental element that appeared on the ancestral tablets of the Goryeo Dynasty(高麗), which means ‘elysium’ or ‘paradise’. The lotus flower appears as a central pattern on the ancestral tablet-typed Epitaph Tablets made from the Joseon Dynasty(朝鮮). And this three-dimensional cemetery has a personal document fully written in “Zhao Mengfu-style writing(趙孟頫體)” which was popular during the end of Goryeo(高麗)and 15th century. It is also an invaluable source of historical materials for the early Joseon period(朝鮮), and is the only type of burial ground found so far. A strong funace site of Epitaph Tablets s production is believed to be Banchunre(樊川理) where is near Tan-Dong in there Kim Myeong-ri(金明 理) lived and Gwangju City(廣州市), Gyeonggi Province(京畿道) buried, and also porcelain manufactory for Buncheongware(粉靑沙器) sales ceramics discripted in ≷A True Record of the Joseon Dynasty(世宗實錄地 理志)≸ was there.

목차

1. 머리말
2. 김명리 지석의 제작배경
3. 김명리 지석의 내용과 제작지
4. 김명리 지석 문양의 상징성 및 의의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영미(Kim, Young-Mee). (2018).분청사기상감정통4년명김명리지석 (粉靑沙器象嵌正統四年銘金明理誌石)에 대한 고찰. 포은학연구, 21 , 109-150

MLA

김영미(Kim, Young-Mee). "분청사기상감정통4년명김명리지석 (粉靑沙器象嵌正統四年銘金明理誌石)에 대한 고찰." 포은학연구, 21.(2018): 109-1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