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역량 개발 시대 학업성취의 교육학적 의미

이용수 228

영문명
Das Kompetenz-Konzept in der Pädagogik und der Sinn der Leistung in der Schule
발행기관
한독교육학회
저자명
정영근(Tschong, Youngkun)
간행물 정보
『교육의 이론과 실천』제18권 제3호, 1~18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12.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육학의 관점에 서서 역량개념에 근거하는 교육구상 및 수행결과 지향의 학업성취와 평가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오늘날 학교교육에서는 역량이 마치 교육학적 개념인 것처럼 사용되고 있으며, 역량의 습득이 학습 또는 성취와 동일시되어 개인을 비교하거나 평가·구별하기 위한 일종의 척도내지는 기준으로도 사용된다. 그러나 역량은 개인화이론에 근거해 개인의 자기중심적 측면에서 성취를 지향하는 구상인 반면, 포괄적 의미의 교육과 도야는 본질적으로 사회·문화적 연관성을 중시하는 개념으로 한 인간이 스스로의 정체성을 형성해나가는 성취과정 또한 중시한다. 그러므로 학업성취는 성장 세대를 전인적 차원에서 성숙한 민주시민을 도야시킨다는 학교교육의 목적에 걸맞게 개별 학생의 역량개발을 넘어 ‘자기결정’ 능력은 물론 ‘사회적 연대의식’을 형성하는 일과 연결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역량개념 도입에 의해 수행능력 습득으로 환원되고 있는 작금의 교육현실을 고찰하고, 역량에 따른 학업성취 및 평가의 교육학적 타당성을 도야개념과 대비하여 검토하며, 학업성취란 무엇이며 왜 학교에서 배우고 성취해야 하는지에 대한 의미를 논의한다. 그리고 학업성취 및 평가란 사회적 삶의 원리를 고려해 교육학적 의미를 구현하는 방식으로 전개되어야 함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Der Begriff der Kompetenz hat seit 1990 einen enormen Aufschwung erlebt. Er hat in Fragen der Gesellschafts- und Bildungsreform verstärkt Anwendung gefunden. Kompetenz wird meist im Sinne einer besonderen Fähigkeit verstanden, die man erlernen kann, wie bei kommunikativer Kompetenz oder Sprachkompetenz. Der Kompetenz-Begriff nimmt im Konzept einer okonomisierten Bildung eine zentrale Stelle ein, weil er das ersetzt, was wir zuvor als Bildung beschrieben haben. Der Kompetenz-Begriff steht für jedes Wissen und Konnen, welches zur Bewaltigung von Alltagssituationen als essentiell angesehen wird. Der maßgebliche Unterschied zwischen Kompetenzen und Bildung liegt darin, dass Kompetenzen erwerbbar sind aber dass Bildung eben nicht durch den Umfang des erworbenen Wissens, sondern durch die Tiefe der Aneignung bestimmt ist. Heutzutage bemühen sich manche Padagogen unermüdlich, den Bildungsbegriff zu verabschieden und durch den Begriff der Kompetenz zu ersetzen. Beim Kompetenz-Modell der OECD sollen Bildungsstandards die Ziele in Form von Kompetenzanforderungen konkretisieren. Sie legen fest, über welche Kompetenzen ein Schuler verfugen muss, wenn wichtige Ziele der Schule als erreicht gelten sollen. Aber in der Schule darf das kompetenzorientierte Leistungsprinzip nicht vom ökonomischen auf den padagogischen Bereich übertragen werden. Im Zentrum eines padagogischen Leistungsbegriffs steht der leistende Schüler selbst, wie er sich unter gezieltem Einsatz von Lern- und Erziehungshilfen zur urteilsfähigen und eigenständigen Person wandelt.

목차

I. 역량과 학교교육
II. 역량 개발의 교육과 평가의 문제
III. 역량인가 도야인가?
Ⅳ. 학업성취의 의미와 교육학의 과제
V. 역량습득을 넘어 인간교육으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영근(Tschong, Youngkun). (2013).역량 개발 시대 학업성취의 교육학적 의미. 교육의 이론과 실천, 18 (3), 1-18

MLA

정영근(Tschong, Youngkun). "역량 개발 시대 학업성취의 교육학적 의미." 교육의 이론과 실천, 18.3(2013): 1-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