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제강점기 전통 계획도시 수원의 지역구조 재편

이용수 634

영문명
The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Traditional Planned Town of Suw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발행기관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저자명
홍금수(Hong, Keumsoo)
간행물 정보
『기전문화연구』제39권 제1호, 1~35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6.3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정조에 의해 조영된 팔달산 아래 행궁과 화성은 수원시의 역사·문화적 중심이다. 비극적 가정사에서 피어난 효의 표상지역인 동시에 왕도 호위의 막중한 역할을 수행한 기보(畿輔)의 수위도회로서 수원은 전통 계획도시의 전범이지만, 대륙침탈을 염두에 둔 경부선 철도의 부설 및 식민행정의 출범과 함께 지역구조의 기형적 재편을 경험한다. 불가침의 성역이자 수도를 보장하기 위한 유수부의 거점으로서 행궁은 본연의 기능을 탈취당한 채 식민통치를 위한 통제중심으로 세속화되고 성벽은 지배권력의 권위공간과 피지배의 수탈 영역을 가르는 경계로 변모한다. 서울, 부산, 인천, 여주를 연결하는 경부·수려·수인선 교차점의 수원역은 자원 및 식량수탈의 결절로서 전방에 이식자본의 신 경제공간을 창출하며, 둔전을 관개하기 위해 축조한 축만제와 서호 일대의 경우 농사시험장으로 전용되어 생태제국주의의 전위로 기능한다. 화성, 수원역, 서호의 삼원체제를 특징으로 하는 식민도시 수원의 지역구조는 타자의 지배권력에 의한 다중 스케일의 수탈적 저의를 함의하며 수원면의 읍 승격과 읍역 확장 및 왜색 짙은 혼성경관의 형성은 식민권력의 영역화를 상징한다.

영문 초록

Planned by King Jungjo as a bastide for the defense of the Capital of Chosun Korea the fortress town of Hwasung at the foot of Mt. Paldal played a critical role for the additive and transformative development of present-day Suwon City. The traditional town was forced to restructure itself with the onset of the Seoul-Busan railroad in 1905 as an artery for the imperial foray into the continental Asia. Foremost, the forbidden area of Suwon royal palace was divested of sacredness to be a secular-cum-colonial county seat. Suwon station on the Gyeongbu line was joined by two additional railroad lines of Suryo and Suin to have functioned as a node for the exploitation of interior Gyeonggi region. Lake Seoho designed as a reservoir for the irrigation of agrarian land improved by garrison troops came to host the Institute of Agriculture affiliated with Government-General of Chosun and served as an agent of ecological imperialism in the peninsula. The tripartite structure of Hwasung fortress, Suwon station and Lake Seoho conspired the exploitation of the colonized subaltern by the ruling Other. The scalar adjustment of Suwon-myon into Suwon-eup in 1931 and the extension of the bound of Suwon-eup in 1936 signified the regionalization of Japanese imperial power in colonial Suwon.

목차

1. 서 론
2. 화성 신도회의 조영
3. 배도(陪都)의 상징적 장소에서 식민지 행정공간으로의 전환
4. 삼원 지역구조로의 개편과 식민권력의 영역화
5.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금수(Hong, Keumsoo). (2018).일제강점기 전통 계획도시 수원의 지역구조 재편. 기전문화연구, 39 (1), 1-35

MLA

홍금수(Hong, Keumsoo). "일제강점기 전통 계획도시 수원의 지역구조 재편." 기전문화연구, 39.1(2018): 1-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