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국 남북조시대의 소조상과 부여 정림사지

이용수 1013

영문명
A Study of the Clay Buddhist Sculptures Found at the Jeongnimsa Temple Site in Buyeo Using Chinese Clay Buddhist Sculptures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이병호(Lee, Byong-ho)
간행물 정보
『역사문화연구』제66집, 3~42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5.31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중국 남북조시대 불교 사원에서 조사된 목탑과 소조상의 전개과정을 정리하여, 부여 정림사지에서 출토된 소조상이 갖는 역사적 의의를 명확히 하고자 작성되었다. 2장에서는 5~6세기대를 중심으로 한 중국 초기 사원에서 목탑과 그 내부를 장엄하던 소조상의 전개과정을 정리하였다. 중국의 초기 불교 사원의 형태를 추정할 수 있는 자료는 많지 않다. 그러나 雲岡石窟 상부 北魏寺院址에서 간다라 지역에서 자주 보이는 佛塔의 사방에 승방이 배치된 소위 方形僧院이 발견되었다. 또 北魏 思遠佛寺와 朝陽北塔 하층의 思燕佛圖, 內蒙古自治區의 北魏 懷朔鎭 故城을 비롯하여 洛陽 永寧寺, 鄴城의 趙彭城廢寺址 등에서는 대형 목탑지와 소조상이 함께 발견되었다. 이러한 소조상들은 석굴사원의 中心柱窟처럼 목탑의 초층 탑신을 장엄하는 塔內塑像이다. 최근 남조의 중심지인 南京 지역에서도 소량이지만 소조상이 발견되어 북조 지역과의 기술적인 차이가 조금씩 드러나고 있다. 3장에서는 부여 정림사지에서 출토된 소조상의 특징과 의미를 분석하였다. 이곳에서 출토된 소조상들은 크기에 따라 분류하고 제작기법의 특징이 관찰된다. 소조상의 봉안장소는 일부 금당지에 안치된 것도 있지만, 대부분 창건기의 목탑에 안치된 것으로 생각된다. 그 제작시기는 중국제 청자편이나 공반유물에 근거할 때 사비 천도 직후로 추정된다. 정림사지의 목탑이나 탑내소상은 541년 남조, 양나라에서 건너온 工匠․畵師의 활동과 연관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된다. 창건기 정림사지에는 목탑이 있었고, 그 내부에는 禮佛圖와 같은 탑내소상이 장식되었는데, 여기에는 발원자인 聖王의 의도가 투영되어 있었다. 성왕은 양 무제의 崇佛 활동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 사비 천도를 단행한 성왕은 왕권의 권위를 높이고, 그것을 상징하는 기념비적 건조물로 정림사지를 건립함으로써 轉輪聖王으로서의 이상적인 모습을 대내외적으로 과시하고자 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ttempts to organize the evolutionary phases of the wooden pagoda and clay Buddhist sculptures, which were surveyed at a Buddhist temple in China whose roots could be traced to the period of Southern and Norther Dynasties. This organization had to be done in order to identify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clay Buddhist sculptures unearthed at the Jeongnimsa Temple site in Buyeo. Chapter 2 organizes the evolutionary phases of clay Buddhist sculptures that adorned the interior of wooden pagodas erected in early Chinese temples in the 5th and 6th centuries. Few documents tell us about the shape of early Buddhist temples in China. Above the Yungang grottoes at the Northern Wei Temple site, however, a room-type monastery was found. This type of monastery had rooms in 4 directions around the Buddhist pagoda, and it was found in large numbers in the Gandharan region. Large wooden pagodas along with clay Buddhist sculptures were found in a Northern Wei Buddhist temple, including Sayeon Buddha painting in the lower section of Chaoyang North Pagoda, old Northern Wei castle in the city of Baotou in Inner Mongolia, Yongning Pagoda in Luoyang, and Zhaopengcheng temple ruins in Ye (Hebei). These clay Buddhist sculptures were the internal clay figurines that were in the lower section of the wooden pagoda body, like the main cave of a cave temple. In the Nanjing area, which was the center of the Southern dynasty, a small number of clay Buddhist sculptures were recently found; these discoveries are beginning to reveal gradually the gap with the Northern dynasty in terms of technical skill. Chapter 3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and importance of the clay Buddhist sculptures excavated at Jeongnimsa Temple in Buyeo. The clay Buddhist sculptures excavated here are categorized based on size, and their manufacturing techniques are studied. Clay Buddhist sculptures were sometimes enshrined in the Buddhist temple; in most cases, however, they were enshrined inside wooden pagodas when the temple was founded. Based on datings of Chinese celadons and associated relics, the clay Buddhist sculptures are estimated to have been created right after the capital was moved to Sabi. The wooden pagoda of the Jeongnimsa Temple site and the internal clay figurines are most likely related to the activities of master craftsmen and artisans who came from Southern Dynasty and Liang Dynasty in 541 AD. There was a wooden pagoda at the Jeongnimsa Temple site when the temple was established. Small Buddha sculptures like ceremonial Buddha paintings adorned the interior of the wooden pagoda. Here, the wishes of King Seong, a temple supporter, were reflected. The Buddha-worshipping activities of Liang Dynasty’s Emperor Wu had a great influence on King Seong. Moving the capital to Sabi, King Seong tried to elevate the authority of the throne and built Jeongnimsa Temple as a symbol of the royal authority, using the temple as an instrument for promoting himself as the embodiment of a righteous ruler.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중국 초기 사원의 불탑과 소조상
Ⅲ. 정림사지 소조상의 특징과 의의
Ⅳ. 맺음말 : 정림사지 창건의 의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병호(Lee, Byong-ho). (2018).중국 남북조시대의 소조상과 부여 정림사지. 역사문화연구, 66 , 3-42

MLA

이병호(Lee, Byong-ho). "중국 남북조시대의 소조상과 부여 정림사지." 역사문화연구, 66.(2018): 3-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