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전통 다식 문양 연구

이용수 310

영문명
A study on the Korean traditional pattern of tea confectionary
발행기관
국제차문화학회
저자명
이진수(Lee, Jin-su)
간행물 정보
『차문화산업학』제40집, 97~118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6.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 전통문양의 가치는 우리나라의 전통문양에 대한 역사성(歷史性)을 이해하고, 조상들의 삶을 느낄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국미(韓國美)를 재발견하여 현대와 미래를 위한 새로운 형태를 창조할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해야 한다. 다식판은 의례에 사용하는 다식에 문양을 박기 위해 사용되었다. 우리 민족은 조상에 대한 염원이 담겨있는 문양에 새로운 문양을 덧붙여가면서 사용하였다. 그러므로 다식판은 민족 고유의 정서와 당시의 사회 현상을 잘 드러내는 생활도구라 하겠다. 서민들이 만들어 쓰던 다식판은 애초부터 공예품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고 주변에 굴러다니는 나무토막을 주워 적당히 손질한 것이다. 구하기 쉬운 재료로 사용하기 쉽게 만든 민속 예술품의 모체로서의 의미를 지닌다. 시대가 변하고 우리의 감각과 삶이 변함에 따라 다식판의 문양도 변해야 한다고 생각된다. 우리가 쓰는 도구는 그 시대의 생활양식을 반영하기 때문이다. 즉, 이 시대에 맞는 다식판이 필요한 것이다. 이것은 사용하기도 편하고 조형적이며, 미적 감각과 장식성도 있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우리 조상들의 작업했던 방식을 중심으로 하여 문양 배열도 음양오행 사상을 지키고, 모양새도 옛 것을 기본으로 작업했으면 하면 좋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value of Korean traditional pattern should be able to understand its history, feel the lives of the ancestors, and rediscover the Korean beauty based on this so as to prepare the foundation to create the new types for the present and the future. Plate of tea confectionary was used to engrave the pattern on the tea confectionary which was used in the rituals. Korean people added the new patterns on those with wishes to the ancestors. Therefore, plate of tea confectionary is considered as the appliance to demonstrate the unique national emotion and the social phenomena at that time. Plates of tea confectionary that were used by the common people were not made as the crafts initially but processed properly with the woods around there. They have the meaning as the origin of folkcraft artworks made of materials easily to get. As the times pass and our senses and lives are changed, the patterns of tea confectionary plate should be changed. This is because the appliances we use apply the living style at the times. That means tea confectionary to satisfy the present era is required. This should be used easily with figurativeness, aesthetic sense and fanciness. However, it would be good to keep the ideas of Yin-yang and five elements of the universe as the patterns focusing on the same types of working by our ancestors, and to work the design as the basic with old ones.

목차

I. 서 론
Ⅱ. 다식의 유래 및 역사
Ⅲ. 다식의 문양
Ⅳ.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진수(Lee, Jin-su). (2018).한국 전통 다식 문양 연구. 차문화산업학, 40 , 97-118

MLA

이진수(Lee, Jin-su). "한국 전통 다식 문양 연구." 차문화산업학, 40.(2018): 97-1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