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항만공사용 사석 고르기 수중로봇의 제어 및 지형인식에 관한 연구
이용수 27
- 영문명
- Study on the Control and Topographical Recognition of an Underwater Rubble Leveling Robot for Port Construction
- 발행기관
- 한국항해항만학회
- 저자명
- 김태성(Tae-Sung Kim) 김치효(Chi-Hyo Kim) 이진형(Jin-Hyung Lee) 이민기(Min-Ki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항해항만학회지』제42권 제3호, 237~244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공학 > 해양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수중에서 로봇으로 사석 고르기 작업을 실시할 경우 로봇 주위의 지형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해야 원격조종이 가능하다. 현 위치로부터 주변지형의 높낮이를 보여줘야 운전자가 작업 계획을 수립하고, 전복과 같은 사고도 예방할 수 있다. 지금까지 지형인식은 멀티 빔 소나에 의해 이뤄졌는데 이는 작업 전후의 품질을 평가하는 용도만 사용되었지 원격조종에서 필요한 실시간 정보로는 사용될 수 없었다. 본 연구는 수중 사석 고르기 작업을 위한 실시간 지형인식 방법을 개발한다. 버킷이 지면을 누를 때 전달되는 힘을 측정해 접촉여부를 판단하고, 실린더의 길이를 읽어 접촉위치를 계산한다. 버킷의 위치제어를 위해 가변 뱅뱅제어 알고리즘을 적용하고 숙련된 굴삭기 운전자의 작업패턴을 프로그램화해 지형인식, 긁기, 밀기, 전진 등의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한다. 개발된 방법은 로봇 몸체로부터 버킷의 거리에 따라 3차원 격자지형을 상대적으로 보여줌으로써 작업자가 쉽게 지형을 인식하고 지형에 따라 작업계획을 세우도록 한다.
영문 초록
When underwater rubble leveling work is carried out by a robot, real-time information on the topography around the robot is required for remote control. If the topographical information with respect to the current position of the robot is displayed as a 3D graphic image, it allows the operator to plan the working schedules and to avoid accidents like rollovers. Up until now, the topographical recognition was conducted by multi-beam sonars, which were only used to assess the quality before and after the work and could not be used to provide real-time information for remote control. This research measures the force delivered to the bucket which presses the mound
to determine whether contact is made or not, and the contact position is calculated by reading the cylinder length. A variable bang-bang control algorithm is applied to control the heavy robot arms for the positioning of the bucket. The proposed method allows operators to easily recognize the terrain and intuitively plan the working schedules by showing relatively 3-D gratifications with respect to the robot body. In addition, the operating patterns of a skilled operator are programmed for raking, pushing, moving, and measuring so that they are automatically applied to the underwater rubble leveling work of the robot.
목차
1. 서 론
2. 사석 고르기 수중건설 로봇
3. 다목적 암의 기구학 해석과 유압실린더 제어
4. 제어결과
5. 지형인식, 고르기, 전진
6. 수중실험
7.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부 간 항만배후단지 개발·관리 기능배분에 관한 연구:
- 항로표지사고의 사회적비용 평가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I)
- 영역감시 분석을 통한 VTS의 효율적 정박지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 해상용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설치 각도에 관한 연구
- 공 컨테이너 반출 시 발생하는 재취급 횟수 비교
- 컨테이너터미널에서 야드 이송장비 자동화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 실적선 DB를 이용한 고속보트 초기 주요치수 결정에 관한 연구
- AHP 기법을 활용한 선박과 승객대피 의사결정 요인 분석
- 실습선 학생교육 기간에 따른 실습교육 효과에 관한 연구-Ⅱ
- 해양사고 종류별 선원의 행동오류 식별
- 항만공사용 사석 고르기 수중로봇의 제어 및 지형인식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해양공학분야 BEST
- 시스템다이내믹스를 활용한 평택·당진항 수입 승용차 물동량 예측에 관한 연구
- 크루즈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한 관광경쟁력 제고방안 연구
-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에 따른 지자체 대응 전략
공학 > 해양공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