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역감시 분석을 통한 VTS의 효율적 정박지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이용수 40
- 영문명
- The Efficient Anchorage Management of VTS through Analysis of Domain Watch
- 발행기관
- 한국항해항만학회
- 저자명
- 이진석(Jin-Suk Lee) 송재욱(Chae-Uk Song)
- 간행물 정보
- 『한국항해항만학회지』제42권 제3호, 20~206쪽, 전체 187쪽
- 주제분류
- 공학 > 해양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6.30
25,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최대 항만인 부산항의 남외항 정박지를 VTS(Vessel Traffic Service)에서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안을 제시하기위해 정박선간 적정한 영역감시(Domain Watch)를 산정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영역감시 산출 방법을 제시하고 최근 정박지 이용 현황 중 정박선이 가장 많았던 기간에 선박 길이(l), 정박선간 거리( D), 영역감시 반경(R), 선박 길이 대비 영역감시 반경(R)을 1시간 간격으로 조사하였다. 조사된 자료에 대해 기술 분석을 한 결과, 정박선 한 척이 다른 정박선과 안전거리를 확보할 수 있는 최소 을 조사된 전체자료의 70 %ile(백분위수)에 해당하는 2.85를 기준으로 산정할 수 있었다. 이 결과를 부산항 남외항 정박지에 적용하여 이를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2014)과 비교한 결과 상당 부분 일치하였고, 이를 통해 VTS에서 정박선의 영역감시 반경을 최소 2.85L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타당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정박지 안전 관리를 VTS 차원에서 검토한 것으로, 부산항과 같은 집단 정박지를 운영 중인 타 항만에 적용할 경우 정박지를 이용하는 선박의 안전과 VTS의 안전 관리 방안 마련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a proper Domain Watch between anchored vessels in order to propose a method forthe efficient management of VTS(Vessel Traffic Service) of the N-anchorage in Busan harbor, which is the largest port in Korea. For this purpose, we proposed the calculation method of Domain Watch and investigated the ship length, the distance between anchored vessels, the domain radius, and the domain radius vs during the peak time of the vessels in the latest usage of anchorage. As a result of technical analysis for the surveyed data, the minimum for securing the safety distance between anchored vessels was selected
based on 2.85 corresponding to the 70th percentile of the total data. This result was applied to the N-anchorage of Busan and compared with the ‘Guidelines of Port and Harbor Design(2014)’, and we have confirmed that it is reasonable to set the Domain radius with the minimum 2.85L or more in VTS. This study considers the safety management of anchorage for VTS.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the safety of vessels using anchorage and the safety management plan of VTS when it is applied to other ports in operation such as it was in Busan.
목차
1. 서 론
2. 부산항 남외항 정박지 현황
3. 남외항 정박선의 영역감시 분석 방법
4. 남외항 정박선의 적정 영역감시 분석
5.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부 간 항만배후단지 개발·관리 기능배분에 관한 연구:
- 항로표지사고의 사회적비용 평가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I)
- 영역감시 분석을 통한 VTS의 효율적 정박지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 해상용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설치 각도에 관한 연구
- 공 컨테이너 반출 시 발생하는 재취급 횟수 비교
- 컨테이너터미널에서 야드 이송장비 자동화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 실적선 DB를 이용한 고속보트 초기 주요치수 결정에 관한 연구
- AHP 기법을 활용한 선박과 승객대피 의사결정 요인 분석
- 실습선 학생교육 기간에 따른 실습교육 효과에 관한 연구-Ⅱ
- 해양사고 종류별 선원의 행동오류 식별
- 항만공사용 사석 고르기 수중로봇의 제어 및 지형인식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해양공학분야 BEST
- 시스템다이내믹스를 활용한 평택·당진항 수입 승용차 물동량 예측에 관한 연구
- 크루즈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한 관광경쟁력 제고방안 연구
-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에 따른 지자체 대응 전략
공학 > 해양공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