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문화도(kul’turnost’) 개념을 중심으로 본 스탈린 체제의 일상생활

이용수 192

영문명
Exploration on the Everyday Lives in Stalin’s Times Focusing on the Concept of kul’turnost’
발행기관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저자명
박원용(Park Wonyong)
간행물 정보
『인문사회과학연구』인문사회과학연구 제19권 제2호, 397~431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5.31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문화도 개념을 통해 스탈린 체제 일상의 역동성을 해명하려고 한다. 문화도는 1930년대 스탈린 체제가 정립하고자 했던 구체적 삶의 양식을 규정하는 하나의 척도였다. 사회주의 체제를 완성해가는 과정의 인민으로서 누려야 할 생활수준, 의식정도, 교육의 수준 등이 문화도를 통해 표현되어야 했다. 그렇지만 체제 인민의 구체적 삶의 양식은 체제가 기대했던 문화도의 수준과 비교할 때 미흡한 부분이 많았다. 이상을 구현하기위한 정책과 이에 대한 아래로부터의 다양한 대응이 있었다. 문화도는 이런 면에서 체제의 공고함을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을 포괄하며 이에 대한 인민의 구체적 대응을 파악할 수 있게 하는 유용한 개념이다. 스탈린 체제는 문화도의 향상을 위해 교육체제의 정립, 체제의 가치를 확인할 수 있는집단의식의 개최, 체제의 공고화에 기여하는 선도집단에 대한 물질적 특혜 등을 부여했다. 위로부터의 문화도 향상을 위한 정책적 수단과 더불어 체제가치를 수용하기 위한 인민의 자발적 노력도 있었다. 그렇지만 스탈린 체제 인민의 일상에서는 문화도의 향상을저해하는 양상들도 적지 않게 존재했다. 인민 모두가 소비수준의 차별이 없어야 했지만정치권력과의 관계에 따라 소비수준은 상이했다. 또한 여행, 휴양지의 이용에 있어서도인민 모두가 평등한 기회를 누리지는 못했다. 스탈린 체제는 이렇게 문화도 향상을 통해체제의 공고화를 달성하려는 노력과 인민의 일상생활에서 이를 저해하는 구체적 모습들이 공존하는 체제였다. 일상생활의 측면에서 문화도의 향상을 위한 체제의 노력과 이에 대한 인민의 구체적 대응은 스탈린 체제의 역동성을 드러내는 또 하나의 단서인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everyday lives in Stalin’s times borrowing from the concept of kul’turnost’. Kul’turnost’ can be defined as the term pointing to the level of a person’s or a group’s culture and education that the Soviet power wanted to consolidate in the society. Kul’turnost’ can be utilized as a way to look at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power and ordinary people. State power in Stalin’s times had relatively more possibilities to intervene in everyday lives of the people, which did not mean that the ordinary people were merely subjected to the compulsory will of the state. As they struggled to maintain their ordinary everyday lives in extraordinary times, the condition of which could be defined by the deficit of everyday necessities and the malfunction of official supply system, they employed everyday forms of resistance in order to maintain their lives. They actively utilized their personal networks that made it possible to acquire more material abundances and enjoy more comfortable leisure time, the meaning of which their kul’turnost’ was far from behind the expected level. Their strategies in short were kinds of distraction from the official ideology emphasizing the value of collective consciousness and the principle of class priority. Stalin’s government in return employed various means to improve the retarded level of kul’turnost’. The state power tried to instill the loyal contribution of the people by holding mass celebration and granting material benefits to the exemplary achieving great productivities. Besides the attempt to consolidate the system from the above, there were some people actively internalize the Stalinist value and ideology. These people were “speaking Bolsheviks” as a way of expression to appraise the achievements and progress made by the Stalinist state system. As such, these two aspects of everyday lives of ordinary people give us insights to appreciate the cultural dynamics of Stalin’s times, which were deeply related to the political power and social position of the people. Examination on everyday lives of people in Stalin’s times give us chances to comprehend the complex and multi-layer relationships in everyday lives of ordinary people.

목차

<국문요약>
Ⅰ. 들어가는 말
Ⅱ. 스탈린의 문화혁명과 ‘문화도’
Ⅲ. 스탈린 시대 일상에서의 ‘문화도’ 향상을 위한 다양한 시도
Ⅳ. 스탈린 시대 일상에서의 ‘문화도’ 향상의 저해 양상들
Ⅵ. 결론을 대신하여 - 원칙의 후퇴? 현실과의 타협?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원용(Park Wonyong). (2018).문화도(kul’turnost’) 개념을 중심으로 본 스탈린 체제의 일상생활. 인문사회과학연구, 19 (2), 397-431

MLA

박원용(Park Wonyong). "문화도(kul’turnost’) 개념을 중심으로 본 스탈린 체제의 일상생활." 인문사회과학연구, 19.2(2018): 397-4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