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실과교육에서 기술적 문제해결 학습양식의 도출

이용수 167

영문명
Derivation of Learning Style for Solving Technological Problems in Practical Arts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실과교육학회
저자명
임미가(Lim Mi Ka) 김진수(Kim Jin Soo)
간행물 정보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31권 제2호, 63~84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6.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기술적 문제해결의 학습양식을 도출하여 개인차를 고려한 기술적 문제해결의 교수⋅학습을 위한 유의미한 정보를 얻는데 있었다. 기술적 문제해결 학습양식의 도출을 위해 기술적 문제, 기술적 문제해결, 학습양식 이론, 문제해결양식 이론, 창의성 이론에 관한 문헌을 고찰하고, 기술적 문제해결의 각 과정의 특성을 반영하는 학습양식 이론, 문제해결양식 이론, 창의성 이론의 구성요인을 추출하였다. 이후, 서로 다른 범주의 구성요인을 분류하고 유사한 범주의 구성요인을 통합하여 기술적 문제해결의 최종 학습양식을 도출하였다. 기술적 문제해결 학습양식은 ‘경험형-사고형’, ‘적응형-혁신형’, ‘관찰형-행동형’, ‘독립형-의존형’으로 도출되었으며, 각 학습양식별 학습자 특성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경험형–사고형’은 인지적 특성 관련 양식으로써 주로 문제의 이해, 아이디어 탐색 과정에서 구분된다. 경험형 학습자는 논리보다는 직접 경험이나 외부에서 주어지는 정보에 의존하고 사고형 학습자는 사고를 통하여 내적 체계를 구축하며 논리성과 합리성을 바탕으로 정보를 탐색하고 문제를 해결한다. 둘째, ‘적응형–혁신형’은 창의성에 관계된 인지적 특성 관련 양식으로써 주로 아이디어 탐색, 실행 과정에서 구분된다. 적응형 학습자는 기존의 절차, 규칙, 집단의 관습을 중요시하고 문제해결 방법이 순차적인 특징을 가진다. 혁신형 학습자는 새로운 시각, 아이디어의 생성을 중요시하며 예측 불가능한 특징을 가진다. 셋째, ‘관찰형-행동형’은 심동적 특성 관련 양식으로써 주로 실행 과정에서 구분된다. 관찰형 학습자는 주의 깊게 관찰 후 판단하며 행동보다는 관찰을 선호한다. 행동형 학습자는 문제를 지켜보기보다는 실제로 문제에 접근하며 생각의 실현에 가치를 둔다. 넷째, ‘독립형-의존형’은 정의적 특성 관련 양식으로써 실행, 평가 과정을 주로하여 전체 과정에서 구분된다. 독립형 학습자는 개인적 활동을 선호하고 높은 성과를 중요시 한다. 의존형 학습자는 협동적 활동을 선호하고 성과보다는 구성원과의 조화를 우선시한다. 이 연구의 결과로, 획일적인 방식의 문제해결 학습 환경에서 벗어나 학생의 개인차를 존중하는 기술적 문제해결 교수⋅학습 환경을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추후 현장연구를 통하여 이 연구의 결과를 검증할 것과 도출된 기술적 문제해결 학습양식을 활용하여 실제 수업에 적용 할 수 있도록 하는 교수⋅학습 방법 개발의 후속 연구를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the learning style of solving technological problems and to obtain meaningful information for teaching and learning the skills of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consider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order to derive the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learning style, the literature on technological problem,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skills, learning style theory, problem solving style theory, and creativity theory are examined. Learning style reflects the characteristic of each process of solving technological problems and problem solving style and creativity. After that, the components of similar categories were integrated, and finally the learning style of solving technological problems was derived by classifying the components of different categories. The learning style for solving technological problems was derived as experiential - thinking type , adaptive - innovation type , observation type - behavior type , and independent type - dependent type . First, experiential type - thinking type is cognition- related style, mainly distinguished from understanding the problem and searching for the idea. The experiential learners rely on direct experience rather than logic, or information given from the outside. Thinking learners think about the internal system constructed through thinking and search for information and solve problems based on reason and rationality. Second, Adaptive type – Innovation type is a form related to creative characteristics, mainly distinguishing between idea search and execution. The adaptive learners place importance on the existing procedures, rules, and group customs, and the problem solving methods are sequential and prudent. Innovative learners have a new vision, an emphasis on the generation of ideas and unpredictable features. Third, observation type - behavior type is a form related to practical characteristics and is mainly distinguished in the execution process. Observers prefer to observe carefully and observe rather than behave. Behavioral learners approach real problems rather than observe problems and value realization of thought.s Fourth, independent type - dependent type is a form related to the definition of characteristics. Independent learners have a similar meaning to introverted, competitive, task-oriented, prefer personal activities, and prioritize higher performance rather than interaction or harmony with their members. Dependent learners have similar meanings as extroverted, collaborative, and interpersonal - centered, prefer collaborative activities, and prioritize harmonization with their members rather than outcomes.

목차

Ⅰ. 서론
Ⅱ. 기술적 문제해결과 학습양식의 고찰
Ⅲ. 기술적 문제해결의 학습양식 도출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미가(Lim Mi Ka),김진수(Kim Jin Soo). (2018).실과교육에서 기술적 문제해결 학습양식의 도출. 한국실과교육학회지, 31 (2), 63-84

MLA

임미가(Lim Mi Ka),김진수(Kim Jin Soo). "실과교육에서 기술적 문제해결 학습양식의 도출." 한국실과교육학회지, 31.2(2018): 63-8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