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考古ㆍ文獻資料로 본 皇龍寺 畢功의 意味와 創建伽藍의 存在

이용수 451

영문명
Meaning of Completion of Hwangnyongsa and Existence of the First Buddhist Temple from Archeological References and Literature References
발행기관
백산학회
저자명
조원창(Cho Weonchang)
간행물 정보
『백산학보』第110號, 97~125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4.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황룡사는 553년 착공된 후 13년 만인 566년 창건가람이 완공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대지조성토와 뻘층에서 검출된 토기의 대부분이 6세기 후반 이후로 편년되고 있어 창건가람의 실체에 많은 의구심을 낳고 있다. 즉, 사찰이 축조되기 위해선 건축물이 들어설 대지가 우선적으로 마련되어야 한다. 그런데 황룡사의 경우는 원지반이 뻘층이어서 최소 2.5m 이상을 성토하여야만 하였다. 따라서 토기의 편년과 대지조성, 그리고 당탑 등의 건축물 조영까지를 고려한다면 566년의 창건가람은 다소 불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발굴조사 결과 창건가람과 관련된 목탑과 금당, 강당 등의 주요 건물지가 전혀 확인되지 않았다. 이는 여느 삼국시대 사찰과 비교해 극히 이례적인 사례로서 과연 황룡사지에 창건가람이 존재하였는지를 근본적으로 의심케 하고 있다. 아울러 『삼국유사』에 기록된 구층목탑의 初成은 구층목탑 이전에 별도의 탑이 존재치 않았음을 내포하는 것이어서 발굴조사의 내용과 큰 차이가 없음을 확인케 한다. 위와 같은 의문점은 결과적으로 566년의 ‘황룡사 필공’이 창건가람 보다는 대지조성의 완공이었음을 판단케 하고 있다. 향후 황룡사의 대지조성과 관련하여 흙이 어디에서 제공되었는지, 그리고 원지반의 개량을 위해 어떠한 토목공법이 사용되었는지 밝혀지기를 기대해 본다.

영문 초록

13 years after its beginning of the construction in the year of 553, it has been said that the first Buddhist temple was completed in 566 at Hwangnyongsa. However, due to the fact that most of the earthenware collected from bankink, land, and mud are known to be from late 6thcentury, which casts doubts on the existence of the first Buddhisttemple. In other words, before the construction of the temple, the land has to be arranged for the construction. For the case of Hwangnyongsa, however, the previous ground was mud, and more than 2.5m was supposed to be banked. Therefore, considering the time of the earthenware manufacturedate, and bankink, and constructions including pagoda, it is considered impossible to have completed the first Buddhist temple in the year of 566. In addition, no sites for those major buildings had been confirmed including wooden stupa, the main Building and hall, which are related to the first Buddhist temple. This is quite exceptional compare to any temples built during the age of the Three States, which leads to a doubt if there was indeed the first Buddhist temple in Hwangnyongsa. The record of Samgukyusa(Overlooked Historical Records of the Three Korean Kingdoms) also explains that there never was any other stupa other than the nine-story wooden stupa, which aligns with the findings from the excavation research. This in the end suggests that the ‘completion of Hwangnyongsa’ in 566 refers to the preparation of the sites rather than the Buddhist temple itself. Future studies would be proposed to study more on where the soil was supplied from and what kind of construction engineering had been utilized in order to improve the existing sites.

목차

국문 요약
Ⅰ. 머리말
Ⅱ. 황룡사의 대지조성과 토목공법
Ⅲ. 황룡사 필공의 의미와 창건가람의 존재
Ⅳ. 맺음말
參考文獻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원창(Cho Weonchang). (2018).考古ㆍ文獻資料로 본 皇龍寺 畢功의 意味와 創建伽藍의 存在. 백산학보, (110), 97-125

MLA

조원창(Cho Weonchang). "考古ㆍ文獻資料로 본 皇龍寺 畢功의 意味와 創建伽藍의 存在." 백산학보, .110(2018): 97-12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