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가계 문화소비지출의 탄력성 추정

이용수 119

영문명
The Elasticity Estimation of Household Culture Expenditures
발행기관
한국문화경제학회
저자명
전승훈(Seung-Hoon Jeon) 김 진(Jin Kim)
간행물 정보
『문화경제연구』제18권 제1호, 1~19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4.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문화소비지출의 주요 특성을 가계 문화소비지출의 탄력성 추정을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론적으로 문화소비의 특성에 대해 논하기 보다는 실증적으로 문화소비지출이 어떠한 요인에 의해 결정되며 가격에 대한 탄력성은 어떠한지에 대해 고찰 하고자 한다. 또한 소득분위별 문화서비스 지출의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문화격차에 대한 실상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논의를 환기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추정결과에 따르면 공연 및 극장 소비지출의 소득탄력성은 1.181로 추정되었으 며, 관람시설의 소득탄력성은 유의하지 않았다. 소득분위별로 보면 공연 및 극장 소비지출의 경우 2~4분위에서 아주 탄력적이었으나, 1분위와 5분위의 경우 유의하지 않았다. 그리고 관람시설 소비지출의 경우 3~5분위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1분위는 유의한 음의 탄력성을, 2분 위는 유의한 양의 탄력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연 및 극장 소비지출과 관람시설 소비지 출의 가격탄력성은 전체 가구를 대상으로 할 때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전체 가구를 대상으로볼 때 가계의 문화소비지출이 가격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소득분위별로 보면, 공연 및 극장 소비지출과 관람시설 소비지출 모두에서 2~3분위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데 반해, 1분위와 4,5분위는 아주 탄력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는 소득분위별로 탄력성이 상이함을 고려할 때 소득 분위별로 상이한 정책 수단이 강구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저소득층의 문화서비스 소비를 증가시키는데 있어 가격 정책보다는 바우처 지급 등을 통한 직접적인 체험 기회 확대 정책이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studies the properties of culture expenditures in Korea, especially the elasticity estimation of household culture expenditures. We focus on analyzing the empirical determinants of culture expenditure and the estimation of the price elasticity of household culture expenditures rather than delve theoretically into the properties of culture expenditures. Furthermore, we observe and evoke the “culture divide” issues through the properties of culture expenditures in the dimension of income classifications. The results show that the income elasticity of culture expenditures in performance and theatre is 1.181, while that in venue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le culture expenditures in performance and theatre are elastic for the second, third, and fourth groups, the estimation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the first and fifth groups. For the expenditure in venue, the first group has a significant negative elasticity and the fifth group has a significant positive elasticity, though the estimation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the second, third, and fourth groups. The estimation result for the price elasticity of household culture expenditures in performance, theatre, and venue i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This shows that household culture expenditures are not sensitive to change in price. With respect to the dimension of income classifications, the price elasticity is elastic for the first, fourth, and fifth groups, while it is insignificant for the second and third groups. Therefore, the policy would be different over the dimension of income classification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he price and income elasticity of household culture expenditures. Furthermore, the expansion of direct culture enjoyment through culture vouchers would be more effective for the increase in culture expenditures of the low-income groups rather than would price policy.

목차

Ⅰ. 서 론
Ⅱ. 기존 연구
Ⅲ. 가계 문화소비지출의 변화 추이
Ⅳ. 가계 문화소비지출의 탄력성 추정
Ⅴ. 요약 및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승훈(Seung-Hoon Jeon),김 진(Jin Kim). (2015).가계 문화소비지출의 탄력성 추정. 문화경제연구, 18 (1), 1-19

MLA

전승훈(Seung-Hoon Jeon),김 진(Jin Kim). "가계 문화소비지출의 탄력성 추정." 문화경제연구, 18.1(2015): 1-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